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명사 수식 부사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어에서 상태성 명사 수식 정도부사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Language Processing of Degree Adverb modifying Stative Noun)

  • 박성원;민창우;김성묵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1년도 제1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73-380
    • /
    • 2001
  • 한국어에서 부사는 관형사와 구별하여 통사적으로 명사 등의 체언을 수식할 수 없다고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의미적으로 상태성 명사와 수식관계를 가질 수 있는 정도부사의 경우에도 명사를 직접 수식하는 것이 아니라 그 명사를 보어로 취하는 지정사를 포함한 지정사구 전체를 수식한다는 것이 현재의 이론언어학에서의 입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말뭉치에 나타난 실제 문장을 기계적으로 처리하는 관점에서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 것은 지정사구가 아니라 상태성 명사 자체로 설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근거로서 말뭉치에서 추출한 실제 문장을 중심으로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 지정사구에 지정사가 생략되는 경우와 지정사구 형태가 아닌 다양한 명사구 형태 역시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 경우가 존재함을 보인다. 또한 정도 부사와 결합하는 명사들이 갖는 의미적 특성을 통해 정도부사와 명사와 결합시켜야 수식 관계의 처리에 용이함을 보이고 정도부사에 대한 이론적 설명에도 타당함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말뭉치에 나타난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 명사의 용례를 분석하여 빈도 및 하위 분류 특성을 살펴본다.

  • PDF

구조적 중의성 해결을 위한 명사 수식 부사 연구 (An Analysis of Noun-modifying Adverbs for Structural Disambiguation)

  • 황선영;이공주
    • 인지과학
    • /
    • 제13권4호
    • /
    • pp.43-53
    • /
    • 2002
  • 명사 수식 부사는 서술어를 수식하는 다른 부사들과 달리,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사이다. 이들 부사들은 부사의 전형적인 기능과 다른 기능을 보이기 때문에 구문 분석시 많은 오류를 일으킨다. 이 연구에서는 명사 수식 부사를 포함한 구문이 보이는 분석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하여 명사 수식 부사를 분류하고 명사 수식 부사들의 사용 양태를 살펴서 구문 분석시의 처리 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이러한 작업이 실제로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명사 수식 부사 처리기를 구현하여 구문 분석기의 성능 향상을 실험하였다. 제안된 방법에 의해서 구문 분석의 정확도는 81.9%에서 83.6% 정도로 향상되었다.

  • PDF

구조적 중의성 해결을 위한 명사 수식 부사 연구 (An Analysis of Noun-modifying Adverbs for Structural Disambiguation)

  • 황선영;이공주
    • 인지과학
    • /
    • 제13권4호
    • /
    • pp.42-42
    • /
    • 2002
  • 명사 수식 부사는 서술어를 수식하는 다른 부사들과 달리,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사이다. 이들 부사들은 부사의 전형적인 기능과 다른 기능을 보이기 때문에 구문 분석시 많은 오류를 일으킨다. 이 연구에서는 명사 수식 부사를 포함한 구문이 보이는 분석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하여 명사 수식 부사를 분류하고 명사 수식 부사들의 사용 양태를 살펴서 구문 분석시의 처리 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이러한 작업이 실제로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명사 수식 부사 처리기를 구현하여 구문 분석기의 성능 향상을 실험하였다. 제안된 방법에 의해서 구문 분석의 정확도는 81.9%에서 83.6% 정도로 향상되었다.

의미속성 기반의 개념망을 위한 어휘 연관도 측정 (A Measurement of Lexical Relationship for Concept Network Based on Semantic Features)

  • 옥은주;이왕우;이수동;옥철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1년도 제1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46-15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개념망 구축을 위해 사전 뜻풀이말에서 추출 가능한 의미속성의 분포 정보를 기반으로 어휘 연관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먼저 112,000여 개의 사전 뜻풀이말을 대상으로 품사 태그와 의미 태그가 부여된 코퍼스에서 의미속성을 추출한다. 추출 가능한 의미속성은 체언류, 부사류, 용언류 등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일차적으로 명사류와 수식 관계에 있는 용언류 중 관형형 전성어미('ㄴ/은/는')가 부착된 것을 대상으로 한다. 추출된 공기쌍 45,000여 개를 대상으로 정제 작업을 거쳐 정보이론의 상호 정보량(MI)을 이용하여 명사류와 용언류의 연관도를 측정한다. 한편, 자료의 희귀성을 완화하기 위해 수식 관계의 명사류와 용언류는 기초어휘를 중심으로 유사어 집합으로 묶어서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의미속성의 분포 정보를 통해 측정된 어휘 연관도는 의미속성의 공유 정도를 계산하여 개념들간에 계층구조를 구축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 PDF

구문 그래프를 이용한 구문적 애매성 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Ambiguities Using Syntactic Graph)

  • 김재훈;서정연;김길창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2년도 제4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59-167
    • /
    • 1992
  • 한국어는 그 자체의 특성 때문에 영어와는 또 다른 형태의 구문적인 애매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문의 애매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정보가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면, 품사정보의 세분류, 명사들의 의미 속성정보들이 그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 문장의 구문적인 애매성을 해결하기에 앞서 먼저 한국어 문장에 어떤 형태의 애매성이 포함되어 있는 지를 조사.분석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구문적인 애매성을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문 그래프를 이용하였다. 한국어 문장에는 다품사에 의한 애매성, 조사구 부착에 관한 애매성, 복합 체언구에 관한 애매성, 부사구 부착에 관한 애매성, 관형어의 수식 범위에 관한 애매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복합 체언구에 의한 애매성이 가장 많은 애매성을 가지고 있었다. 즉, 실험 대상문장에서 발생가능한 전체의 애매성의 62%가 복합체언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에서는 복합체언구에 관한 구문 구조적인 애매성 해소가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PDF

영어 종속접속의 유형과 기능: 극소절을 포함하여 (On the Types and Functions of English Subordination including Smallest Small Clauses)

  • 홍성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134-139
    • /
    • 2021
  • 접속의 개념은 인간의 언어가 가진 속성 중의 하나로, 동물의 소통방식은 접속의 구조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 접속이란 문법단위들의 '연결'(connection, linkage)로 영어의 경우 종속접속절을 전치사구(PP)의 범주로 간주하거나, 보문소구 (CP)의 범주로 분류한다. 또한, 문장의 유형과 복잡성도 접속의 방식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동등접속과 달리 종속접속은 접속되는 문법단위가 대부분 절(clause)의 형태가 된다. 전통문법이나 학교문법에서는 종속접속이 그 기능에 따라 명사성 보충절, 형용성 관계절, 부사성 수식-부가절 3가지로 나뉘어 왔으나, 본 논문은 마치 소절(small clause)이 "절"로 인정되면서,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무주어 무동사 종속절 (Verbless subordinate clause. V-less SC)을 종속절의 한 유형으로 보면서, 이를 극소절(smallest small clause)로 명명하고, 이들이 종속절의 일부라는 제안을 한다. 또한, 구조와 기능을 보다 세분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서, XP라고 특정할 수 없는 절을 포함하여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