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진건물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9초

지진기록 사용에 따른 고층 면진건물의 동적 응답 (Dynamic Response of Seismically Isolated High-Story Buildings according to Earthquake Records)

  • 이현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643-651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면진장치 설계 절차 체계화에 따른 면진건물의 응답특성을 사용지진 기록에 따라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대상 건물은 면진에 적합한 기초 면진 적용한 20층 주거 건물로, 지진기록 사용에 따른 응답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면진건물의 시간이력해석을 위한 지진파의 선정은 응답 결과에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련기준의 제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진기록을 이용한 면진구조물의 시간이력해석 결과, 면진층 변위, 층간변위비, 면진장치의 거동이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진기록 및 면진장치 선정 결과, 설계된 면진건물의 지진저항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형 및 비정형 건물에 대한 비선형 면진장치의 적용 (Application of non-linear Seismic Isolators in Regular and Irregular Buildings)

  • 김대곤;이동근;정재;남궁계홍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37-44
    • /
    • 2001
  • 면진기술은 주로 저층 구조물의 내진설계에서 적용되는 방법으로 건물과 기초사이에 면진장치를 설치하여 상부로 전달되는 지진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 방법은 중.고층 구조물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가 따르므로, 구보물의 중간층 일부를 분리시켜 상부로 전달되는 지진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노문에서는 저층 뿐만 아니라, 중.고층 정형구조물의 주상복합건물과 같은 비정형 구조물에 대하여 구조물의 중간층 일부를 비선형 면진장치로 면진시키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중간층 면진 구조물의 경우, 고정기초 구조물에 비하여 적은 층간변위나 층전단력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주상복합건물에서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 PDF

면진시스템을 적용한 수직증축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최적 면진주기 산정 (The Optimal Isolation Period of Vertically Story-added Remodeling Apartment Building with Seismic Isolation System)

  • 허무원;이용훈;이상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65-7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노후화된 공동주택 수직 증축 리모델링 시 면진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 및 면진시스템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수직 증축 시 수직 층수와 면진주기에 따른 최적 면진주기를 산정하였다. 해석결과, 3개층 수직 증축 시에는 면진주기를 비면진 건물 주기의 2배 이상, 2개층 수직 증축 시에는 비면진 건물 주기의 3배 이상을 확보하여야만 충분한 면진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개층 수직 증축 시에는 비면진 건물 주기의 4배 이상을 확보하여야만 면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활용하여 3개층 수직증축 리모델링 대상 공동주택에 면진시스템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최상층 최대응답가속도가 비면진 건물의 최대응답가속도 보다 X방향의 경우에는 약 70%로, Y방향의 경우에는 약 65%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밑면 전단력의 경우, 비면진 건물과 비교하여 X방향 및 Y방향 모두 약 3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진건물의 포락해석을 위한 설계용 도표 산정면진건물의 포락해석을 위한 설계용 도표 산정면진건물의 포락해석을 위한 설계용 도표 산정 (Construction of Design Table for Envelope Curve Analysis of Base Isolated Buildings)

  • 이현호;천영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59-6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면진건물의 설계를 수행하는데 있어, 면진건물의 주기, 수평 변위량 등과 같은 면진장치의 성능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 요소들을 손쉽게 산정할 수 있는 포락해석용 도표를 산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가속도로 표현되는 설계지진의 위험도 대신, 에너지와 관계된 $V_E$ 스펙트럼을 아울러 산정한다. UBC 97의 지진응답계수를 적용한 경계주기 $T_G$ 및 최대속도 응답 $V_0$를 지반조건별로 제안하였으며, 이를 근간으로 한 스펙트럼 작성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V_E$ 스펙트럼을 근거로 지반조건별 포락해석용 도표를 작성하였다.

스트립형의 섬유 면진 베어링의 실험적 해석 (An Experimental Study on Fiber Reinforced Strip Form Isolator)

  • 문병영;강경주;강범수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09-416
    • /
    • 2002
  • 기존의 면진 기술을 일반건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낮은 가격과 낮은 무게로 면진 베어링이 제작 및 공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반건물에 면진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적층고무 면진 베어링에 철판을 대체하여 섬유로 보강하고, 고무와 섬유의 층으로 구성된 벨트 타입의 면진 베어링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한 섬유보강 면진 베어링을 설계 및 제작하여 수직실험과 수평실험을 수행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스트립형의 면진 베어링이 제작가능하며 일반건물의 필요한 크기로 절단이 가능함을 보였다. 또한 수평 실험 수직 실험을 통해서 기존의 적층고무 면진 베어링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일반건물에 낮은 무게와 낮은 가격의 면진 베어링을 공급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 연구결과로 인해 스트립형의 섬유보강 면진 베어링이 저가건물에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액체금속로용 축소규모 면진베어링 특성시험고찰 및 적용예

  • 유봉;이재한;구경회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520-525
    • /
    • 1997
  • 액체금속로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 면진설계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고감쇠 면진베어링의 축소모델을 제작하고, 성능확인을 위한 다양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면진베어링의 성능을 나타내는 전단강성, 감쇠특성, 항복하중특성값, 전단변형능력 등에 대한 시험결과 전단강성은 목표값에 비하여 작았지만 감쇠값과 전단변형은 목표값에 근접하였다. 이를 이용한 면진 원자로건물의 지진응답을 분석한 결과 면진베어링은 건물의 지진응답 가속도를 대폭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최상층면진시스템을 활용한 고층건물의 진동제어 (Vibration Control of High-rise Building Structures using Top-story Isolation Systems)

  • 김태호;김현수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75-8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최상층면진시스템을 적용한 고층건물의 진동제어 가능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20층 및 50층 건물을 예제구조물로 선택하였고 El Centro 남북방향 성분을 지진하중으로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인공풍하중을 사용하여 풍하중에 대한 예제구조물의 사용성을 검토하였다. 면진되는 상부층의 수를 변화시켜가면서 구조물의 응답을 평가함으로써 최적의 면진질량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또한 상부층면진시스템의 고유진동주기 변화에 따른 진동제어성능의 변화를 고정기초구조물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해석결과 최상층면진시스템은 동조질량감쇠기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풍하중 및 지진하중에 대한 고층건물의 동적응답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었다.

  • PDF

건물의 질량중심과 면진층의 강성중심 차이에 따른 면진효과 (Seismic Isolation Effect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of Mass of the Building and the Center of Stiffness of Isolation Layer)

  • 허무원;천영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07-1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질량중심과 면진층의 강성중심 사이의 차이에 따른 면진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면진기술은 면진층에 설치되는 면진장치의 성능에 크게 의존하는 기술이므로 면진장치 제작 후 전수검사를 통하여 면진장치의 수평강성을 검토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면진장치 성능실험 시 각각의 면진장치의 품질기준은 건축기준에는 정해져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해 설계 시 적용된 강성과 실제 강성의 차이가 발생하여 면진층 상부 부재에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연구결과, 최대응답변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편심이 증가할수록 최대응답가속도, 층전단력 및 상부구조의 부재력은 크게 증가하여 일부 부재에서는 과도한 손상이 예상된다. 따라서 면진층은 실제 장치 제작 후 전수검사를 실시하여 반드시 설계된 의도대로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장치를 재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가능하다면 건물의 질량중심과 강성중심의 차이는 동일하게 설계할 것을 추천한다.

저층 경량건물의 고성능 내진을 위한 복합면진시스템의 적용 (Application of Hybrid Seismic Isolation System to Realize High Seismic Performance for Low-rise Lightweight Buildings)

  • 천영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2호
    • /
    • pp.185-192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저층 경량건물을 대상으로 고성능 내진을 구현하기 위하여 적용된 복합면진시스템의 적용효과가 비선형해석과 현장실험을 통하여 제시되었다. 이 연구에서 적용된 복합면진시스템은 슬라이딩베어링(sliding bearing)과 적층고무베어링(laminated rubber bearing)을 혼용하는 방법으로 전체 면진시스템의 고유주기를 신장시키는데 있어서 적층고무베어링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비선형해석결과, 복합면진시스템을 채용하여 설계된 면진건물은 아주 드물게 발생하는 강진에 대해서도 최대응답변위가 허용설계변위 이내이며, 최대응답전단력이 설계지진력 이하이므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장실험결과, 면진층의 강성은 설계 등가강성 값의 약 95.8%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내 전체 면진시스템의 실제 특성이 설계값과 잘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저층골조에서 면진주기 설정에 따른 면진효과 (Seismic Isolation Effects According to Set up the Isolation Period in the Medium and Low-rise Framed Building)

  • 천영수;허무원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93-9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상부구조에 있어서 보-기둥 강성비 변화에 따른 골조의 특성과 상부구조와 면진층 간의 진동주기비에 따른 면진효과를 분석해 보고, 상부골조의 주기와 목표 면진주기의 설정에 따라 면진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향후 면진건물을 설계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세우는데 있어서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결과 건물골조의 경우 유효한 면진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한 상부구조의 고유진동주기 대비 2.5배 이상의 면진주기를 확보하고, 목표 면진주기를 2.0초 이상으로 설정하여 설계할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