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tandardizations for Future Mobile Web Application (차세대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표준화 동향)

  • Jeon, J.H.;Lee, S.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1
    • /
    • pp.100-113
    • /
    • 2010
  • 최근 스마트폰의 도입/확산과 함께 본격화되고 있는 모바일 인터넷의 변화는 하드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까지 모든 면에서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다. 아이폰과 안드로이드의 등장은 모바일 2.0 시대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로 새로운 단말과 플랫폼의 무궁무진한 가능성, 그리고 모바일의 미래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과거 단말 위주의 경쟁은 어느덧 플랫폼과 응용 위주의 경쟁으로 바뀌었으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경쟁력이 핵심 경쟁력이 되었다. HTML5, Device API 등의 진화된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과 결합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위젯, 오프라인 지원,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형태와 가능성들을 보여주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 동향과 관련 표준화 동향을 고찰함으로써 미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술의 진화 방향과 그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Agile Framework for Mobile Web Standards (모바일 웹 표준 기반 경량화 프레임워크)

  • Shin, Seung-Woo;Park, Eun-Ju;Kim, Hae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448-451
    • /
    • 2009
  •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의 성능향상으로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구동환경이 개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수요가 국내외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PC환경과 달리 개발 환경 및 표준에 대한 고려가 적어 많은 개발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Web-프레임워크를 통해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웹 개발 프레임워크 기반의 개발방법론을 제안하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모바일 웹 표준을 준수하는 개발방법론을 제안한다. Ruby on Rails기반의 모바일 웹 개발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웹 표준을 준수하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적용한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고 기존 웹 개발 프레임워크와 개발방법론을 비교, 평가한다.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신속한 개발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모바일 웹 표준 환경을 준수하여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의 품질과 신뢰성을 획득할 수 있다.

Agile Framework Supporting Mobile Web Standards (모바일 웹 표준 지원을 위한 애자일 프레임워크)

  • Seung-Woo Shin;Haeng-K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554-557
    • /
    • 2008
  •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의 웹 접근 환경이 PC환경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형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곳에서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으나 모바일 웹 표준을 도입하여 개발을 수행하는 곳은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경량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레임워크인 Ruby on Rails[1]를 기반으로 하여 최근 W3C에서 정의된 모바일 웹 표준을 준수하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제안한다. Ruby on Rails기반의 모바일 웹 개발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웹 표준을 준수하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개발을 수행할 경우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도입함과 동시에 모바일 웹 표준 환경을 준수하여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의 품질을 보증할 수 있으며 신뢰도도 획득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정상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Performance Analysis of Mobile Application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따른 성능 분석)

  • Kim, Hyung-Chan;Hong, Seung-Pyo;Joo, S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d
    • /
    • pp.9-12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기업들은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각 플랫폼 별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데 상당한 노력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멀티 플랫폼 지원을 위한 대안으로 모바일 웹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으나 성능 저하 등의 이유로 실제 서비스 개발시에 채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웹 등 다양형 형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유형별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 데이터의 양에 따른 응답시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통해 제작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량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선택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였다.

An Architecture of Mobile Web Application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SW 아키텍처 및 인터페이스 관련 연구)

  • Lee, S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285-128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요구사항 변화에 기민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의 뷰를 제공하는 프리젠테이션 레이어,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레가시 레이어와 프리젠테이션 레이어와 레가시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중재레이어로 구성되어 시스템을 구축한다.

Lightweight Framework For Supporting Mobile Web Development (초고속 모바일 웹 개발을 위한 경량화 프레임워크)

  • Shin, Seung-Woo;Kim, Haeng-Ko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0 no.4
    • /
    • pp.127-138
    • /
    • 2009
  • Mobile web applications are being used and changed rapidly due to the growth of mobile device performance. But, cost of development environment and standards make the high development cost and low productivity. It is main reason tha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applications are more time consuming than general computing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MWeb(MobileWeb)-Framework based on the agile methodology and Ruby on Rails that is a kind of framework for supporting mobile web application development using mobile web standards. This work consists of the mobile web development architecture and agile process model. MWeb-Framework will support the same user experience to the different devices. We validates the framework by implementing the case studies through suggested mobile web development framework. As a result, we can develop the mobile web applications with productivity and quality. In the future, we will suggest how to make the MWeb-Framework standardization and practically apply the frameworks the various case studies to improve framework potentially problems.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XML based Wired.Wireless Web Application for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XML기반 유무선 웹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 An, Hyoung-Keun;Koh, Jae-Jin;Yang, S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33-136
    • /
    • 2005
  • 최근 인터넷과 이동통신이 결합된 무선휴대단말기에서 인터넷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주는 모바일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성장단계의 새로운 차세대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로 진입하게 되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장치들은 애플리케이션 및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에 연결되지 않으면 모든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초기의 웹 애플리케이션들이 사용되기 시작되었을 때는 이러한 환경을 예측하지 못했으며, 현재는 기존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점을 성취하기 위한 한 가지 접근법이 공통된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변환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ML과 XSLT 기반의 접근방식의 켄텐츠 변환을 제안 구현하며, 유비쿼터스 환경에 맞는 유무선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Web based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for Supporting Multi Platform (멀티 플랫폼 지원을 위한 웹 기반 통합개발환경 구현)

  • Lee, MyeongChun;Sin, Saim;Jang, Dalwon;Lee, JongSeol;Jang, Sei-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150-152
    • /
    • 2015
  • 본 논문은 개발자에게 멀티플랫폼 지원을 위한 웹언어 기반의 하이브리앱 개발환경을 제안한다. 최근 웹 기술의 발달로 웹 언어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이 증가 하고 있다. 그러나 웹 언어로 구현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디바이스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고유의 자원들에 대한 사용이 어려우며,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배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개발환경을 구현하여 개발자들이 웹언어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제안하는 통합개발환경은 안드로이드와 타이젠 운영체제를 지원하며, 브라우저 기반의 웹 에뮬레이터와 애플리케이션 패키징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개발되는 소스코드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웹 에뮬레이터에서 디바이스 고유의 리소스를 사용하기위한 API를 설계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검증을 위해 타이젠 기반의 IVI 디바이스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웹 언어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 한다.

  • PDF

Improved Session Management for Mobile Workflow in Web Application Service (모바일 환경을 위한 웹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세션 관리 개선방안)

  • Kim, Young-hun;Park, Y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387-389
    • /
    • 2014
  • It is preferred to the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 business processes through mobile. The ratio of Internet access via mobile devices is reached 30% of PC in September 2012. It is reproduced in a mobile environment that security threats arising from the Internet.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cyber security threats appearing on the mobile era. Web Application Service security research firm OWASP (The 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 issued Session Management threat. That threat will be reproduced in the mobile environment. But Mobile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Desktop Computer about Session Management environment. This proceeding proposes a improved Session Management method in Mobile environment.

  • PDF

Performance Comparison of XML Parsers for Android Applications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XML 파서 성능비교)

  • Jeong, Kil-Hyun;Lee, Jong-Jin;Lee, Ji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97-99
    • /
    • 2012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개발 방법 중에서 파서는 중요한 요소로써 쓰이고 있으며 그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또 각 파서마다 데이터를 파싱하는 방법이 모두 다르며 구현되는 구조 또한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되는 파서를 분석하여 웹 서버를 거쳐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방식을 좀 더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로 구현하고자한다. 구현방법으로는 파서의 성능 비교를 웹 전송부분을 제외한 파싱 속도를 측정한 방법과 웹 전송부분을 포함한 파싱 속도를 측정하는 두 가지 방법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웹 전송부분을 제외한 방법에서는 DOM 파서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고 웹 전송부분을 포함한 방법에서는 SAX 파서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에서 웹 서버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가져와 파싱하는데 사용할 파서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