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역

Search Result 7,66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Traditional Doenjang (전통된장의 면역증강 효과)

  • Lee, Chang-Hyun;Youn, Young;Song, Geun-Seoub;Kim,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9
    • /
    • pp.1227-1234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doenjang, a famous Korean traditional food made from fermented soybean paste, on the immunohistochemical reaction in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and immune response in mice. Male C57BL/6N mice (6 weeks-old) were divided into 4 experimental diet treatment groups and a basal diet (control) group, and fed with different diets for 4 weeks. The immunoreactive density of $CD4^+/CD8^+$ lymphocytes were strongly stained in the jejunum and colon in Group III. The immunoreactivity of universal nitric oxide synthase (uNOS) was strongly stained in the myenteric plexus in the colon of all doenjang-fedgroups (I, II and III). The colonic immunoreactive density of protein kinase C-${\alpha}$ (PKC-${\alpha}$) was strongly increased in Groups II and III, while that of stem-cell factor (c-kit) was increased in colonic mucosa of all doenjang-fedgroups (I, II and III) and especially increased in the colonic muscle layer of Group III. These morphological and immunologic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ake of doenjang could improve the mucosal immune reaction, gastrointestinal motility, blood circulation in the GI tract, and the immuneactivity of the body. These results provide experimental evidence about the health benefits of doenjang.

Failure of immunization with Naegleriu fowleyi in mice born to immune mothers (Naegleria fowleri로 면역된 어미에서 태어난 마우스의 방어면역 결여)

  • 임경일;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23 no.1
    • /
    • pp.151-155
    • /
    • 1985
  • Female BALB/c mice weighing 18~20g were immunized by three injections of $1{\times}10^6$ Naegleria iowleri trophozoites intraperitoneally at the interval of one week 6 times for the pregnant mice and 3 times for the offspring mice. One week after immunization the mice were challenged intranasally with N. fcwleri trophozoites $5{\times}10^4$ under secobarbital anesthesia. Experimental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developed between day 7 and 16 after infection. All mice were dead due to amoebic meningoencephalitis in all experimental groups except in the offspring born to non-immune mothers. Mean of survival time, which is the duration of survival of mice from infection to death, was delayed in the groups of mice born to immune mothers, immune mice born to immune mothers. Active or passive protective immunity against N. fowleri infection was demonstrated in the ismunized mice and mice born to immune mothers. But the effectiveness of immunization was greatly impaired in terms of mortality in the immune mice born to immune mothers when N. fowulsri was infected intranasally.

  • PDF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endocrine cells in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Korean native goat (한국 재래산양의 위장관에 출현하는 내분비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Lee, Jae-hyun;Lee, Hyeung-sik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30 no.3
    • /
    • pp.261-270
    • /
    • 1990
  • The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of the Korean native goat we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and 5-HT-, somatostatin-, Gas/CCK-, glucagon-, chromogranin- and PP- immunoreactive cells were revealed. The characteristic findings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these 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Korean native goat were as follows. 5-HT-immunoreactive cells were more numerous in the small and large intestine than in the abdomen stomach. Somatostatin-immunoreactive cell were more numerous in the abdomen stomach than in the small and large intestine. Gas/CCK-immunoreactive cells were concentrated very numerously in the pyloric region with a few in the other regions. Moderate numbers of glucagon-immunoreactive cells were found in the small and large intestine, but a few of them were found in the abdomen stomach. Very numerous chromogranin-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gastrointestinal tract. PP-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moderate numbers in the large intestine with few in the ileum. No insulin-immunoreactive cell was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 PDF

Studies on Protective Immunity Against Bordetella bronchiseptica Infection (Bordetella bronchiseptica의 감염면역(感染免疫)에 관(關)한 연구(硏究))

  • Kang, Byong-Kyu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18 no.1
    • /
    • pp.51-60
    • /
    • 1978
  • 돼지의 전염성위축성비염(傳染性萎縮性鼻炎)의 주요한 병원균(病原菌)이라고 생각되는 Bordetella bronchiseptica(이하(以下)B균(菌)) 자연감염돈분리유내균주(自然感染豚分離由來菌株)를 사용하여 mouse 비강내정착성(鼻腔內定着性)에 관(對)한 사균면역(死菌免疫)의 효과(效果)를 검토하고자, 먼저 상변리(相變異)에 따르는 균(菌)의 독역(毒力)과 감염방어성(感染防禦性)을 비교함과 동시에, I 상균불활화예방액(相菌不活化豫防液)의 면역원성(免疫原性)에 관(對)한 기초적인 검토를 실시하였고, 이에 계속하여 생균비강내접종(生菌鼻腔內接種)에 따르는 균(菌)의 정착성(定着性)과 혈중응집(血中凝集) 항체(抗體)의 경시적(經時的)인 추이(推移)를 검토하였다. 얻어진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B균(菌) I 상균(相菌)(W-1029주(株))의 독역(毒力)은 III 상균(相菌)(H-969주(株))에 비하여 독역(毒力)이 강하였으며, I 상균(相菌)은 감염방어성(感染防禦性)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III 상균(相菌)은 감염방어성(感染防禦性)이 전혀 없었다. 2. B균(菌) I 상균사균면역(相菌死菌免疫)에 있어서 formalin과 merthiolate 처리(處理) 및 불활화온도(不活化溫度)($0^{\circ}C$$37^{\circ}C$)간(間)에는 현저한 면역원성(免疫原性)의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3. 사균면역(死菌免疫)을 실시한 mouse 군(群)에 생균(生菌)의 경비접종(經鼻接種)에 의하여 경시적(經時的)으로 균(菌)의 호흡기도내(呼吸氣道內)의 정착성(定着性)과 혈중응집항체가(血中凝集抗體價)의 추이(推移)를 보았던 바, 비면역대조군(非免疫對照群)에 비하여 면역군(免疫群)은 현저한 면역효과(免疫效果)를 나타내었으나, 면역군(免疫群)에서 간헐적(間歇的)인 배균(排菌)이 상당기간에 걸쳐 인정되었으며 또한 응집항체가(凝集抗體價)의 상승에 따르는 비강내정착균(鼻腔內定着菌)의 완전소실(完全消失)은 다소 곤난함이 인정되었다. 이상(以上)의 성적(成積)으로 B균사균항원(菌死菌抗原)을 사용하여 고도(高度)의 면역(免疫)을 시킴으로서 비강내(鼻腔內)에 있어서의 B균(菌)의 정착(定着)을 조지(阻止)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이 시사(示唆)되나 항체가(抗體價)의 상승(上昇)에 따르는 균(菌)이 비강내(鼻腔內)에서 완전 소실(消失)이 다소 곤난한 점은 본균(本菌)과 호흡기도점막감염(呼吸器道粘膜感染)의 실태(實態)를 시사(示唆)하는 것으로 보아진다.

  • PDF

Paradoxical Cryptococcal Meningitis Immune Reconstitution Inflammatory Syndrome in a Patient wit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Matching Clinical Findings with MRI Findings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환자에서 역설적 크립토코쿠스 수막염 면역재구성 염증증후군: 임상 소견들과 자기공명영상 소견들의 대조)

  • Moon, Sungjun;Hahm, Myong 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79 no.6
    • /
    • pp.359-364
    • /
    • 2018
  • There are two forms of cryptococcal meningitis immune reconstitution inflammatory syndrome (CM-IRIS): paradoxical CM-IRIS and unmasking CM-IRIS.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paradoxical CM-IRIS and CM relapse because mortality of CM-IRIS is higher than that of CM without IRIS, and paradoxical CM-IRIS and CM relapse requires different treatment. We report a case of paradoxical CM-IRIS that well matches the clinical findings with MR findings during three years follow-up of a HIV infected patient and new MRI finding is also introduced to help distinguish them.

Comparison of Immune Status Using Diagnosis of Failure of Passive Transfer in Healthy and Sick Horse Population : A Pilot Study (건강한 말과 아픈 말에서 수동면역부전 진단을 이용한 면역상태 비교 : 파일럿 스터디)

  • Yang, J.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22 no.1
    • /
    • pp.79-85
    • /
    • 2020
  • The current study is the first paper on FPT(failure of passive transfer) of horse population in Korea.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omparison of immune status normal and patient horses. Failure of passive transfer is the most common immunodeficiency disorder of horses. Twenty-two foals and 18 horses from Jeju of the equine hospital were diagnosed with the SNAP Foal IgG Test Kit. All adult horses had normal immune functions (≥800 mg/dl). Thirteen of the 22 newborn babies (59%; ∠800 mg/dl) had a weak immune function but recovered and survived after treatment. Nine of these 22 are horses with strong immunity (≥800 mg/dl), indicating that high IgG concentrations in the blood can cause infectious diseases. There were a total of six dead, four of which were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early identifica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newborn foals is expected to help prepare systematic health management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sease.

질병 - 난계대 질병과 면역억제성 질병에 대한 이해

  • Lee, Dong-U
    • Monthly Korean Chicken
    • /
    • v.15 no.2
    • /
    • pp.97-99
    • /
    • 2009
  • 닭은 다른 산업 동물과 많은 차이가 있다. 그중에는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체의 특성도 포함된다. 특히, 닭에서는 난계대 질병이라는 독특한 질병들이 있고 면역억제성 질병이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닭의 면역억제성 질병은 많은 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새로운 병원체에 의한 또는 기존의 바이러스나 세균의 변이에 의한 면역 억제성 질병의 유발 가능성은 항상 있다. 또한 닭은 생리학적과 해부구조학적으로 계란을 통한 병원체의 전파, 소위 난계대성 전염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면역억제성 질병은 특이한 증상이 없이 준임상형 감염으로 나타나지만 면역억제에 의한 2차 세균감염 등에 의한 생산 성적 저하, 사계율 증가를 유발하여 경제적으로는 크나큰 피해를 일으킨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준임상형 면역억제성 질병에 의한 피해는 현격히 눈에 띄지 않으므로 양계산업 현장에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 나라의 현실이다.

  • PDF

면역독성 평가방법 및 독성기작에 대한 연구

  • 양규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167-167
    • /
    • 1993
  • 신물질의 면역독성 평가방법을 체계화하고 독성기작을 규명하고저 기존 면역독성 유발물질을 대상으로 in vivo 및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비장세포-간세포 공동배양 시스템을 대사를 요구하는 물질의 면역독성 평가에 in vitro system으로 사용하고저 DMN을 대상으로 공동배양 조건 및 배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장세포원으로 BALB/c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간세포원으로 Spraque-Dawley 랫드를 사용하였다. DMN은 홀몬이 첨가된 배지에서 항체 형성반응을 크게 저하시켰으나 배지의 종류에 따른 DMW의 대사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또한 procarcinogen인 DMBA에 의한 면역독성은 DMBA의 대사물에 의해 유도되며 DNA가 primary target 임을 규명하였으며, 2-acetylaminofluorene (AAE)에 의한 면역 억제작용의 기작에서 인터루킨의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Protein methylase inhibitor인 SF와 SIBA웨 면역억제 작용을 연구한 결과 lymphoproliferative response에서 protein methylase 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함이 입증되었다.

  • PDF

Recent Research Trend in Biomaterials for Effective Cancer Immunotherapy (효과적인 암 면역치료를 위한 생체재료 연구동향)

  • Han, Jun-Hyeok;Go, Eun-Jin;Kim, Joon-Kyu;Park, Wooram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2 no.6
    • /
    • pp.2-12
    • /
    • 2019
  • 최근 암 면역치료는 임상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암 질환의 표준치료법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암 면역치료는 암의 재발과 전이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전체 암 환자의 15~20%에서만 치료 효과를 보이고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임상적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기존에 약물전달 또는 조직공학 분야에서 활용되었던 생체재료를 도입하여 면역치료의 효과를 개선하고 부작용은 줄이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본 기고문에서는 효율적인 암 면역치료를 위한 생체재료(나노입자, 리포좀, 미립구, 및 하이드로젤)에 관한 최신 연구동향을 다루고자 한다. 고기능성 생체재료 개발과 종양 면역학 분야의 깊은 이해는 효과적인 암 면역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