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적산정

Search Result 1,14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rror analysis of areal mean precipitation estimation using ground gauge precipitation and interpolation method (지점 강수량과 내삽기법을 이용한 면적평균 강수량 산정의 오차 분석)

  • Hwang, Seokhwan;Kang, Narae;Yoon, Jung 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2
    • /
    • pp.1053-1064
    • /
    • 2022
  • The Thiessen method, which is the current area average precipitation method, has serious structural limitations in accurately calculating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the watershed. In addition to the observation accuracy of the precipitation meter, errors may occur in the area average precipitation calculation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precipitation meter and the direction of the heavy rain. When the watershed is small and the station density is sparse, in both simulation and observation history, the Thiessen method showed a peculiar tendency that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the watershed continues to increase and decrease rapidly for 10 minutes before and after the peak. And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the Thiessen basin was different from the rainfall radar at the peak time. In the case where the watershed is small but the station density is relatively high, overall, the Thiessen method did not show a trend of sawtooth-shaped over-peak, and the time-dependent fluctuations were similar. However, there was a continuous time lag of about 10 minutes between the rainfall radar observations and the ground precipitation meter observations and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the basi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round correction effect of the rainfall radar watershed average precipit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 average precipitation after correction is rather low compared to the area average precipitation before correction, indicating that the correction effect of the current rainfall radar ground correction algorithm is not high.

Establishment of Optimal Management Plans on Agricultural Groundwater Resources of the Yeosu County (여수시 농어촌지역 지하수자원 적정 관리방안)

  • Seo, Hyo Kyoung;Shin, Hyung Jin;Lee, Byung Sun;Lee, Gyu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82-282
    • /
    • 2020
  • 본 연구는 여수시 농어촌지역에 대하여 지하수 함양특성, 개발가능량 산정 및 오염부하량 등의 조사를 통해서 체계적인 지하수자원의 보전관리(안)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여수시 화양면, 소라면 2개 면을 포함하는 농어촌 용수구역(여소지구)으로, 여소지구의 총면적은 130.68 ㎢이며, 이 중 임야면적은 81.57 ㎢, 경지면적은 32.98 ㎢ 이고, 경지면적은 논 15.37 ㎢, 밭 17.42 ㎢, 시설재배 0.19 ㎢로 구성되어 있다. 여소지구의 30년 강수평균은 1,454.08 mm/년이며, 지하수 함양량은 국가지하수관리 기본계획(국토교통부, 2019) 및 전라남도 지하수관리계획(전라남도, 2009) 보고서를 참고하여 평균값인 11.28%로 산정한 결과, 21,279 천㎥/년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하수연보(국토교통부, 2018)의 세부용도별 이용량을 활용하여 지하수 이용량을 산정한 결과, 2,638.35 천㎥/년이었으며, 강수량, 함양률 및 면적 값을 고려하여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산정한 결과, 16,387.57 천㎥/년,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은 16.11%로 확인되었다. 여소지구의 질산성질소 항목은 총 181개소(경지면적 0.2 ㎢당 1점)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값은 6.67 mg/L이었으며, 농업용수 수질기준(20 mg/L)을 초과한 관정은 8개소(6%)로 확인되었다. DRASTIC을 이용한 오염취약성 지수는 평균값이 119.57점으로 나타나 오염취약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고·허가된 축사 시설을 기준으로 점오염원 조사결과, 단위면적당 시설수(오염원밀도)는 3.12 개소/㎢로 조사되었으며, 인구, 가축 및 토지이용 등 인자별을 고려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출한 결과,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은 75.30 kg/day/㎢로 확인되었다. 행정구역별로 7가지 지표를 반영하여 관심, 주의, 경계 및 심각 4단계로 기준을 설정하여 지하수관리 필요지역을 선정하였다. 수량 측면은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 단위면적당 이용량 및 관정밀 3가지 지표를 적용하였고, 수질 측면은 질산성질소 평균, 오염취약성 지수, 오염원밀도 및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 4가지 지표를 적용하여 선정하였다. 지하수관리 필요지역을 분석한 결과, 전체 18개 리 중에서 14개 리에서 수량관리 12개리에서 수질관리 필요지역이 나타났다. 수량관리 필요지역은 지하수 취수량 조정 및 관리 확충 등의 대책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수질관리 필요지역은 주변 오염원관리 및 수질검사 강화 등의 대책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Analysis on Effectiveness of BIM-based Area Calculation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Korean Apartment Housing (국내 공동주택의 품질향상을 위한 BIM기반 면적산정 방법의 실효성 연구)

  • Kim, Jun-Gyu;Ryu, Jung-Rim;Choo, Seung-Yeo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24 no.2
    • /
    • pp.45-5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construction quality with area calculation methods from BIM design technology. BIM has been supporting public-private-organizations and academic circles as a solution technology to manage and produce informations effectively from construction field including facility manage one. BIM standards are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for achieving perfect practical application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rule based area calculation methods is very urgent and important to improve construction quality. To solve those problems, methods and standards on area calculation are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BIM-based methods is defined through the analysis between the existed area calculation method and process which are 2D based. This study will not only improve economic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construction quality but also settle the BIM environment in the domestic architecture.

A Study on the Space Area Guideline of Clinical Laboratory in Korea - Focused on Laboratory Case Studies (국내 종합병원 진단검사의학과의 면적산정 방법에 대한 연구 - 검사실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Kim, Youngaee;Song, Sa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26 no.2
    • /
    • pp.39-47
    • /
    • 2020
  • Purpose: Clinical laboratory of hospital has been demanded to extension or relocation regarding with the test number increase and analyzer development. Space area criteria per test numbers, lab functions, hospital bed and lab staffs are needed for draft space programing.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pace area guideline of clinical laboratory for space calculation in planning and design the spatial environment. Methods: Literature review has been used in checking the standards and guidelines. And questionnaire surveys to laboratory supervisors in hospital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data collection. 60 answers have been analysed statistically by MS Excel program.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way calculations. The first one shows that the basic standard workspace and distance is applied in lab design. The second one shows that average space area criteria resulted from case studies is applied by 19㎡ per one staff, 0.9~1.0㎡ per one bed, and lastly linear length calculation of workbenches and analyzers on the bench top and floor mount, is multiplying it by the sum of the counter depth plus aisle width. Implications: In updating the space area calculation guidelines,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medical staffs and designers.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 in urban area (도시지역 침수피해액 산정을 위한 다차원법 적용)

  • Tak, Yong Hun;Kim, Young Do;Kang, Boosik;Park, Mun 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6
    • /
    • pp.397-405
    • /
    • 2017
  • In case of inundation in a city where populations and properties are highly concentrated, unlike rural area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damage amount considering the sewage overflow and the corresponding building damage. In this study, Dorim 1 drainage sector has been analyzed with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ssessment (MD-FDA) for flood forecast. It is analyzed with past flood history through the SWMM model and calculated the amount of damage with district base data and the result of flow analysis. The result of the SWMM model to predict a range of flood, it was shown that the wide area after 4 hours (at 16:30) by sewer overflow. The building damage was estimated using MD-FDA. As a result, the maximum flood area has shown as $205,955m^2$ (0~0.5 m: $205,190m^2$, over 0.5 m: $865m^2$) and estimated building damage of Dorim 1 drainage sector is approximately 15.5 billion KRW (Korean won) and other contents is 7 billion KRW (Korean won). Also from 0 to 0.5 m depth estimated damage is approximately 22.4 billion KRW (Korean won) and over 0.5 m is 100 million KRW (Korean w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estimate the amount of sub-divided flood damage in urban areas according to various damage patterns such as flood depth and flood time.

Estimation of Reservoir Area and Capacity Curve Equation using UAV Photogrammetry (무인항공기 사진측량에 의한 저수면적과 저수량 곡선식 산정)

  • Lee, Geun Sang;Choi, Yun Woong;Lee, Suk Bae;Kim, Seok Gu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3
    • /
    • pp.93-101
    • /
    • 2016
  • Reservoir area and reservoir capacity must be evaluated for reservoir management such a water supply, water-purity control and so on. In this paper, the reservoir area and reservoir capac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storage range of water(149~156 El.m) could be calculated by using TIN data model of study area, Gyoyeon reservoir, TIN data model was made of DSM which was created by using UAV and GCP survey. From the results of applying the various functions to reservoir area and capacity, reservoir area and reservoir capac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storage range of water showed the highes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0.97 in fourth-order polynomial, and 0.99 in second-order polynomial, respectively. Thus, it could be expected the efficient reservoir management by estimating reservoir area and capacity curve equation through UAV photogrammetry.

The Anlysis of Fractal Characteristics in River Basin using GIS (GIS를 이용한 하천유역의 프랙탈 특성 분석)

  • Cha, Sang-Hwa;Kwon, Kee-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4 no.4
    • /
    • pp.51-60
    • /
    • 2001
  • This study analyzed fractal characteristics of river basin by using GIS. In this study, topographical factors in river basin was grid-analyzed for each cell size by using GIS and regression formula was derived by analyzing correlation among topographical factors and cell size which were calculated here. And, analysis of fractal characteristics of river by using the result calculated from 1) showed that among topographical factors, river length only increases according as cell size increases. The result of calculating fractal dimension for each cell size shows that river length, basin area, and centroidal flow path are 1.028, 1.0026 and 1.0061 respectively.

  • PDF

Estimation of the Water Requirement with the Farming Conditions in Paddy Field (영농방식변화에 따른 논용수수요량의 산정 -직파재배, 이앙방법 중심-)

  • Kim Jin Taek;Joo Uk Jong;Park Ki Wook;Lee Jo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45-1449
    • /
    • 2005
  • 벼재배에 있어서 기계이앙은 1970년 이후 급속히 이루어졌으며 90년대에 이르러서는 노동력과 농업용수 절감을 위하여 직파재배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어 영농방식 변화가 농업용수의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영농상황과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방법간의 차이를 조사 분석하고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을 위한 적절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 및 실제 현장에서의 영농상황을 조사하고 수원공으로부터 관개구역으로 공급하는 용수공급량을 측정하였으며 3개지구를 대상으로 필요수량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이앙재배에 있어서 기계화의 보급과 비닐하우스 등의 설치에 의하여 이앙기간과 이앙시기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과거에 비하여 이앙시기는 앞당겨지고 이앙기간은 짧아졌는데 이러한 변화는 지역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과거와 비교하여 농업용수 수요량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변화는 대부분 4월, 5월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직파재배는 이앙재배에 비하여 용수를 많이 필요로 하는데 본답기 이전에 용수수요량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직파재배의 면적은 1997년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다 잡초성 벼의 번성, 연작의 피해 등으로 인하여 재배면적이 줄어든 상태이다.

  • PDF

Analysis of Fish Physical Habitat Changes Due to River Improvement (하천정비에 따른 어류 물리서식처의 변화량 분석)

  • Seo, Il-Won;Park, Sung-Won;Song, Chang-Geun;Kim, S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51-555
    • /
    • 2010
  • 수생 생태계에서 하천 어류 서식 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류의 적절한 서식 공간 확보가 선행되어야 하며, 하천정비사업에 따른 준설 시 하상변동으로 및 유속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영향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교각의 설치와 합류부위치로 인해 발생하는 모의 영역 내의 2차원 흐름거동을 RMA-2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어류의 미시서식처를 고려한 최적의 영역에 대한 면적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2차원 물리 서식처 모의 모형인 River2D를 적용하여 가중가용면적-유량 관계 곡선의 도출을 통해서 최적유량 산정시 중요한 지표인 WUA (Weighted Usable Area)의 산정결과를 어종별, 지역별 그리고 정비사업 전후에 대한 비교하였다. 적용구간은 낙동강 살리기 사업의 25공구(칠곡2, 구미 1지구: 약 8.74 km) 전체를 대상으로 하며 그중에서도 지류 합류부인 경암천부근 (제1지역)과 교각부근(제2지역)에서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피라미에 대한 WUA 값 산정결과 하천정비후에 정량적인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안정적인 수심 및 유속분포 지역의 개선을 위한 설계검토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n the Storage of Water Facilities in North Korea (북한 수리 시설물의 저수량 분석)

  • Ahn, Jaehyun;Jo, Ji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8-268
    • /
    • 2016
  • 우리가 알고 있는 북한 수리 시설물들의 용량은 대부분 일제 시기의 자료나 북한과 국제기구에서 발행하는 간행물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발전용량 및 저수용량은 기존 자료와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수리 시설물들의 저수량을 재산정하고, 이를 추후 각종 조사 및 분석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지역의 위성자료와 DEM(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수집 및 활용하였다. 북한지역의 DEM은 격자 크기 $100m{\times}100m$로 분석하였다. 북한 수리 시설물의 저수량 파악을 위해 Global Mapper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DEM과 위성자료를 입력해서 분석하였다. 선정된 수리 시설물에 대한 유역경계를 설정하고, 수면표고별 저수면적 및 저수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Hypsometric Curve와 수면표고-저수면적-저수량 곡선을 작성하였으며, 해당 시설물의 저수량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북한 금야강발전소의 저수량을 산정한 결과 약 19억7천만$m^3$으로 나타났다. 금야강발전소의 높이는 약 90m, 발전용량은 18만kW 정도이고, 우리나라 소양강댐의 높이가 123m, 발전용량이 20만kW일때 총 저수용량이 29억$m^3$인 점을 감안하면 적절한 산정결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추후 북한의 분석 가능한 수력발전소들의 실제 저수용량을 계산하며, 주요 지점별로 개발 가능한 저수량을 산정해서 각종 개발사업 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