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위젯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Widget Guideline for TV Environment (TV 시청 환경에 적합한 위젯 가이드라인 제안)

  • Wi, Seung-Yong;Yi, Sang-S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01-1008
    • /
    • 2009
  • Newsweek 가 2007 년을 '위젯의 해'라고 선언할 정도로 IT산업에서 위젯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위젯은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전달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작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의 일종을 뜻한다. 위젯은 웹 사이트와 연동하여 제 기능을 다할 뿐 아니라 데스크톱, 모바일, 심지어 TV로까지 연동될 채비까지 갖추어 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TV 환경에서는 TV용 위젯 그래픽 가이드라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TV 시청 환경에 적합한 위젯 가이드라인을 제안함에 있다. TV와 PC의 사용 환경은 서로 다르며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볼 수 있다. 첫째는 목적적 측면이다. PC는 주로 작업, 검색의 목적을 가지고 있는 반면, TV는 즐기고, 쉬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둘째는 조작적 측면이다. PC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 도구를 사용하여 문자와 위치 등을 쉽게 입력하고 다양한 조작을 할 수 있는 반면, TV는 리모컨으로 제한적인 조작을 한다. 셋째는 시청 환경적 측면이다. TV의 시청거리는 PC나 모바일 보다 멀다. 그리고 보편적으로 가족이 공유하는 미디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세 가지 선행연구를 종합하였다. 첫째, 위젯의 정의와 유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둘째, TV와 PC환경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셋째, 위젯과 TV의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TV 환경에 적합한 위젯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연구자는 가이드라인을 콘텐츠, 그래픽, 인터랙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또한 연구자가 제안하는 가이드라인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 가이드라인에 토대로 한 TV 용 위젯을 제안한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의 40 인치 HDTV를 중심으로 제한한다. PC 에서처럼 TV 에서 위젯이 정착하기 까지 많은 시행착오가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본 연구가 TV 환경에 적합한 위젯에 관한 연구의 시작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for users' core needs on the idle screen of mobile phone, With special focus on the SKT mobile widget service (휴대폰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핵심 니즈 도출 사례 연구 - SKT 모바일 위젯 서비스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Kang, Wook;Kim, Seong-Kyoon;Kim, Tae-Il;Kim, Ju-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165-169
    • /
    • 2008
  • 무선 네트워크의 대역폭 향상 및 무선 단말기의 컨버전스화로 인해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가 기능해 지고 있으며 특히 대기 화면은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의 Entry Poin 로써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좀 더 많은 Customize 가 가능한 공간으로 점차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 내외 이동 통신사와 단말 제조사들은 각기 개성 있는 대기화면 모바일 위젯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에서 기획되어 아직까지는 사용자들의 높은 호응을 받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Latent 한 Core Needs 를 파악하기 위해 Ethnographic Observation 조사 기법과 Online Survey 및 FGI 를 병행하여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가치를 두는 시사점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모바일 위젯 서비스를 기획/개발하는데 반영할 수 있는 UI Feature 들을 도출하였다.

  • PDF

Recognition of GUI Widgets Utilizing Translational Embeddings based on Relational Learning (트랜슬레이션 임베딩 기반 관계 학습을 이용한 GUI 위젯 인식)

  • Park, Min-Su;Seok, Ho-Sik
    • Journal of IKEEE
    • /
    • v.22 no.3
    • /
    • pp.693-699
    • /
    • 2018
  • CNN based object recognitions have reported splendid results. However, the recognition of mobile apps raises an interesting challenge that recognition performance of similar widgets is not consistent.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we propose a noble method utilizing relations between input widgets. The recognition process flows from the Faster R-CNN based recognition to enhancement using a relation recognizer. The relations are represented as vector translation between objects in a relation space. Experiments on 323 apps show that our method significantly enhances the Faster R-CNN only approach.

모바일 웹 플랫폼 기술 표준화 동향 및 전망

  • Kim, Hae-Yeong;Choe, Un-Hae;Lee, Gyeong-S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5
    • /
    • pp.24-29
    • /
    • 2010
  • 본고에서는 모바일 웹 플랫폼과 관련된 기술의 표준화 동향 및 향후 전망에 대하여 알아본다. 최근 웹 어플리케이션을 위젯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기술의 표준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표준화 단체인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와 Open Mobile Terminal Platform (OMTP)에서는 위젯과 디바이스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에 대한 규격 표준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기술은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이 Native 언어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과 동등한 수준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표준 위젯 규격에 기반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유통 환경으로 확대하기 위한 산업 표준 단체로서 최근 Joint Innovation Lab (JIL)과 Wholesale Applications Community (WAC)이 설립되었다. JIL과 WAC은 다수의 이동통신사의 연합체로 구성되어 개발자와 이용자, 단말에서 네트웍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관련 표준 규격을 정의하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WAC은 기존 산업 표준의 적극적 채용, 신속한 상용서비스 도입 등을 통해 산업과 소비자의 필요를 충족시키려 함으로써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OpenVG Engine-Based UI Widget Component System Design and Development (OpenVG 엔진 기반의 UI 위젯 컴포넌트 시스템 설계 및 개발)

  • Kim, Jae-Hyung;Choi, Yun-Ho;Kim, Jong-Jin;Lee, Jeong-Wha;Jang, Jin-Kun;Son, J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17-1420
    • /
    • 2007
  • OpenVG는 낮은 수준의 하드웨어 가속 기능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2D 벡터 그래픽 렌더링 API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환경에서 높은 화질의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OpenVG 엔진을 이용한 실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구현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이유는 OpenVG API에서는 기존의 개발 환경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위젯 컴포넌트(Widget Component)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OpenVG를 용이하게 사용하여 효율적인 UI 구현을 위한 위젯 컴포넌트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OpenVG 엔진을 기반으로 위젯 컴포넌트와 그들 사이의 계층 구조와 상관 관계를 설계하고, 시스템이 구동되는 방식을 기술한다.

  • PDF

Design of Authoring Tool for generating WIPI Codes using GUI Widget (GUI 위젯을 이용한 위피 코드 생성 저작도구 설계)

  • Lee, Dong-Su;Park, Ki-Chang;Kim, Chul-Hyun;Lee, Sang-Jun;Kim, By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331-334
    • /
    • 2008
  • 현재 위피 저작도구는 위피 코드 작성의 편의성이 부족하고, 시각화를 배제한 문법 중심의 프로그래밍 도구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규모가 작은 위피 응용프로그램의 경우에도 직접 코딩해서 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위피 상위레벨(High level) 컴포넌트를 GUI 위젯(Widget)으로 시각화하고, 이를 모바일 레이아웃에 쉽게 적용한 후, 위피 코드로 렌더링(Rendering) 해주는 저작도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젯, 기본 위피 코드, 에뮬레이터 관리를 위해 W2PM(Widget and WIPI Platform Management)을 제안하고, 이를 시스템 기능 요구사항에 반영하여 GUI 위젯을 이용한 위피 저작도구를 설계한다. 제안한 도구는 개발자가 Look & Feel을 자유롭게 조정하고, 중.소규모의 위피 응용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효율적이다.

Patient-driven Physio-Grid Service with Ambient Mobile Widget Manager (앰비언트 모바일 위젯 매니저를 이용한 환자 지향의 Physio-Grid 서비스)

  • Kim, Moonjung;Youn, Cha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554-557
    • /
    • 2010
  • 실시간 모바일 웹 환경이 e-Healthcare 시스템과 통합 적용되었을 때, 보다 사용자 중심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심혈관 질환 진단 시스템인 PhysioGrid 시스템의 의료 정보 서비스를 모바일 환경 하에서 고품질의 사용자 중심적인 의료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시스템 인터페이스상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최근 모바일 인터페이스에 매우 큰 변화를 가져온 모바일 위젯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도입한 서비스 모델을 정의하였다. 또한 정보 전달 기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진보된 경험 수준을 제공할 수 있는 앰비언트 디스플레이(Ambient display) 개념을 적용하여,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검토하고 평가한다.

Mobile service design supporting for Sales Business work (영업직 비즈니스맨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터치 폰 위젯 서비스를 중심으로-)

  • Lee, Hyun-Jhin;Pak, Hye-Yeon;Jang, Dae-Seo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895-900
    • /
    • 2009
  • This study focused on user centered design methodology on mobile service design, Especially we designed business supporting service for sale persons with heavy mobile uses in their works. We used contextual inquiry interview to understand user's work context and mobile usage. The findings are applied to the service concept, And information architecture, interaction design, GUI design is followed. As a result of design research, Post widget service is designed for instant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functional relationship. And Memory box widget service is designed for business network management and contextual findability. Those services are developed for widget design on touch based phone platform.

  • PDF

A Study on Fun Elements of Web 2.0 Blog Widget (Web 2.0 블로그 위젯의 재미 요소에 대한 연구)

  • Choi, Sung-Kyu;Kim, Kee-Sung;Jang, Seok-Hyun;Whang, Min-Cheo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785-790
    • /
    • 2009
  • Widgets are the instrument for representing user's character and embossing the value of blogs. The compound word of the Windows and Gadget the application, widgets are the functional program to displayed on the screen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ools as a kind of service that user want to see. On the operating system, the Web, and mobile area, widgets offer the delivery of information, convenience and efficiency. However widgets have been never gave satisfaction to user because it focused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representing circumstance than fun. This study is for recognized fun elements that user feel interest and categorized fun elements each type of widgets. Fun elements of widget never been defined, we use fun elements on design and product area and emotional word that is representative of affectivity. And we make up an online questionnaire to blog users. The widget selected by popular degree among the domestic widgets and the Japanese widget.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hat 5-scales used based on user preferences to identify the elements that are fun.

  • PDF

GUI-based Detection of Usage-state Changes in Mobile Apps (GUI에 기반한 모바일 앱 사용상태 구분)

  • Kang, Ryangkyung;Seok, Ho-Sik
    • Journal of IKEEE
    • /
    • v.23 no.2
    • /
    • pp.448-453
    • /
    • 2019
  • Under the conflicting objectives of maximum user satisfaction and fast launching, there exist great needs for automated mobile app testing. In automated app testing, detection of usage-state chang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minimizing human intervention and testing of various usage scenarios. Because conventional approaches utilizing pre-collected training examples can not handle the rapid evolution of apps, we propose a novel method detecting changes in usage-state through graph-entropy. In the proposed method, widgets in a screen shot are recognized through DNNs and 'onverted graphs.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ith a SIFT (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 based method on 20 real-world apps. In most cases, our method achieved superior results, but we found some situations where further improvements a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