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억제 단백질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4초

바이러스 유래 시스타틴 재조합 단백질의 곤충 면역 및 발육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 Recombinant Viral Cystatin Protein on Insect Immune and Development)

  • 김영태;엄성현;박지영;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31-338
    • /
    • 2014
  • 시스타틴(cystatin: CST)은 C1A류 시스테인 단백질분해효소에 대한 경쟁적 가역억제자로서 동식물류에서 파파인과 같은 캐셉신을 억제대상으로 작용하게 된다. 바이러스 유래 CST (CpBV-CST1)이 폴리드나바이러스의 일종인 CpBV (Cotesia plutellae bracovirus)에서 동정되었다. 기존 연구는 이 유전자의 과발현이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유충의 면역 및 발육을 교란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이 유전자의 단백질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세균발현시스템을 이용하여 재조합단백질(rCpBV-CST1)을 형성하여 단백질분해효소에 대한 활성억제효과를 결정하고, 곤충의 면역과 발육에 대한 생리적 억제효과를 분석했다. 이 유전자 번역부위는 138 개 아미노산으로 약 15 kDa 크기의 단백질로 추정되었다. CpBV-CST1이 먼저 pGEX 발현벡터에 재조합되고, BL21 STAR (DE3) competent cells에 형질전환된 후 0.5 mM IPTG로 4 시간동안 과발현되었다. 분리된 재조합단백질은 파파인에 대한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이 재조합단백질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에 대해서 혈구소낭형성의 세포성 면역반응을 억제하고, 경구로 처리할 때 배추좀나방의 유충발육을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제한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CpBV-CST1이 해충 밀도 억제에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혼합 비티 독소단백질과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억제자를 이용한 약효 증진 기술 (A Technique to Enhance Insecticidal Efficacy Using Bt Cry Toxin Mixture and Eicosanoid Biosynthesis Inhibitor)

  • 엄성현;박영진;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1-311
    • /
    • 2015
  • Bacillus thuringiensis (비티)의 약효를 증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Cry 독소단백질의 혼합효과를 검정하였다. 서로 다른 네 가지 비티 균주에서 분리된 Cry 독소단백질 추출물들은 각각 좁은 적용해충범위를 나타냈다. 이들 Cry 독소단백질을 혼합한 결과 적용범위가 현격하게 증가했다. Xenorhabdus nematophila (Xn) 세균 배양액은 조사된 모든 곤충의 세포성 면역을 억제하고 Cry 독소단백질의 살충력을 증가시켰다. 이 Xn 세균배양액을 혼합 Cry 독소단백질에 추가한 결과 적용해충범위와 살충력을 모두 증가시켰다.

Cry 독소단백질 혼합과 면역억제제 첨가를 통한 Bacillus thuringiensis 살충제 적용범위 및 방제력 증진 기술 (A Technique to Enhance Bacillus thuringiensis Spectrum and Control Efficacy Using Cry Toxin Mixture and Immunosuppressant)

  • 엄성현;박영진;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1-190
    • /
    • 2014
  • 곤충병원세균인 Bacillus thuringiensis (비티)는 포자 형성과 더불어 살충성 Cry 독소단백질을 생산한다. Cry 독소단백질은 대상 곤충의 중장에 위치한 수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살충작용을 발휘하기에 비티의 적용해 충범위가 비교적 좁다. 본 연구는 비티의 적용해충범위와 살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서로 다른 네 가지 비티 균주에서 분리된 Cry 독소단백질은 각각 좁은 적용해충범위를 나타냈다. 이들 Cry 독소단백질을 혼합한 결과 적용범위가 현격하게 증가했다. 벡큘로바이러스가 비티의 적용범위를 증가시키는 지 알아보기 위해 Cry1Ac 또는 Cry1Ca 독소단백질을 각각 발현시키는 재조합바이러스로 검정한 결과 벡큘로바이러스는 Cry 독소단백질의 적용범위를 증가시키는 데 유효하지 않았다. Xenorhabdus nematophila (Xn) 세균 배양액은 조사된 모든 곤충의 세포성 면역을 억제하고 Cry 독소단백질의 살충력을 증가시켰다. 이 Xn 세균배양액을 혼합 Cry 독소단백질에 추가한 결과 적용해충범위와 살충력을 모두 증가시켰다.

Treponema denticola 면역억제 단백질이 T 세포의 cytokine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eponema denticola immunoinhibitory protein on cytokine expression in T cells)

  • 이상엽;손원준;이우철;백승호;배광식;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5호
    • /
    • pp.479-484
    • /
    • 2004
  • 감염근관내 spirochetes의 존재 유무에 대한 논란이 많았으나 최근 PCR을 사용한 세균검출 실험에서 Treponema denticola 균주가 감염근관의 50%이상의 경우에서 발견됨에 따라 이 세균이 치수 및 치근단 질환의 병인과정에 관여하는 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Shenker 등이 T. denticola의 sonicated extract에서 순수분리된 면역억제 단백질 (immunoinhibitory protein)이 T 임파구의 proliferation을 방해함을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세균성 단백질이 T 임파구의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T. denticola의 면역억제 단백질이 처리되기 전과 후의 T 세포에서 분비되는 cytokine Interleukine-2와 Interleukine-4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여 그 작용기전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reponema denticola LL2513를 혐기성 상태에서 TYGVS 배지에 배양한 다음 PBS 세척과 lyophilize 과정을 거친 후 sonication을 시행한다. 이 과정을 거쳐 추출된 상층액이 T. denticola의 면역억제 단백질인 sonicated extract이다. 실험을 위해 건강한 혈액 공여자로부터 T 세포를 Buoyant density 방법으로 추출해 낸 다음 24-well plate에 100만개의 세포를 주입한 다음 Group 1에는 2% FBS의 medium만으로 배양하고, Group 2에는 100 $\mu$l의 PHA로만 증식 자극을 하였고, Group 3에는 PHA처리 전 sonicated extract로 T세포를 자극하였다.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상층액을 추출하여 ELISA assay를 사용하여 IL-2와 IL-4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PHA로 자극받은 Group 2에서는 IL-2와 IL-4가 대조군인 Group 1에서보다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었다. 하지만 $12.5{\;}\mu\textrm{g}/ml$의 T. denticola sonicated 추출물로 전처리한 Group 3에서는 IL-2와 IL-4의 수준이 유의성있게 억제되어 발현되었다 (p < 0.05).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T. denticola에서 추출된 면역억제 단백질이 Th1과 Th2의 cytokine 분비 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 기전이 감염 근관에서 발견되는 T. denticola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 대한 병인기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생쥐의 면역계에 미치는 인삼 사포닌의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Mouse Immune System)

  • 김미정;정노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30-135
    • /
    • 1987
  • 인삼 saponin이 면역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에 단백질 항원(암닭의 ${\gamma}$-globulin)으로 면역시킨 후 1차 면역후 10일, 2차 면역후 10일에 각각 채혈하여 혈청내의 항체가를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method로 측정하였고, 또한 같은 항원으로 면역시킨 생쥐에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여 생쥐의 면역제를 억제시킨 후 그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같은 방법으로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인삼 saponin을 투여한 실험군(10mg/ kg/day)은 개체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같은 조건의 생리식염수 투여군보다 각각 훨씬 높은 항체가를 나타내었고, 면역억제제에 의한 면역억제의 회복에 있어서도 유의성있는 회복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면역작용에 미치는 인삼saponin의 영향은 정확한 기작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인삼 saponin이 혈청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키는 효과와 함께 일종의 면역자극제(immunostimulator)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간흡충 : 충체 및 대사성 항원의 특성분석 (II) 간흡충 감염 가토에서 간흡충, 분비배설액 및 담즙 항원의 분획 양상 (Clonorchis sinensis: Analysis Characterization of Somatic and Metabolic Antigen (II) Profile of the Worm, Excretory-secretory and Billis Antigen in C. sinensis Infected Rabbit)

  • Yong-Suk Ryang;Yoon-Kyung Cho;Ji-Sook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9-94
    • /
    • 1997
  • 가토에게 간흡충을 감염시키고 3개월 후 거살한 다음 간흡충의 충체, 간흡충의 분비배설액 그리고 간토의 담즙을 조항원으로 제조한 후 이에 대한 항원단백질의 구성물질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cysteine계 면역억제제인 E-64와 serine계 면역억제제인 PMSF를 첨가하였을 때 단백질 구성물질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실험적으로 가토에서 얻은 간흡충 성충의 조항원은 200-9 kDa의 범위에서 26개의 분획 을 관찰하였으며, 간흡충 성충 조항원에 cysteine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E-64를 첨거하였을 때 잘 보존하여 200-9 kDa의 범위에서 29개의 분획을 관찰하였다. 간흡충 성충의 분비배설액 조항원은 200-9 kDa범위에서 27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며, cysteine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E-64를 첨거하였을 때 잘 보존하여 200-9 kDa의 범위에서 29개의 분획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간흡충을 감염시킨 가토의 담즙 조항원은 200-9 kDa의 범위에서 19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며, serine 계 단백질분해효소인 PMSF를 첨거하였을 때 200-10 kDa의 범위에서 22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나, cysteine계 단백질분해효소인 E-64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대조군인 건강 가토의 담즙 조항원은 200-10 kDa의 범위에서 22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며, serine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PMSF를 첨가하였을 때 잘 보존하여 200-12 kDa의 범위에서 23개의 분획이 관찰되었다. 앞으로 각 항원에 대한 면역학적 특징 및 단세포군 항체에 대한 구체적인 규명이 계속되어야겠다.

  • PDF

전침에 의한 Complete Freund's Adjuvant유발 관절염모델의 거퇴관절 내 염증관련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in the Ankle Joint of Complete Freund's Adjuvant-injected Rat by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 박인범;최병태;안창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55-63
    • /
    • 2005
  • 목적 : 만성 염증성 질환에 대한 전침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complete Freund's adjuvant (CA) 유발 관절염 모델에서 염증관련 단백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방법 : Sprague-Dawley계 흰쥐의 족부에 CFA를 주사한 다음 3일 간격으로 2 Hz, 15 Hz 및 120 Hz 전침 자극을 주며 부종 형성여부를 plethysmometer로 측정하여 판정하였으며 30일 째 거퇴관절을 취하여 4% paraformaldehyde에 고정하고 EDTA용액에서 탈회시켜 파라핀연속 절편을 얻어 $NF-{\kappa}B$를 비롯한 5종의 염증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 관절연골내 면역반응 중 연골기질은 반응이 없거나 약하고 연골세포는 $NF-{\kappa}Bp65,\;I-{\kappa}B{\alpha},\;iNOS$반응이 강하며 특히 유리연골층에서 더 현저하였으나 염증 및 전침자극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관절낭에서 면역반응을 살펴보면 염증유발시 활액세포의 면역반응세포는 $I-{\kappa}B{\alpha}$가 감소한 반면 iNOS, $IL-1{\beta}$는 증가하며 특히 iNOS 증가가 현저하였으며 전침자극에 의해 iNOS가 감소하였다. 활액막조직에서 모든 면역반응이 증가하며 특히 $NF-{\kappa}Bp65,\;I-{\kappa}B{\alpha},\;iNOS$ 반응이 현저한데 전침자극에 의해 $IL-1{\beta}$를 제외한 모든 반응이 감소하였다. 결론 : 만성 염증성 동물모델의 거퇴관절 내 염증관련 단백질은 관절연골보다 관절낭에서 큰 변화를 보이며 전침처치에 의해 이들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는 것으로 보아 전침이 만성 염증성 질환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Treponema denticola sonicated extract에 의한 임파구 세포주기 차단 기전에 관한 연구 (SONICATED EXTRACT OF TREPONEMA DENTICOLA IMPAIRS THE LYMPHOCYTE PROLIFERATION)

  • 이우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5호
    • /
    • pp.473-478
    • /
    • 2002
  • 근관내 spirochetes의 존재유무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았으나 최근 PCR을 사용한 연구에서 Treponema denticola균주가 감염근관의 50% 이상의 경우에서 발견됨에 따라 이 세균이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 관여하는지에 대한 관심 이 높아졌다. 하지만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Shenker등이 T. denticola의 sonicated extract에서 순수분리된 단백질 (SIP)이 임파구 proliferation을 방해함을 보고한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면역억제단백질 SIP이 어떤 기전에 의해서 임파구증식을 억제하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건강한 혈액 공여자로부터 추출해낸 T세포에 PHA (phytohemagglutinin)로 증식자극을 주게되는데 이 과정에서 SIP을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세포주기 진행과정을 유세포분석기 (Becton-Dickinson FACS$^{tarplus}$) 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세단계의 chromatography과정을 통해 순수정제된 SIP은 50kDa와 56kDa의 두가지 polypeptide로 구성되어 있고 0.25$\mu\textrm{g}$으로 처리된 T 임파구는 42.5%의 [$^3$H]thymidine incorporation 억제가 그리고, 0.5$\mu\textrm{g}$으로 처리한 경우는 75.1%의 억제가 일어나 dose-dependent한 양상이 나타났다. Propidium iodide와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세포주기를 분석한 결과 medium으로만 처리한 경우 97%이상의 임파구는 G$_0$/G$_1$ phase에 머물러 있었으나 PHA자극을 받은 경우 G$_0$/G$_1$ phase에서 58%, S phase에서 34.6%, G$_2$/M phase에서 7.4%로 분포되어 나타났다. SIP으로 전처리한 경우 세포 증식이 감소하여 0.25$\mu\textrm{g}$을 첨가한 경우 75.1%가 G$_0$/G$_1$ phase에 머물러 있었고 더 강한 농도의 0.5$\mu\textrm{g}$을 첨가한 경우는 87.7%가 G$_0$/G$_1$ phase에서 S phase로 진행되지 않고 머물러있었다. 따라서 SIP으로 전처리된 T 임파구는 그 증식이 G$_0$/G$_1$ phase에서 차단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면역억제현상이 in vitro 상태뿐 아니라 in vivo에서도 진행된다면 spirochete가 치수 및 치근단 질환의 병인론에 연관된 면역반응저하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담자균류의 약효성분의 개발에 관한 연구

  • 복진우;여경숙;최응칠;김병각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53-253
    • /
    • 1994
  • 영지와 구름버섯의 원형질체 융합 균주 F-1의 배양 균사체로 부터 열수추출한 분획 Fr.I을 DEAE-cellulose ion chromatography와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분획 Fr.II, III, IV,로 분리 정제하였다. Sarcoma 180에 대한 종양억제율을 검사한 결과 Fr.IV는 68.73%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동계 복수암에 대한 수명 연장 효과도 140 %의 유의적인 결과를 얻었다. 면역 관련 장기의 중량에 대한 영향을 실험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간, 비장 및 흉선의 중량을 증가시켰고, 마우스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독성 작용을 보이지 않았으나 면역 실험을 실시한 결과, 마우스에서 용혈반 형성세포수를 1,36배 증가시켰으며 암이식군에서 감소된 T lymphocyte활성을 정상수준까지 회복시켰고 또, macrophage의 superoxide anion 분비를 2.25배 증가시켰다. 이로써 이 항암 성분은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Fr.IV히 분자량은 7.9$\times$$10^4$ dalton이고 75,57%의 다당체와 4.47%의 단백질로 이루어졌으며 그 다당체는 주로 glucase, xylose와 mannose로 구성된 heteropolysaccharide이었으며 그 단백질은 Alanine과 Valine을 위시한 15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Mcl-1 단백질은 Noxa 단백질의 결합 파트너이다. (Mcl-1 is a Binding Partner of hNoxa)

  • 박선영;김태형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063-1067
    • /
    • 2007
  • Bcl-2 family 단백질은 세포사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포사 촉진 Bcl-2 family 단백질과 세포사 억제 Bcl-2 family 단백질 사이의 균형적인 상호작용이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주요인자이다. Bcl-2 family 단백질 중 하나인 Noxa 단백질은 p53 에 의한 전사되는 단백질로 처음 발견되었다. Noxa 단백질이 어떻게 세포사를 조절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Yeast two-hybrid 방법을 통해 Noxa 단백질과 결합하는 파트너 단백질을 검색하였고 이를 통해 세포사 억제 단백질 중 하나인 Mcl-1를 발견하였다. 사람 대장암 세포주인 HCT 116에서 Noxa 단백질과 Mcl-1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면역침전 방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HCT 116 세포주에서 Mcl-1 단백질 과다발현은 Noxa에 의한 세포사 유도를 크게 억제하였다. Noxa 단백질 과다발현에 의한 세포사 과정에서 Mcl-1 단백질이 분해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는 caspase 억제제인 z-VAD-fmk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이는 Mcl-1 단백질이 cas-pase에 의해서 분해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결론적으로, Noxa와 Mcl-1의 결합은 세포사 과정 중 caspase에 의한 Mcl-1 단백질 분해를 유도를 매개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