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바일 패션 쇼핑몰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새로운 유통으로의 모바일 패션 쇼핑몰 도입에 관한 연구 -브랜드 특성(복종, 가격, 타겟, 매출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

  • 고은주;김경희;김선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64-1179
    • /
    • 2009
  • This study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a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as perceived by those in charge of fashion brands, clarifie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n the intention 'Of introduction, and indicated the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of introdu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 This study surveyed individuals in charge of fashion & clothing brands. It utilized SPSS 12.0 program for data analysis and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 regression analysis, ANOVA, and hierarchical adjustment regression analysi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are shown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four factors such as facility/usefulness, instant accessibility, personalization, and playfulness were also represented. Second, it showed that facility/usefulness, instant accessibility and personalization generat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introduction. Of the factors, facility/usefulness displayed the highest influence.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a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on the intention of introdu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 (in the case of women's wear) the intention of introduction is strong as instant accessibility and facility/usefulness is highly recognized. Lastl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introdu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 According to items, casual wear shows the highest intention of introduction as followed by women's wear and sportswear. According to age, brands targeting a 24-29 year old group show a higher intention. Companies with average sales of 50 billion won to 750 billion won (or more) for three years showed a high intention.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as a new distribution line was investigated.

지각된 상호작용성이 모바일 패션 쇼핑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interactivity on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malls)

  • 김민정;신수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6호
    • /
    • pp.891-906
    • /
    • 2013
  •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factors of perceived interactivity and verified the path model of effects of these factors on mobile fashion shopping purchas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To develop the conceptual model, we consulted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and searched various kinds of literatures. To verify the conceptual model, we conducted the survey targeting smartphone users in their 20s~30s and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6.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ntrol, responsiveness and two-way communication, and contextual offer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of perceived interactivity. Perceived interactivity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usefulness affected attitude toward purchase, and attitude toward purchase influenced positively on purchase intention. Perceived usefulness affected purchase intention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attitude toward purchase.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mobile fashion shopping businesses.

모바일 패션제품 구매에서 희소성 메시지가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scarcity message on 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in mobile shopping malls)

  • 박은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38
    • /
    • 2020
  • Impulse buying occurs when consumers feel an urge to impulsively buy a product without thoughtful consideration of why and for what reason they need the product. However, few efforts have been made to identify the impacts of perceived scarcity on the 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in mobile shopping malls. This study's objectives were to estimat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impact of a scarcity message on browsing, feeling the urge to buy, and 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on mobile shopping malls. Data was collected from 206 customers who experienced to impulse buying fashion products via objective samp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developed for the study. Results found evident effects of the scarcity message on the 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directly and indirectly. Additionally, consumers felt the urge to bu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whereas browsing had little impact on the 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This is an expanded study to examin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on mobile shopping malls.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that underlie the operation of an effective scarcity strategy for fashion products on mobile shopping malls.

모바일 패션커머스의 구매여정별 개인화 추천서비스 사용자 평가와 구매의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user evaluation, purcha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s by purchase journey in mobile fashion commerce)

  • 강선영;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3-70
    • /
    • 2022
  • 패션은 개인 취향이 구매의 첫 번째 기준으로 작용하는 분야인 만큼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가 일찍이 자리를 잡았다. 특히 모바일 패션 커머스에서 구매전환을 높이는 중요한 전략으로 꼽히며 더욱 정교화 되고있다. 이로 인해 개인화 추천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세부적인 소비자의 구매여정에 따라 확인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개인화 추천서비스의 사용자 평가가 구매여정별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구매의도와 만족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다양성, 신뢰성, 편의성은 0.001%수준, 유용성은 0.05% 수준에서 구매여정 단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만족도는 인지 및 흥미단계에서 새로움과 유용성이, 검색단계에서 신뢰성과 다양성이 높게 나타나는 등 각 단계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구매의도는 구매 후 단계를 제외하고 유용성과 신뢰성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개인화 추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평가에 차이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구매 여정에 따른 개인화 추천서비스 사용자 평가의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모바일 패션커머스의 개인화 추천서비스 전략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실무적 의의를 지닌다. 추후 개선안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더욱 고도화된 개인화 추천서비스 전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합성곱 신경망의 비지니스 응용: 런웨이 이미지를 사용한 의류 분류를 중심으로 (Business Application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Apparel Classification Using Runway Image)

  • 서이안;신경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3호
    • /
    • pp.1-19
    • /
    • 2018
  • 최근 딥러닝은 오디오, 텍스트 및 이미지 데이터와 같은 비 체계적인 데이터를 대상으로 다양한 추정, 분류 및 예측 문제에 사용 및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의류산업에 적용될 경우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의류 인식, 의류 검색, 자동 제품 추천 등의 심층 학습을 기반으로 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 때의 핵심모형은 합성곱 신경망을 사용한 이미지 분류이다. 합성곱 신경망은 입력이 전달되고 출력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가중치와 같은 매개 변수를 학습하는 뉴런으로 구성되고, 영상 분류에 가장 적합한 방법론으로 사용된다. 기존의 의류 이미지 분류 작업에서 대부분의 분류 모형은 의류 이미지 자체 또는 전문모델 착용 의류와 같이 통제된 상황에서 촬영되는 온라인 제품 이미지를 사용하여 학습을 수행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통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촬영되고 사람들의 움직임과 다양한 포즈가 포함된 스트릿 패션 이미지 또는 런웨이 이미지를 분류하려는 상황을 고려하여 분류 모형을 훈련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이동성을 포착하는 런웨이 의류 이미지로 모형을 학습시킴으로써 분류 모형의 다양한 쿼리 이미지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 모형 학습 시 먼저 ImageNet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pre-training 과정을 거치고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32 개 주요 패션 브랜드의 2426개 런웨이 이미지로 구성된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fine-tuning을 수행한다. 학습 과정의 일반화를 고려해 10번의 실험을 수행하고 제안된 모형은 최종 테스트에서 67.2 %의 정확도를 기록했다. 본 연구 모형은 쿼리 이미지가 런웨이 이미지, 제품 이미지 또는 스트릿 패션 이미지가 될 수 있는 다양한 분류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패션 위크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브랜드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패션 잡지사의 편집 작업에 사용되어 브랜드나 스타일을 분류하고 라벨을 붙일 수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에서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거나 유사한 아이템을 추천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에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