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바일 웹 앱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8초

바코드와 QR 코드의 비교와 활용 (A Using and Comparison of Bar Code and QR code)

  • 주헌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1권1호
    • /
    • pp.269-27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바코드와 QR 코드에 대해서 비교 및 활용을 나타내었다. 최근 모바일기기 사용 확대와 휴대 편리성으로 휴대폰의 편리성이 증가하면서 QR 코드의 사용이 대두되고 있다. 바코드는 1차원 코드로서 물류 및 판매정보관리시스템(POS)에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정보량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QR는 다층형 코드로서 바코드에 비해서 정보량과 정보의 종류에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휴대폰의 앱 기능의 활발한 이용으로 결제시스템, 명함, 웹, 이메일, 홍보,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영역에서 QR 코드의 활용이 상당히 빈번하게 이용 될 것으로 사료한다.

  • PDF

웹/모바일-어플리케이션 접속 지표와 TCS 교통량의 상관관계 연구 (Exploring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Information Web/Mobile Application Access and Actual Traffic Volume on Expressways)

  • 류인곤;이재영;최기주;김정화;안순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4
    • /
    • 2016
  • 최근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으로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자유로운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해졌다. 이는 통행 전은 물론 통행 중 교통정보 검색이 매우 편리해졌음을 의미한다. 고속도로 교통정보 탐색 행태의 기반이 되는 상관성 분석을 위하여, 웹과 모바일-앱의 접속 지표에 대한 정상성 여부를 검증하고, TCS 교통량과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그 결과 첫째, 시간대별 웹/모바일-앱의 접속 지표에 대한 ADF-검정, PP-검정 결과, 로그변환이나 차분변환 없이도 시계열의 정상성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속도로 진출입 교통량과의 피어슨 상관계수를 검토한 결과, 웹/모바일-앱의 모든 접속 지표는 뚜렷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 트럭의 TCS 진입 교통량은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계열 변수 사이에 존재하는 발생시간의 시차 관계(동행성, 선행성, 후행성)를 규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바일 이용자는 모든 웹 접속 지표보다 선행하고 있었으며, 모바일 실행횟수는 모든 웹 접속 지표와 동행함을 발견하였다. 넷째, 고속도로의 진입 교통량에 선행하는 웹/모바일-앱 접속 지표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웹 페이지뷰/방문자/신규방문자/재방문자, 모바일 실행횟수는 오히려 고속도로 진입 총 교통량과 비교시 1시간의 후행 시차에서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후 분석의 공간적 범위와 시간적 범위를 세분화하고 교통정보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면, 경로 전환 시점/비율과 같은 개별 통행행태까지도 예측할 수 있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 OpenStack 기반 위성영상분석처리 서비스 시험구현 (Testing Implementation of Remote Sensing Image Analysis Processing Service on OpenStack of Open Source Cloud Platform)

  • 강상구;이기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41-152
    • /
    • 2013
  • 2013년 현재 클라우드(Cloud) 컴퓨팅 서비스는 정보통신기술분야의 핵심 기술 동향 중 하나로서 이에 관련된 기술이나 사업 응용 분야가 계속 발전,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기반 요소인 클라우드 플랫폼 중에 하나인 OpenStack은 오픈소스 기반으로 몇 가지의 내부 기술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서비스 목적에 따라 상업적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고도 독자적인 공개 및 비공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정보 분석처리 시스템을 시범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로 설정하여 OpenStack을 기반으로 비공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설계, 구축하는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현된 서비스는 세부적으로 인스턴스 서버, 웹 서비스, 모바일 앱으로 구분하였다. 인스턴스 서버는 실제 위성영상정보 분석처리, 데이터베이스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웹 서비스는 사용자로부터 위성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모바일 앱은 위성영상정보의 시각화 및 분석처리 요청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방송통신사업자의 스마트미디어 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HTML5,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술적 배경을 근간으로

  • 송민정
    • 방송과미디어
    • /
    • 제18권1호
    • /
    • pp.89-104
    • /
    • 2013
  • 다양한 스마트기기 간 및 앱(Application) 간 연동을 통한 스마트미디어 생태계 환경에서 애플(Apple), 구글(Goog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등 SW(Software) 기반 OS(Operating System) 플랫폼들은 개별 체제 강화를 더욱 견고히 하고 있다. 생태계 내 타(他) 구성원들은 이들에 의한 제약이 더욱 심해지자, 웹 문서의 표준화(HTML5)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같은 개방화된 기술들을 환영한다. 실제로 최근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 개발과 개발자들의 OS 플랫폼 이탈은 이러한 변화의 단면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본 고는 SW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이동 중인 플랫폼 경쟁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보유 중인 방송통신사업자들의 새로운 스마트미디어 전략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두 가지 기술적 배경인 HTML5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들을 살펴본 후, 그 동안 SW 중심 플랫폼 경쟁 환경에서 주도권을 빼앗겼다고 깨달은 방송통신사업자가 취해야 할, 두 가지 새로운 기술적 환경에서의 스마트미디어 전략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HTML5가 모바일 분야의 핵심 기술이 될 전망이지만, 단기적으로는 여전히 미성숙 문제가 제기될 것으로 보이며, 기존 경쟁력을 유지하려는 OS 사업자들의 가치사슬 통합 전략이 가시화되고 있는 환경이 목격된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도 이미 이들 OS사업자들의 기존 생태계 유지를 위한 핵심 툴로 이미 활용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TML5와 클라우드 컴퓨팅은 방송통신사업자들에게 생태계 주도권을 탈환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세 가지 이용자 경험인 '경계 없는', '동질적인', '끊김 없는' 이용자 경험(User Experience) 제공을 위해 노력하는 선도적인 사례 탐색이 시도되었으며, 이를 통해 방송통신사업자들의 미래 스마트미디어 전략 방향이 도출되었다. '경계 없는' 서비스에서는 구글, 애플 외의 멀티OS 전략과 기존 OS의 앱 서비스 대항마인 아마존(Amazon), 페이스북(Facebook) 등과의 적극적 서비스 제휴, '동질적인' 서비스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주요 콘텐츠 플랫폼 제휴와 방송통신 가입자 기반의 All-IP기반으로의 확대, 마지막으로 '끊김 없는' 서비스에서는 SNS, LBS, 가상현실 등과의 매쉬업(Mash-up)과 의료, 금융 등과의 융합서비스 개발을 통한 스마트홈 전략 추진, 인증 및 결제시스템의 개방화 등이 제시되었다.

치매예방을 위한 헬스케어 알리미 앱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 a Healthcare Alert App to Prevent Dementia)

  • 피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59-67
    • /
    • 2018
  • 고령자들에 국한된 M-Health 관련 서비스는 많지 않다. 치매발병 위험성이 있는 고령자의 다수가 스마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므로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쉽고 터치버튼의 크기를 최대화한 사용자 맞춤형 앱설계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음성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음성알리미 통합앱을 설계, 구현하여 치매 등 인지기능 저하에 따른 질병을 예방하고자 한다. 경북 H지역의 평생교육원 수강생들에게 앱을 배포 후 개별 인터뷰와 설문검사를 실시 후 분석한 결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음성 헬스케어 알리미 앱을 통해 치매예방을 할 수 있어서 고령자들의 M-Health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웹 DB에 저장된 자료를 딥러닝을 통해 학습하여 고령자들의 생활패턴과 치매가능성 여부를 예측하고자 한다.

디지털교과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방법론 비교 분석: 선택기준, 사례연구 및 적용 시 문제점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s for Electronic Textbooks: Criteria, Case Study and Challenges)

  • 이희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7권4호
    • /
    • pp.145-152
    • /
    • 2018
  • 디지털교과서는 기존의 종이 기반 교과서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나 대화식 시뮬레이션, 대화형 퀴즈 및 콘텐츠 공유와 같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교과서다. 디지털교과서는 머지않은 장래에 전통적인 종이 기반 교과서를 점차적으로 대체 할 것이라 예상된다. 디지털교과서 개발 시 모바일에서 접속을 고려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경우 어떤 개발 방식을 선택할 것인가 하는 것은, 정보공유, 플랫폼 독립성, 성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정해져야 한다. 네이티브, 웹, 하이브리드로 대표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식 중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교과서 개발에 고려해야할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HTML5는 웹 응용 프로그램에 비디오 클립, 플래시 무비 및 시뮬레이션 기반의 데모와 같은 풍부한 멀티미디어를 통합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웹표준이며, 여러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 독립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디지털교과서에 사용될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3가지 개발법의 적합성을 조사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또한, HTML5 및 JavaScript를 이용하여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이러한 장점을 지닌 HTML5가 디지털교과서개발에 사용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예: 웹 브라우저와의 호환성)을 분석하였다.

R&D활동 지원 개인지식도구에 관한 서비스 모델 (A Service Model of Personalized Knowledge Tool for R&D Activities)

  • 최희석;김재수;박지영;심형섭;류범종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5-396
    • /
    • 2015
  • 최근 정보기술과 모바일 환경의 발전에 따라 서비스의 패러다임이 웹에서 앱 중심으로 다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연구자의 R&D 생산성 제고를 위한 노력들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R&D활동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기반 개인지식도구에 관한 서비스 모델을 제안한다. 네트워크 기반 개인지식도구는 국내외 과학기술정보 뿐만 아니라 연구자 개개인이 보유한 정보들도 융합하여 R&D활동 과정에서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또한 개인별 도구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개인화된 정보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지오펜스와 하이브리드 비콘을 이용한 입원환자 출입관리시스템 (In-patient Access Control System using geofence and hybrid beacon)

  • 손원석;이현동;조대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03-406
    • /
    • 2017
  • 지오펜스와 하이브리드 비콘을 이용한 입원환자 출입관리시스템은 모바일 앱, 관리자는 웹 화면을 이용해 입원 환자들의 병원 출입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외출 시스템은 환자가 외출 신청서를 수기로 작성하고 주치의의 허락 하에 외출하는 형태이지만, 신청서 작성 과정을 거치지 않고 무단으로 외출하는 환자의 경우 외출 시점이나 현재 위치 등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무단 외출 환자를 즉각적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환자들이 음주 또는 귀원하지 않는 등의 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오펜스와 하이브리드 비콘을 이용해 환자들의 병원 출입 유무의 정확성을 높이고 무단 외출 환자를 즉각적으로 파악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SNS 공유를 위한 UCC 제작 앱 개발 (The Development of UCC Production App for Sharing on the SNS)

  • 장은겸;김정은;김형석;이경민;최경훈;이다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155-156
    • /
    • 2015
  • 대중화된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가 제작한 콘텐츠를 빠르고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App을 개발하였다. 기존 사용자 영상 콘텐츠 제작 환경에서는 필요 이상의 소음과 잡음이 혼재하여 영상에서 풍기는 이미지의 감동을 저해하고 있다. 이러한 주의의 소음과 잡음으로부터 영상을 보호하도록 배경음악을 영상과 함께 재생하여 영상의 감동과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App이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 간편하게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페이스북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빠른 공유를 할 수 있다.

  • PDF

OpenAPI를 활용한 iOS기반 공공안내그림표지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ictogram Application bassed on iOS in OpenAPI)

  • 조현성;박석천;박준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14-717
    • /
    • 2013
  •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현재 앱스토어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나오고 있다. 이와 같이 급속하게 발전하는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모바일디바이스에서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으로 확인 할 수 있는 표준정보의 부재가 심각하다. 본 논문에서는 확인하기도 힘들고 활용하기도 어려운 기술표준 관련 정보를 공공안내그림표지 OpenAPI를 활용하여 보다 쉽게 이용 가능한 iOS 기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구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