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델의 다양성

Search Result 5,915, Processing Time 0.066 seconds

Ensemble Composition Methods for Binary Classification of Imbalanced Data (불균형 데이터의 이진 분류를 위한 앙상블 구성 방법)

  • Yeong-Hun Kim;Ju-Hi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689-691
    • /
    • 2023
  • 불균형 데이터의 분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앙상블 구성 방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앙상블의 성능은 앙상블을 구성한 기계학습 모델 간의 상호 다양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기존 방법에서는 앙상블에 속할 모델 간의 상호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Feature Engineering 을 사용하여 다양한 모델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럼에도 생성된 모델 가운데 유사한 모델들이 존재하며 이는 상호 다양성을 낮추고 앙상블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불균형 데이터의 경우에는 유사 모델 판별을 위한 기존 다양성 지표가 다수 클래스에 편향된 수치를 산출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다양성 지표를 개선하고 가지치기 방안을 결합하여 유사 모델을 판별하고 상호 다양성이 높은 후보 모델들을 앙상블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로써 제안한 방법으로 구성된 앙상블이 불균형이 심한 데이터의 분류 성능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복합다양체 솔리드모델러의 자료구조 비교

  • 최국헌;하순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10a
    • /
    • pp.681-686
    • /
    • 1993
  • 솔리드 모델의 새로운 분야인 복합다양체 모델을 지원하는 자료구조중 Radial-edge 자료구조 Vertex-Based 자료구조, 부분면 자료구조에 대하여, 각각의 위상요소들을 살펴보고 그들의 차이점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각 자료 구조들은 각각 독특한 장점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Radial-edge 자료구조는 자료의 저장성 및 알고리즘의 복잡성 등에서 무난한 편이며, 부분면 자료구조는 자료 저장공간 측면에서 유리하고, Vertex-based 자료구조는 꼭지점에서의 복합다양체 상황 표현이 가장 명확히 됨을알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복합다양체를 지원하는 자료구조들의 특징과 차이점의 분석을 통하여 복합다양체 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 PDF

A Variability Model for Mobile Contexts (모바일 컨텍스트의 가변성 모델)

  • Lee, Jae-Yoo;Kim, Soo-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124-127
    • /
    • 2011
  •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산 능력 향상으로 다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에 장착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컨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한 모바일 컨텍스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요구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모바일 컨텍스트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종류와 운영체제, 정보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모바일 컨텍스트의 다양성에 의해 모바일 컨텍스트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모바일 컨텍스트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모바일 컨텍스트의 가변성 모델을 제안한다. 가변성 분석을 통해 모바일 컨텍스트의 다섯 가변점과 각 가변점의 가변치를 정의한다. 또한 제안된 가변성 모델을 기반으로 활용 가능한 사례를 제시하고, 제안된 모델의 평가를 수행한다.

Competency Theory and Practice for Developing a Extension Competency Model (농촌지도 역량모델 개발을 위한 이론과 실제)

  • Shim, Mi-Ok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5 no.1
    • /
    • pp.75-111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농촌지도인력 역량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역량의 정의, 역량모델 개발방법,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역량모델 활용 현황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역량은 사용되는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어 사전적인정의와 다양한 연구자들의 역량의 정의에 대한 이론, 특정한 조직이나 직업군에서 사용되고 있는 역량의 정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역량은 개인의 역할 수행과 직무성과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훈련과 개발을 통하여 개선되어질 수 있는 관련된 지식, 기술, 태도의 집합체로 정의하였다.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방법도 다양한데, 초기단계에서는 탁월한 직원과 일반직원의 특정한 업무추진사례를 인터뷰와 관찰을 통하여 분석하여 이들 간에 차이를 가져오는 특성이나 행동을 추출하는 직무역량진단법이 주로 활용되었다. 이 방법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어 이를 간소화한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다. 또한 기존 직원 특성 분석보다 다양한 정보원과 미래에 대한 가정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직무 결과와 역량, 역할을 추출하는 방법도 개발되었으며 직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적인 특성상 이런 방법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런 다양한 방법 중 역량 모델을 활용할 직무나 조직의 특성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역량모델을 활용한 인적자원개발을 통하여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조직에서도 효율적인 직원 역량 개발, 개인과 조직의 성과 향상 등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 농촌지도조직에서도 지도인력 역량 개발과 지도사업의 효율성을 향상을 위하여 역량모델을 개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 PDF

Regularization of 3D Building Models (3차원 건물모델의 정규화)

  • Kim, Seong-Joon;Lee, Im-Pye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296-300
    • /
    • 2009
  • 가상현실이나 인터넷 웹지도 서비스와 같이 3차원의 실세계를 시스템 상에 그대로 재현(reconstruction)하기 위해서는 정교하고 세밀한 3차원 도시모델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3차원 도시모델의 자동생성은 원격탐사 및 사진측량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다양한 센서 데이터와 기 구축되어 있는 GIS자료를 이용하여 건물, 도로, 지형 등의 도시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하고자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추출한 각 기본요소(primitives)-평면패치(planar patches), 에지(edges), 모서리(corners)에 대한 국부적인 정제(refinement)는 수행하였으나, 생성한 건물 모델에 대한 광역적인 조정을 통한 정규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B-rep (boundary representation) 형태의 건물 모델에 대하여 기하학적인 제약요소(constraints)를 이용한 정규화(regularization)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건물의 Domain Knowledge에 기반하여 도출한 건물을 구성하는 기본요소(primitives)간의 인접성, 직교성, 평행성, 교차성 등의 다양한 제약조건을 이용하여 광역적으로 조정한다. 시뮬레이션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의 분석을 통해 제안된 정규화 방법을 통해 오차가 포함된 건물모델이 보다 정형화된 형태로 조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ssessing the skills of CMIP5 GCMs in reproducing spatial climatology of precipitation over the coastal area in East Asia (CMIP5 GCM의 동아시아 해안지역에 대한 공간적 강우특성 재현성 평가)

  • Hwang, Syewoon;Cho, Jeapil;Park, Cha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0-360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특성의 변화는 다양한 기상이변과 극한사상의 발현으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슈이다. 일반적인 기후변화 연구는 전지구 기후 모델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산출물에 기반하여 생산된 미래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최근 국내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는 자료는 IPCC 5차보고서(AR5)의 과학적 기반자료로 활용되는 CMIP5(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GCM 산출물이다. 수자원, 농업, 경제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변화 영향평가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미래기간에 대한 GCM 산출물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평가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모델의 신뢰성은 산출물의 실제 현상에 대한 재현성을 평가함으로서 가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지역에 대한 전지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의 격자단위 관측자료를 수집하여 과거기간(1970~2005)에 대한 강우특성 공간분포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GCM 산출물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위도와 경도에 따른 강우특성의 공간적 변동성에 대한 GCM 결과의 상관성과 평균/절대오차를 산정하여 29개 CMIP5 GCM의 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였다. 이 분석은 동아시아 해안지역과 한반도 지역을 구분하고 다양한 강우특성에 대한 재현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오차 통계와 대상지역에 따라 GCM 순위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공간분포의 패턴과 절대적 오차를 기준으로 판단한 GCM 순위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대체로 Hadley Centre 계열 모델의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강우특성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반도 지역만을 대상으로 평가했을 때 MPI_ESM_MR과 CMCC center 계열 모델의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반도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가중있게 고려되어야 할 GCM의 선정과 GCM 성능고려에 따른 기후변화 예측 불확실성 평가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영향평가 연구결과의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telligence level Measurement Model for Smart Home Appliances (지능형 홈 기기의 지능등급 측정을 위한 모델 개발)

  • Lee Hwan-Beom;Nam Yeong-Ho;Gwon Sun-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387-395
    • /
    • 2006
  • 홈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의 여러 응용분야 중 활발하게 연구 구현되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로, 최근 아파트 건설업체, 가전기기 업체, 통신서비스 업체들이 지능성을 갖춘 스마트 홈을 목적으로 다양한 시험제품과 솔루션을 출시 흑은 제시하면서 이를 자사의 중요한 마케팅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스마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스마트 홈 기기의 제품 경쟁력은 제품이 얼마나 지능성을 갖추어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가의 여부가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능형 홈 기기의 지능에 대한 측정기준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에서 정보가전기기를 지능성 측정 대상으로 하여 지능등급 부여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지능형 홈 기기의 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로봇분야의 다양한 문헌 고찰을 토대로 지능성 측정에 필요한 핵심 구성요소를 도출 및 재 정의하여 등급모델을 설계하였다. 특히 설계된 등급부여모델의 실질적 이용을 위해서는 평가방식에 있어서 계량화 절차가 요구된다. 따라서 평가모델의 특성상 다차원적인 지능성의 속성을 총합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퍼지이론(Fuzzy Theory)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정규화하기 위해 퍼지적분(Fuzzy Integral)을 이용하였다. 산출된 적분값을 다시 비퍼지화하여 지능성 등급을 부여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시된 지능성 등급부여 모델은 스마트 홈 네트워크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Conceptual Modeling of STEP Product Data Model Semantics for Interoperability (STEP 제품정보모델 시맨틱스의 컨셉추얼 모델링을 통한 상호운용성 확보)

  • Seo Won-Cheol;Sin Seung-Jun;Kim G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42-1349
    • /
    • 2006
  • 오늘날의 제품개발환경은 분산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역량을 가진 참여자들의 협업을 요구하고 있으며, 협업은 참여자들이 필요로 하는 제품개발관련 정보들의 실시간 교환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제품정보 간 상호운용성 확보를 기반으로 한다. STEP으로 알려진 ISO 10303은 제품개발의 전체적인 라이프사이클에서 필요한 제품정보의 표현과 공유 및 교환을 위한 대표적인 표준이다. 하지만 STEP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도메인이 표준인 STEP 모델에 기반하여 제품정보를 모델링 하여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메인은 자신의 목적에 따라 특화된 모델을 정의하고 사용하기 때문에 도메인에 특화된 형태의 제품정보모델을 STEP 모델로 변환할 수 있는 추가적인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즉, STEP은 참조모델보다는 모든 도메인에서 제품정보모델링을 위해 사용가능한 표준의 정의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므로 참조모델로서의 STEP을 기반으로 다양한 도메인 특화된 제품정보모델 간 상호운용성 확보를 지원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STEP 제품정보모델의 시맨틱스를 체계적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온톨로지 구축을 통한 컨셉추얼 모델링을 수행한다. 컨셉추얼 모델링은 STEP 모델에 정확하고 완전한 의미를 부여하여, 다양한 도메인 특화된 모델 사이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지원하고 참조모델로서 STEP의 능력을 확장한다.

  • PDF

Light-weight DDS using Overlay Networks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DDS 경량화 기법)

  • Ryu, Sanghyun;Kim, Inhyuk;Eom, You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571-1574
    • /
    • 2010
  • 최근 자료 송수신을 위한 분산 컴퓨팅 시스템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센서를 이용하는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분산 시스템들은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 중 분산 미들웨어는 다양한 하드웨어 시스템과 응용 시스템 중간에 존재하며 유기적인 연결을 돕는 역할을 해왔다. 분산 미들웨어는 크게 원격 객체 관리를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 메시지 패싱을 목적으로 하는 메시지 패싱 모델, 자료 분배를 목적으로 하는 출반-구독 모델로 나눌 수 있다. 이중출판-구독 모델은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다양한 수신 단말에 전송하기에 최적화된 구조를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출판-구독 모델인 Data Distribution Service 를 소개하고 특정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집중화를 막기 위해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A Dependency Analysis Mechanism For Error Recovery Automation in Coordinative Transaction Model (에러복구 자동화를 위한 협조 트랜잭션 의존성 분석 메카니즘)

  • 김경숙;정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190-192
    • /
    • 2001
  • 최근에 ACID를 특징으로 하는 기존의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모델을 확장함으로서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모델의 응용분야를 다양하게 확대시키고자 하는 고급 트랜잭션 모델(Advance Transaction Models)들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트랜잭션들로 구성된 사무업무 프로세스(Business Process)의 처리를 자동화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고급 트랜잭션 모델로서 협조 트랜잭션 모델을 정의하고, 본 데이터베이스 협조 트랜잭션 모델에서의 에러 복구 자동화를 구현하기 위한 협조 트랜잭션 의존성 분석 메카니즘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