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증강제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7초

임신돈 사료 내 만삼추출분말의 첨가 급여가 모돈과 자돈의 생산성 및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donopsis pilosula Extract Powder on the Productivity and Immunity in Sows and Piglets)

  • 김기현;김광식;김조은;정현정;이성대;사수진;홍준기;허태영;박준철;김영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23-435
    • /
    • 2013
  • 본 연구는 만삼추출분말의 모돈 사료 내 첨가급여가 모돈 및 자돈에 있어서 면역력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0두의 F1 임신돈(Landrace ${\times}$ Yorkshire)을 옥수수와 대두박을 기초로 하는 임신돈 기초사료 급여구와 만삼추출분말 0.5% 첨가 급여구로 나누어 각각 10두씩 배치하여 공시동물로 이용하였다. 실험사료를 분만예정일 40일 전부터 분만 후 이유 시(25일)까지 급여하였다. 만삼은 항산화 효과와 더불어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모돈 사료 내 만삼추출분말의 급여는 모돈의 면역능력을 증강시켜 결과적으로 자돈의 면역력 상승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면역력 상승에 따른 보상효과로 자돈의 생산성 및 성장 촉진을 기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만삼추출분말의 첨가급여가 모돈 및 자돈에 있어서 면역력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유 내 IgG 함량과 자돈 혈액 내 IgG 함량 사이의 상관관계는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양의 상관관계(correlation coefficient, 0.435 P=0.102)를 나타내어, 초유 내면역력의 상승은 자돈에 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면역항진 기능을 가진 만삼추출분말의 생리활성 물질은 임신 모돈의 생체 내에서 충분한 면역촉진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면역증강제로써 임신돈 사료 내 만삼추출분말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만삼추출분말 내 생리활성 물질의 생체내 대사 메커니즘과 작용기전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러스성 새우질병 방제법의 개발 (Develoment of the Control System against Shrimp Viral Disease)

  • 허문수;손홍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50-556
    • /
    • 1998
  • 염소, 요오드, 담수처리에 의한 바이러스 병원성 약화 시험결과, 염소 5 ppm이상에서, 담수 50% 이상에서 살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요오드는 효과가 없었다. Peptidoglycan, schzophyllan의 면역증강 효과를 시험한 결과, 각각 7일간 격 투여구와 2일간격 투여구에서 생존율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화학적, 효소적, 생물활균제를 투여하여 수질 및 저질 개선시험결과 화학적 개선제, Mg(OH)$_2$의 효과가 수질, pH, 강열감량 부분에서 효과가 가장 컸으며, 특이하게 효소적 개선제는 총 황화물의 농도를 약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흡충: 충체 및 대사성 항원의 특성분석 (1) 항원투여 마우스 비장조직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Clonorchis sinensis: Analysis of the Characterization of Somatic and Metabolic Antigens (1)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leen in Mice When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Antigens)

  • 양용석;류장근;주난영;송강원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75-282
    • /
    • 1996
  • 저자들은 마우스를 실험모델로 하여 간흡충의 항원을 투여 했을 때 비장조직에 대한 CD3, CD4 및 CD8 모노클로날 항체의 반응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간흡충에 대한 세포면역학적인 특성을 규명고자 하였으며 특히 비장 조직에 대한 phenotype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간흡충의 조항원을 면역증강제와 함께 복강 투여한 다음 일정 기간 후에 비장조직을 Avidin-biotin complex 면역조직염색을 실시한 결과 CD3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나타냈고 CD4와 CD8에서는 약한 반응을 나타냈다. 조직부위를 보면 피막, 혈관, 임파관, 백수부위와 림프구 및 대식 세포의 세포막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 PDF

참당귀 현탁세포배양에 의한 면역증강성 다당 생산 (Produc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 in Angelica gigas Nakai SusDension Cell Cultures)

  • 김영화;김익환;김동일
    • KSBB Journal
    • /
    • 제21권5호
    • /
    • pp.331-335
    • /
    • 2006
  •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현탁세포의 면역 증강성 다당의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초기 당농도와 생장조절제인 2,4-D의 농도를 변화시켰다. 당의 농도를 높일수록 세포의 생장과 ECP의 생산은 각각 1.6배, 1.1배 증가하여 효과적이었다. 2,4-D는 첨가하지 않은 것이 세포의 생장이 대조군에 비해 1.2배 높았지만, ECP의 생산의 경우 2mg/L 2,4-D를 첨가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10% 이상 더 생산되었다. 또한 배양 중 여러 가지의 elicitor를 첨가함으로써 ECP의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fungal elicitor들을 처리한 결과 Verticillium dahliae 90 mg/L을 배양 4일째에 처리한 경우 세포의 생장을 다소 저해시킨 반면, ECP 생산량이 1.7배나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소아의 B형 만성 활동성 간염에서 저용량 ${\alpha}$-Interferon과 Thymodulin의 병용 치료 효과 (Combined Therapy of Alfa-Interferon and Thymodulin on Children with Chronic Active Hepatitis B)

  • 최병호;고철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권1호
    • /
    • pp.79-89
    • /
    • 1998
  • 목 적: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치료에 많은 항바이러스제와 면역조절 물질이 시도되었지만 현재까지는 ${\alpha}$-interferon만이 일정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 면역조절제 중에는 현재thymodulin 등의 면역증강 물질이 시도되어지고 있다. 저자들은 interferon 치료시 thymodulin을 병용하면 소아의 B형 만성 활동성 간염에 interferon 단독 치료보다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1996년 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였던 환아 중 6개월 이상 HBsAg과 HBeAg 및 HBV DNA가 양성(1+~4+)이고, 혈청 AST와 ALT치가 상승되어 있으며 간조직 검사상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확진된 환아 23명($9.8{\pm}2.8$세)을 대상으로 recombinant ${\alpha}$-interferon 300 MU($280\;MU/m^2{\pm}68$; 범위: $189{\sim}448\;MU/m^2$)를 주 3회씩 6개월간 피하 주사하였다. 그 중 10명에게는 thymodulin 60 mg을 매일 복용시켰고 13명은 ${\alpha}$-interferon만 투여하였으며 치료 종료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적 검사를 하였다. 양군간의 모든 변수에서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었다. 결 과: 1) 23명 전예에서 interferon 치료 중에 AST, ALT 및 HBV DNA의 감소가 있었고 12개월째 추적 검사상 9명(39%)에서 평균 3.1개월째에 HBeAg과 anti-HBe의 혈청전환 및 HBV DNA의 음전이 생겼으며 18개월째 추적검사에서는 이 중 2명에서 ${\alpha}$-interferon 중단 후 8개월과 9개월에 HBeAg이 다시 나타났고 또 다른 2명에서 추가로 혈청전환이 생겨서 전체적으로는 23명의 환아 중 11명(48%)에서 혈청전환이 생겼고 재발한 2명을 빼면 최종 성적은 9명(39%)이 된다. 2) 수직 감염이 있는 7례 중 2례(29%)에서 혈청 전환이 생긴 반면 수직 감염이 없는 12례 중 6례(50%)에서 혈청전환이 생겨 수직 감염 유무는 혈청전환과의 상관 관계가 밀접하다고 생각한다. 3) ${\alpha}$-interferon 치료 전의 ALT치가 정상치의 2배 이하인 경우 8례 중 3례(38%)에서 혈청전환이 있었는데 비해 2배 이상이었던 경우는 15예 중 8례(53%)에서 혈청전환이 있어서 ${\alpha}$-interferon 치료전의 높은 ALT치가 좋은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4) ${\alpha}$-interferon 치료 전의 HBV DNA가 3+ 이상이었던 경우는 12례 중 5례(42%)에서 혈청전환이 있었는데 비해 1+ 이었던 경우는 11례 중 6례(55%)에서 혈청전환이 있어서 ${\alpha}$-interferon 치료전의 낮은 HBV DNA가 좋은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5) B형 만성 활동성 간염 환아 23례 중 10례에게 thymodulin을 병용하여 투여하였으나 10례 중 5례(50%)에서 혈청전환이 있었으며 이는 대조군인 ${\alpha}$-interferon 단독 치료 시의 13례 중 6례(46%)와 비교할 때 통계적인 의의를 찾을 수 없었다. 결 론: 면역조절 물질인 thymodulin의 투여로써 숙주 면역계의 기능을 증강시켜 바이러스의 제거를 촉진하고자 소아의 B형 만성 활동성 간염에 ${\alpha}$-interferon 치료시 thymodulin을 병용하여 치료하였으나 ${\alpha}$-interferon 단독 치료보다 더 효과가 있다고 볼 수는 없었으며 향후 더 많은 환아를 대상으로 한 interferon과 다른 종류의 항바이러스제 및 면역조절제 등과의 병용 치료 연구가 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RAW 264.7 대식세포에서 환원형 glutathione인 luthione의 면역 증강 활성 평가 (Evaluation of Immune Enhancing Activity of Luthione, a Reduced Glutathione, in RAW 264.7 Macrophages)

  • 지선영;권다혜;황혜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7-405
    • /
    • 2023
  • 항산화제로서 산화적 손상의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glutathione (GSH)의 면역 조절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환원형 GSH인 luthione®이 RAW 264.7 세포에서 면역 강화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유세포 분석 및 면역 형광 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luthione은 대조군 세포에 비해 대식세포의 대표적인 기능인 식세포 활성을 luthione 처리 농도 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ytokine array의 결과에 의하면, IL-5, IL-1β와 IL-27의 발현이 luthione이 처리된 세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아울러 luthione에 의한 TNF-α 및 IL-1β의 생성 증가는 그들의 단백질 발현 증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NO 및 PGE2와 같은 면역 매개체 유리의 증가는 iNOS 및 COX-2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M1 대식세포 분화 마커인 CD86 발현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그리고 heatmap 분석을 통하여 SOCS1/3 매개 STAT/JAK 신호 전달 경로가 luthione에 의한 면역 조절 증가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의 결과는 luthione이 M1 macrophage polarization의 분자 조절자로 작용하여 면역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비특이 면역증강제 BARODON®에 대한 유전독성시험 (Mutagenicity Studies on Nonspecific Immunostimulator BARODON®)

  • 서민수;조성대;안남식;정지원;양세란;박준석;박기수;홍인선;조은혜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41-146
    • /
    • 2003
  • A nonspecific immunostimulator $BARODON^{\circledR}$ was tested for mutagenicity using Ames Salmonella tester strains TA98, TA1 00, TA 102, TA 1535 and TA 1537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59 mix). None of the fresh species showed mutagenicity. In the reverse mutation test using Salmonella phimurium TA98, TA100, TA102, TA1535 and TA1537 did not increase the number of revertants at all doses tested (5, 2.5 or 1.25 mg/ml). Chromosome aberration test was carried out in Chinese hamster lung (CHL) cell line. The cells were treated with $BARODON^{\circledR}$ (1, 0.5 or 0.25 mg/ml), while positiv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Mitomycin C (0.1 mg/ml).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In mouse micronucleus test,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tio of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 (MNPCE) in the high dose group (10% $BARODON^{\circledR}$), while there is no significance between control and low (2.5% $BARODON^{\circledR}$) or middle (5% $BARODON^{\circledR}$ dose groups. Taken together, this results suggest that below 5% $BARODON^{\circledR}$ might not have mutagenic potential in vitro and vivo systems.

비특이 면역증강제 BARODON® 의 안점막 및 피부에 대한 국소자극시험 (Eye Irritation, Skin Irritation and Skin Sensitization Tests for Nonspecific Immunostimulator BARODON®)

  • 조은혜;조성대;안남식;정지원;양세란;박준석;;박기수;홍인선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39-44
    • /
    • 2003
  • Two local irritation and skin sensitization studies of nonspecific immunostimulator, $BARODON^{\circledR}$ were carried out with New Zealand White rabbits and Hartley guinea pigs. In skin irritation test of male New Zealand White rabbits, body weight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and there were no responses after treatment for 24 or 72 hours and the Primary irritation index (P.1.1.) was '0'. And, in the eye irritation test, there were chemosis in some of rabbits. One of 3 rabbits in washing group was detected chemosis after 24 and 72 h following treatment and 2 of 6 rabbits in non-washing group were detected chemosis after 24h and 7 days following treatment. Therefore, total score is '4' after 24 h and '2' after 72 h following treatment by conforming article "some blood vessel are clearly hyperemic" . However evaluation value is non-irritant because M.O.I. (Mean ocular irritation index) score is below during the all experimental period and no significance through individuals and exposure time. In skin sensitization, the score of skin reaction was graded 1 with 0% sensitization rat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ARODON^{\circledR}$ may be non-irritant material. material.

오미자 면역조절작용 및 L1210 세포의 apoptosis 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fructus on the Immunoregulatory Action and Apoptosis of L1210 cells)

  • 권진;이세진;소준노;오찬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84-388
    • /
    • 2001
  • 오미자의 면역조절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오미자(SZX)는 T 및 B세포의 증식을 유의성있게 촉진시켰으며, in vivo 및 in vitro 실험에서 비장내의 T 및 B림프구를 증가시켰고, T세포 중 특히 $T_H$세포를 증가시켰다. 또한 흉선 T림프구 중의 $T_H$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나타냈다. 아울러 SZX는 in vitro계에서 L1210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였으며, 복강대식세포에서의 탐식능 및 nitric oxide(NO)생성을 촉진시켰다. 이 결과는 복강대식세포로부터 생성된 NO가 L1210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는데 중개역할을 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 오미자는 T, B림프구 및 대식세포 등의 면역세포의 활성을 증강시키는 작용을 보유하고 있으며, 암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면역조절제로서의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한 호르텐스극구흡충의 조직내 항원성 부위에 관한 연구 (Ultrastructural Antigenic Localization in the Tissues of Echinostoma hortense Observed by Immunogold Labeling Method)

  • Yoon-Kyung Jo;Yong-Suk Ryang;Kyu-Je Lee;Insik Kim;Jang-Keun Ryu;Mi-Sook S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5-165
    • /
    • 1999
  • 호르텐스극구흡충을 흰쥐에게 경구 감염시키고 4주 후에 성충을 획득하여 고정, 포매 및 절편하여 조직항원 분포 부위를 관찰하였다.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항체는 호르텐스극구흡충 피낭유충을 흰쥐에게 경구 감염시키고 4주 후에 채혈한 혈청과 호르텐스극구흡충 조항원을 면역증강제와 함께 흰쥐에게 근육 주사하여 채혈한 혈청을 이용하였으며, 이 혈청을 반응시켜서 호르텐스극구흡충 조직내의 항원성 분포를 규명하였다. 한편, 면역황금표식법에 의한 미세조직의 항원성 반응 여부는 조직에 표지된 황금입자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충체 조직에서 황금입자와 강하게 반응하는 미세조직은 표피층의 표지합포체, 난황세포의 구성물질, 유연조직의 분비과립 그리고 배설낭의 구성물질 등에서 반응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항원은 생식세포와 소화분비 및 소화관계통에서 분비 유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