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염색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자외선 조사경화법에 의해 양이온화된 양모/면(55/45)혼방 직물의 일욕(一浴) 균염(均染) 염색

  • 장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10-113
    • /
    • 1998
  • 면/양모 혼방직물은 면 섬유와 양모 섬유의 특징을 적절히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염색에 의해 균염을 얻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면/양모 혼방직물은 각 구성 섬유의 염색성이 상이하여 이 욕에 의한 염색이 일반화되어 있으나, 이는 양모의 알카리에 의한 상해를 동반하기도 하며 공정의 이분화로 인해 비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Natural Dyeing Fabrics with Hypericum ascyron L. (물레나물(Hypericum ascyron L.)을 이용한 직물의 천연염색)

  • HwangBo Soo-Jeung;Jung Yang-Sook;Bae Do-Gyu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47 no.2
    • /
    • pp.78-87
    • /
    • 2005
  • In this thesis, we took some stalks, flowers, and leaves of the Hypericum ascyron L. which are able to propagate as mass in our wild to extract the dyeing solution, and cotton and silk were dyed using them in many different conditions. Silk was dyed darker than cotton with increasing the pH density. Silk was dyed darkest among Hypericum ascyron if pH was neutral. We found there was not a big difference between silk and cotton in the given condition considering 'Y' values vs. dyeing temperature. However cotton was dyed darker in hypericum ascyron. There was a rapid decreasing of 'Y' values after one to two hours and almost all of dyeing was completed at these times. We found there was a dyeing acceleration at the higher dyeing density and the lower 'Y' value. If the density was low, dyeing attachment was reduced by dyeing ability via the density of liquid in this plants. Silk was affected higher by mordant dyes in this plants. Fe and Cu had no effect on Hypericum ascyron.

Natural Dyeing Fabrics with Serratuls coronate var. insularis Kitamura (산비장이(Serratuls coronate var. insularis Kitamura)를 이용한 직물의 천연염색)

  • HwangBo, Soo-Jeung;Jung, Yang-Sook;Bae, Do-Gyu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48 no.2
    • /
    • pp.46-55
    • /
    • 2006
  • In this thesis, we took some stalks, flowers, and leaves of the Serratuls coronate var. insularis which are able to propagate as mass n our wild to extract the dyeing solution, and cotton and silk were dyed using them in many different conditions. Silk was dyed darker than cotton. We found there was not a big difference between silk and cotton in the given condition considering 'Y' values vs. dyeing temperature. There was a rapid decreasing of 'Y' values after one to two hours and almost all of dyeing was completed at these times. We found there was a dyeing acceleration at the higher dyeing density and the lower 'Y' value. If the density was low, dyeing attachment was reduced by dyeing ability via the density of liquid in both plants. Silk was affected higher by mordant dyes in both plants. Fe and Cu had an effect by mordant dyes slightly an Serratuls coronate var. insularis.

Dyeing Properties of Reactive Disperse Dyes on Nylon, PET, Cotton and Mixture Fabrics (반응성분산염료의 나일론, PET, 면 및 복합소재에 대한 염색성)

  • Lee, Hyo-Young;Kim, Seung-Kwan;Kim, Sung-Dong;Lee, Jong-Lye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34-34
    • /
    • 2011
  • PET/면, 나일론/PET, 나일론/면 등 다양한 복합섬유소재를 염색하기 위해서는 복합섬유소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소재에 따라 적합한 염료를 선정하고 그에 맞는 염색방법을 사용하여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 색상과 견뢰도 등의 물성을 맞추기 위한 복잡한 염색공정 및 긴 염색시간에 의한 생산비용 상승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염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섬유를 염색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새로운 염료합성의 경우 섬유와 결합할 수 있는 반응기를 분산염료구조에 도입하여 염색조건에 따라 다양한 섬유를 염색할 수 있는 universal dye의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반응성염료와 분산염료의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일환으로서 염료의 분자 구조 내에 상기의 염료특성을 동시에 발휘하는 소위 "반응성 분산염료"의 개발이 이에 속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학구조가 다른 네 종류의 sulphatoethylsulphone기를 갖는 반응성분산염료들을 합성하고 이들의 나일론, PET, 면 및 교직물에 대한 염색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면 섬유에 대한 Dye 1~4의 염색온도에 따른 염색성을 살펴보면, 각 염료들의 염색성은 염색온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Dye 1, 4는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K/S 값이 증가하고 Dye 2, 3은 염색온도가 낮을수록 K/S 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Nylon에 대한 Dye 1의 염색속도는 pH 4 > pH 5 > pH 8 > pH 7 > pH 6의 순서로 나타나 pH 6에서의 염착 평형이 pH 4보다 40분 정도 늦게 도달하였다. 나일론과 PET의 동욕염색에 있어 Dye 1은 나일론의 경우 초기부터 빠른 흡착을 보이며 $100^{\circ}C$가 되는 60분에는 K/S값이 16에 도달하여 염착 평형에 근접한 것을 알 수 있으며, PET는 $100-200^{\circ}C$ 사이에서 염색속도가 빨라지며 본격적으로 흡수하였다. N/C 교직물에 대한 Dye 2, 3의 빌드업성은 두 염료 모두 염료농도의 증가에 따라 K/S 값 역시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일론 섬유는 네 가지 염료로 우수하게 염색되었고, 면 섬유는 수용성기를 가진 Dye 2와 3, 그리고 PET 섬유는 소수성이 높은 Dye 1과 4가 적합하였다. N/P 및 N/C 교직물의 염색에 있어 나일론 성분으로 염료가 더 많이 흡착하여 나일론섬유가 더 진하게 염색되지만 교직물의 직물조직에 의하여 표면과 이면은 각각 거의 동색으로 보였다.

  • PDF

반응염료의 현황과 문제점

  • 김공주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6 no.4
    • /
    • pp.77-91
    • /
    • 1994
  • 1956년 반응염료가 시판된 이래 장족의 발전을 하였으며, 구형의 cellulose용 염색을 추월하여 거의 대부분의 cellulose의 염색에 반응염료, 일변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많은 반응 염료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세월이 가면서 문제점도 만만치 않다. 장점으로는 색상이 선명하고 견뢰도가 우수하고 응용범위가 넓고 조작이 용이하다는 점이며, 문제점으로 나타난 것은 흡착염색공정에서 다량의 전해질과 알칼리제를 첨가함에도 불구하고 흡착율, 고착율이 낮고 염색후의 세정공정과 많은 물과 energy 및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이다. 또한 최근 더욱 관심을 끈 것은 반응염료의 가수분해 현상으로 인하여 다량의 가수분해된 염료가 폐수화하여 버려짐으써 심각한 공해가 야기할 뿐만 아니라 염색물에 부착하여 견뢰도에도 영향이 많다. 이런 문제를 염료제조업계에서는 해결하지 않으면 안될 시점에 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염료의 구조적인 면, 염색적인 면 그리고 소비자의 취급적인 면에서 검토하여 과거의 영광을 존속하기 위하여 개량형의 염료를 합성하여 고고착률, wash-off성의 양호 및 일광, 염소, 땀, 세탁 등에 견뢰한 염료를 얻고자 반응염료의 현황과 문제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 PDF

면 니트의 CPB 염색가공기술 및 현황

  • 김원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3.08a
    • /
    • pp.95-135
    • /
    • 2003
  • 섬유제품 중 의류용으로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은 면 섬유이고, 그 중 니트제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절반 정도이다. 면 섬유가 갖는 여러 가지 장점들을 대체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합성섬유가 개발되었으나, 천연섬유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높아지면서 스판덱스와 같은 탄성섬유를 제외한 합성섬유 소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반면, 면 섬유와 천연 원료에서 추출하는 모달, 텐셀, 라이오셀 등의 셀룰로오스계 신 소재는 그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략)

  • PDF

면 니트의 CPB 염색가공기술 및 현황

  • 구홍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71-116
    • /
    • 2002
  • 섬유제품 중 의류용으로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은 면 섬유이고, 그중 니트제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절반 정도이다. 면 섬유가 갖는 여러 가지 장점들을 대체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합성섬유가 개발되었으나, 천연섬유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높아지면서 스판덱스와 같은 탄성섬유를 제외한 합성섬유 소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반면, 면 섬유와 천연 원료에서 추출하는 모달, 텐셀, 라이오셀 등의 셀룰로오스계 신 소재는 그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