• 제목/요약/키워드: 모바일 패션 쇼핑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7초

가치기반수용모델(VAM)을 활용한 모바일 쇼핑 앱의 지각된 가치와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of Use of Mobile Shopping Apps Using Value-Based Adoption Model (VAM))

  • 지선영;김문기;한상린
    • 서비스연구
    • /
    • 제14권2호
    • /
    • pp.101-116
    • /
    • 2024
  • 스마트폰의 보급이 보편화되고 이용률이 높아진 만큼 모바일 쇼핑 시장 또한 그 규모가 커지고 관련 산업에 관한 기대도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쇼핑 앱은 패션과 뷰티, 라이프 스타일 등 다양한 산업과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대면의 활성화에 더불어 사용자 수를 늘리기 위한 기업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 앱의 지각된 가치와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를 가치기반수용모델(VAM)을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266명의 국내 기업에서 출시한 모바일 쇼핑 앱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모바일 쇼핑 앱의 지각된 가치 중 유용성과 즐거움은 모두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쇼핑 앱의 지각된 희생 중 기술적 특성과 지각된 위험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쇼핑 앱의 지각된 가치는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모바일 기술과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점점 더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모바일 쇼핑 앱 산업에서 지각된 가치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보고 관련 기업과 관계자들이 모바일 쇼핑 앱 사용자를 더욱 늘리기 위한 효율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디지털 패션을 위한 가상 피팅 서비스 솔루션 (Virtual Fitting Solutions for Digital Fashion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 최자령;임순범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99-306
    • /
    • 2010
  • 인터넷과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전으로 최근 디지털 패션 기술 분야에서는 의상을 3D로 재현한 가상 피팅 서비스를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매장, 인터넷 쇼핑몰, 광고 등 여러 상황에서 가상거울, PC, 모바일 등 다양한 장치에서 가상 피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통합 솔루션은 총 3가지 방법으로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법은 매장에 비치된 가상 거울을 통해 터치를 통한 입력으로 가상 피팅을 이용한다. 두 번째 방법은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의상 상품과 아바타를 이용한 가상 피팅을 체험한다. 마지막 방법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2차원 바코드로 의상 정보를 입력하여 디지털 패션을 위한 3D 가상 피팅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체험한 가상 피팅 결과를 이미지 파일 형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로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수 있는 솔루션을 구축하였다.

모바일 쇼핑에서 패션 브랜드 앱이 스마트폰 몰입과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shion Brand Apps on Smartphones Flow and Consumer Satisfaction in Mobile Shopping)

  • 강은미;박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25-832
    • /
    • 201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fashion brand apps on smartphones flow and consumer satisfaction in mobile shopping. These findings provide new information to marketers for the marketing strategy for dealing with mobile shopping mall. A total of 233 us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men and women ages 20-30 who have mobile shopping purchasing experienc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using SPSS for Window 22.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by AMOS 2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fashion brand apps factors showed that it consist of 2 kinds of dimensions of basic information type and additional information type. Second, basic information type of fashion brand apps have had a direct impact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did not affect the smartphones flow. Additional information type influence consumer satisfaction through a smartphones flow. Basic information type of fashion brand apps showed a greater impact on consumer satisfaction than a smartphone flow. A managerial implication was discussed for fashion brand marketers to develop strategies on fashion brand apps that could stimulate and increase the consumer flow and satisfaction.

지각된 상호작용성이 모바일 패션 쇼핑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interactivity on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malls)

  • 김민정;신수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6호
    • /
    • pp.891-906
    • /
    • 2013
  •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factors of perceived interactivity and verified the path model of effects of these factors on mobile fashion shopping purchas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To develop the conceptual model, we consulted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and searched various kinds of literatures. To verify the conceptual model, we conducted the survey targeting smartphone users in their 20s~30s and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6.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ntrol, responsiveness and two-way communication, and contextual offer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of perceived interactivity. Perceived interactivity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usefulness affected attitude toward purchase, and attitude toward purchase influenced positively on purchase intention. Perceived usefulness affected purchase intention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attitude toward purchase.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mobile fashion shopping businesses.

모바일 쇼핑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폰 패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Smartphone Fashion Application to Promote Mobile Shopping)

  • 성희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41-951
    • /
    • 2012
  • As smartphones permeate the consumer lifestyle, branded application and mobile shopping have also received increased attention as an important marketing channel. This study identifies the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smartphones, attitudes toward fashion applications, and mobile shopping intentions for smartphone user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22 interviewees participated. The age of the participants ranged from 21 to 45 years old (55% were females). When examining the motivation to adopt a smartphone, respondents presented the comparable characteristics of early adopters and late adopters according to the time of adoption. Most respondents over the age of 30 showed some troubles to use a smartphone; however, participants in their 20s tended to enjoy exploring the new technology.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fashion applications, but were dissatisfied with fashion apps and used them infrequently.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fashion related apps were not too practical because they were not updated regularly, provided only limited information, and focused on brand promo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ntion to adopt mobile shopping, the price and payment security system needs to be considered. This was an exploratory study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fashion branded apps as a major distribution chann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formulate marketing strategies for fashion businesses that have developed fashion apps.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 구매의도의 관계 -사용용이성의 매개효과- (Relationships among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Purchase Intention -Mediating Effect of Ease of Use-)

  • 김춘연;황진숙;조재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1-174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hips among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purchase intention as well as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ease of use in mobile fashion shopping. A final sample of 379 (from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es used for the study were PASW 18.0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items and AMOS 16.0 to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oth measurement models and structural models showed an acceptable model fit. Three constructs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ease of use. In addition, ease of use influence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attitude and attitude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Finally,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ease of use on the relationship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The findings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fashion marketers to build effective mobile fashion shopping strategies.

고객의 패션 선호도를 반영한 모바일 의류 추천 시스템 (A Mobile Fashion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Individual Fashion Preferences)

  • 박진탁;권류혁;임현재;이현화;문희강;김유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25-112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여성들의 개별 패션 선호도로부터 패션 선호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맞는 의류를 추천하는 모바일 의류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패선 선호관련 설문조사로부터 대응표본 T-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선호 특성과 의류와의 유효한 관계를 찾고, 이를 바탕으로 선호 특성에 따른 의류 분류 기준을 작성하였으며, 카이제곱 검정 방법을 통해 선호 특성과 의류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선호 특성에 따른 선호 의류 추천을 위한 규칙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규칙을 활용하여 각 사용자의 구입의사 및 패선 선호 특성에 따른 의류를 추천해 주는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이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10 점 만점에 7.1 점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바일 의류 추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선호 의류를 추천 받을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제품의 정보 부족으로 발생하였던 모바일 쇼핑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패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e-서비스 품질이 몰입 및 사용자 만족과 서비스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Service Quality of Fashion Mobile Applications on Flow, User Satisfaction, and Service Loyalty)

  • 지선영;한상린
    • 서비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39-56
    • /
    • 2023
  • COVID-19로 인한 오프라인 활동에 대한 제약으로 비대면 상거래인 온라인 쇼핑 거래에 관한 관심과 함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이 더욱 높아지면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다양한 산업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패션 산업에서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패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e-서비스 품질이 국내 사용자의 몰입 및 사용자 만족과 서비스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274명의 에이블리 패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에 활용하여 제시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패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e-서비스 품질 중 정보성, 반응성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성, 신뢰성, 반응성은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인 확인 되었다. 또 몰입은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사용자 만족은 서비스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패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e-서비스 품질 중 신뢰성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용 용이성은 몰입과 사용자 만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몰입은 서비스 충성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모바일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점점 증가하고 있는 패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을 위한 관련 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을 기대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겨냥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모바일 패션 쇼핑몰에서 소비가치에 따른 충동구매행동 연구 (The Study of Impulse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Consumption Value in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 강은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72-381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ces in fashion products attributes, mobile shopping mall attributes, impulse buy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mobile shoppingconsumption value. The findings provide new information on marketing strategy for mobile shopping malls. A total of 283 us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ANOVA using SPSS 21.0 for Windo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value, consumer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social/functional oriented, indifference and epistemic/emotional oriented. Second, the conspicuous-functional pursuit group considered utility and exhibition more important in regards to fashion products attributes for the consumption value group, the personality pursuit group also considered aesthetics and utility more important than other groups. Third, conspicuous-functional pursuit group considered continuous management more importantin regards to the importance ofmobile shopping mall attributes for the consumption value group, the personality pursuit group considered informationexchang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groups. Fourth, the conspicuous-functional pursuit group and Personality pursuit group considered impulse purchase behavior more important than the emotionalpursuit group. The conspicuous-functional pursuit group considered satisfaction after impulse purchase behavior more important than other groups.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구매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사용자를 중심으로 - (Effects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urchas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 Focusing on smartphone users -)

  • 김민정;신수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2호
    • /
    • pp.240-257
    • /
    • 2014
  •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fashion shopping and verified the path model of effects of these characteristics on mobile fashion shopping purchas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e conducted the survey targeting smartphone users in their 20s~30s and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6.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enjoyment, credibility, instant connectivity, security, and personaliz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influenced attitude toward purchase an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Attitude toward purchase affected purchase intention in a positive way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indirec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attitude toward purchase. In conclusion, we proposed the marketing strategies of the mobile fashion shopping busin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