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명화 마케팅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아트마케팅의 명화차용 유형이 광고태도와 진단성(Diagnosticity)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rt Infusion Types on Advertising Attitude and Diagnosticity in Art Marketing)

  • 김민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11-417
    • /
    • 2019
  •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의 예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아트마케팅이 대중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술작품을 활용한 광고 형식을 유형화 한 후 명화의 시장 노출 빈도에 따른 소비자들의 광고 효과(광고태도/회상/진단성)를 실험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첫째, 명화 활용 방식에 따른 회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재해석된 명화에 대한 진단성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장노출빈도가 적은 명화광고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회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장 노출빈도가 높은 명화를 재해석한 광고가 가장 회상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관여 제품에 한정하였으나 향후 저관여 제품에 대한 연구도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결과는 효과적인 명화차용 광고를 제작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명화(名畵)에서 유발된 감정이 차용된 제품과 제품속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rt-provoked Affect on Product and Product Attributes Evaluation)

  • 김한구;정보희;주우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99-130
    • /
    • 2011
  • 최근, 제품 디자인의 차별화 방법 중 하나로 제품에 명화(名畵)를 차용하는 이른바 '명화 마케팅(masterpiece marketing)'이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는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명화 마케팅에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명화에서 유발되는 감정이 제품 속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명화가 가지는 본질적 기능인 감상자의 정서 유발에 초점을 맞추어, 차용된 명화에서 유발되는 감정(affect)이 해당 제품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가설을 세웠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감정 연구에서 제시된 감정의 두 축, 쾌(pleasure), 환기(arousal)의 수준에서 차이가 나는 명화가 각각 제품에 차용되었을 경우, 소비자의 제품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 제품의 유형(실용재/ 쾌락재)과 각 속성(실용적 속성/ 쾌락적 속성)에 대한 평가의 차이를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긍정 감정을 야기하는 명화에 대한 선호도가 부정감정을 야기하는 명화에 대한 선호도보다 높았으며, 제품 유형에 관계없이 긍정감정을 유발하는 명화를 제품에 차용하였을 경우 부정감정을 유발하는 명화를 제품에 차용했을 때보다 제품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명화가 유발하는 감정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명화에 대한 선호도에 의해 매개됨을 밝혀냈다. 감정의 또 다른 한 축인 환기 수준이 높은 명화를 실용재인 우유에 차용했을 경우, 쾌락적 속성에 대한 평가가 높아진 반면, 환기 수준이 낮은 명화를 차용했을 경우에는 실용적 속성에 대한 평가가 높아졌다. 그러나 쾌락재인 초콜릿의 경우 이러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제품에 차용된 명화에서 유발되는 감정 수준(환기 수준)이 제품 유형에 따라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명화 마케팅에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명화에서 유발되는 감정이 제품 속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밝혀내었다. 둘째, 긍정/부정 감정에 초점을 두어 진행되었던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감정의 또 다른 축인 환기가 제품 속성평가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명화를 활용한 인터렉티브 스마트 사이니지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Art Infusion Interactive Advertising on Smart Signage)

  • 한광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01-107
    • /
    • 2020
  • 본 연구는 명화 활용 방식(변형 vs. 재해석)과 상호작용성 수준(고 vs. 저)을 독립변인으로, '제품 속성 기억정보(PRM: Product-Related Memory)'와 '광고 이미지 관련 기억정보(IRM: Image Related Memory)', 광고태도(Aad)를 종속 변인으로 하는 Two-Way MANOVA 분석을 통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명화를 활용한 마케팅이 증가하고 있으나 기억과 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변형 광고의 경우 상호작용성이 낮으면 광고 이미지 관련 기억정보(IRM)가 더 많이 기억되어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해석 광고의 경우 상호작용성 수준과 상관없이 제품 속성 관련 기억정보들이 낮은 수준으로 기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명화 활용 광고에 대한 광고 태도는 변형 광고는 상호작용성 수준이 낮은 경우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으나 상호작용성 수준이 높으면 재해석 광고의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한국과 서양의 명화를 활용한 주얼리 디자인 연구 - 박수근(朴壽根)과 구스타프 클림트 중심으로 - (A Study of Jewelry Design utilizing the masterpieces Korean and masterpieces Foreign -Focus on "Park.Soo-Keun"And"Gustav Klimt","Edgar Degas")

  • 오지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98-1003
    • /
    • 2009
  •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획일적 통일화에서 감성적 다변화 시대로,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남성의 이성에서 여성의 감성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주얼리 디자인 분야도 당연 사회와 패션의 흐름에 맞춰 변화할 필요가 있다. 현 사회의 가장 큰 시장변화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감성디자인과 아트마케팅이란 시장변화에 주목했으며, 이를 통해 여성적 감성과 개인의 개성이 이 두 분야에 가장 큰 주축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자 또한 여성이기에 나의 감성과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2가지 테마의 명화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주얼리 디자인과 접목해 새로운 감성 주얼리 디자인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 PDF

자기감시성과 패션브랜드 럭셔리 수준에 따른 패션제품의 명화 주입 효과에 관한 연구 (Art Infusion Effect on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Self-monitoring and the Luxury Level of Fashion Brands)

  • 최효정;황선진;여준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5-189
    • /
    • 2015
  •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how an art infusion into fashion products affect consumer's preference through Study 1 and Study 2. Study 1 examined the effect of an art infusion and the difference of an art infusion effect according to self-monitoring scale by designing groups composed of 2 (art infusion: infusion versus non-infusion) ${\times}2$ (self-monitoring: high versus low). Study 2 examined the difference of an art infusion effect according to the luxury level of fashion brands by designing groups composed of 2 (art infusion: infused versus non-infused) ${\times}2$ (fashion brand luxury levels: high versus mid versus low).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residing in the Seoul and Daegu region. In Study 1, 162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experiment situations of art infusion. In Study 2, 192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ix experiment situations of art infusion and luxury level of fashion brands. For the data analysis, we conducted reliability analysis, two-way ANOVA and simple main effect analysis using SPSS 18.0 statistics package. The results of Study 1 and 2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preference was shown to be higher for fashion products with art infusion rather than fashion products without art infusion.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art infusion on consumer's preference was significant in the group of high selfmonitors. But there was a non-significant effect of art infusion in the group of low self-monitors. Lastly, the positive effect of art infusion on consumer's preference is higher in the case of a mid-level luxury brand rather than in the case of a high-level luxury brand and low-level luxury brand.

독특성 추구성향과 호기심이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The Effect of Curiosity and Need for Uniqueness on Emotional Responses to Art Collaborated Products including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주선희;구동모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97-125
    • /
    • 2012
  • 연구목적 - 최근 기업에서 마케팅이나 광고를 할 때 아트를 활용하여 기존의 명화나 아티스트들과 협업한 새로운 작품을 제품에 접목하거나, 마케팅에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새로운 자극으로 생각하고,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독특성 추구성향과 호기심이 많은 소비자일수록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트마케팅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개인특성인 호기심과 독특성 추구성향이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개인특성과 소비자의 감정 사이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라 예측하고 성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 호기심은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환기와 부정적 감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특성 추구성향 중 창의적 선택은 긍정적 감정과 환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특성 추구성향 중 비대중적 선택은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기에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독특성 추구성향 중 유사성 회피는 소비자의 감정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창의적 선택과 부정적 감정 사이와 비대중적 선택과 부정적 감정 사이에서만 남녀 간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 소비자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이나 전략을 시도하면 효과적일 것을 알 수 있으며, 독특성 욕구 중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은 사람이 아트 제품에 대하여 감정의 영향을 많이 받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예술가들과 콜라보레이션 활동을 통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제품을 생산해야 할 것이다. 성별에 따른 큰 차이가 없으므로 남녀 구분없이 모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마케팅을 해도 무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