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역세포

Search Result 2,776,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Roles of T Lymphocytes in Early Human Reproduction (착상과 임신 초기 면역반응에서 T 림프구의 역할)

  • Yang, Kwa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6 no.3
    • /
    • pp.151-162
    • /
    • 2009
  • 착상, 태반생성 및 임신 유지 등 생식과정에서 semi-allograft인 배아 및 태아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모체 면역계의 면역관용이 요구된다. 면역관용은 분자 생물학적으로 염증반응과 항염증반응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인식되고 있으며, 생식과정에서 모체 면역계의 T 림프구, 자연살해세포, 수지상 세포, 대식세포 등 여러 면역세포의 유기적인 협조하에 이루어진다. 면역세포들은 특정 항원 및 사이토카인의 자극에 따라 정반대의 성질을 가진 사이토카인을 생산, 분비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각각을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면역세포로 명확히 구분할 수 없으며 면역세포의 이러한 특성에 의해 생산 및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종류에 따라 Th0 형 (Th 0 cell, Tc 0 cell, NK 0 cell), Th1형 (Th 1 cell, Tc 1 cell, NK 1 cell), Th2 형 (Th 2 cell, Tc 2 cell, NK 2 cell), Th3 형 세포 (Th 3 cell, Tc 3 cell, NK 3 cell)로 분류하기도 한다. 즉, 착상 시기에 혈관신생 및 영양막의 자궁 내 침투를 위한 적절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의 분비 및 임신의 지속을 위한 항염증성 (anti-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분비 등 생식과정에서 수반되는 염증성과 항염증성 면역반응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기전은 특정 면역세포만의 작용으로 결론 지을 수 없으며 면역 세포간 network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Figure 5). 면역세포 중 최근 그 존재가 알려진 면역조절 T림프구 (T reg cell)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면역관용에 관여함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어 자궁 내모체-태아간 접촉면에서 면역세포들 간의 network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작용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설들을 뒷받침 할 만한 객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찰에서는 착상과 임신 유지 등 생식과정에 수반되는 면역세포 및 그 세포들의 작용기전중 T 림프구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그 분류 및 기능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착상과 임신의 유지 등 생식과정에서 T 림프구는 면역관용과 거부에 적극적으로 작용하며 착상부전, 습관성유산 등 면역학적 병인이 유사한 생식장애 (poor reproductive performance)들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향후 T 림프구 및 그와 연관된 면역세포들의 작용에 대한 확실한 분자학적 규명이 요구된다.

조력 T세포 인자에 의한 면역반응의 억제

  • 이종길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6 no.3
    • /
    • pp.20-25
    • /
    • 1990
  • 면역계에는 조력T세포(helper T cell)와는 반대로 면역반응을 억제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주 기능인 억제성 T세포(suppressor T cell)가 존배한다는 것이 아려져 있다. 이 억제성 T세포가 존재한다는 개념이 면역학및 임상의학에 준 영향은 매우 지대하여, 앨러지나 자가 면역질환 같은 질병은 억제성 T세포의 결핍으로, 그리고 면역 결핍증같은 질병은 T세포가 지나치게 활성화된 것으로 설명되기에 이르렀다. 한마디로 거의 모든 저하된 면역반응은 억제성 T세포와 연관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억제성 T세포가 발견된지 근 20년이 되고 그에 관한 논문이 5000여편에 달하는 최근까지도 억제성 T세포 및 이들 세포가 만드는 억제성 T세포 인자에 대한 실체는 정확히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억제성 T세포가 조력 T세포처럼 별개의 세포군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부인하는 학자도 최근 나오게 되었다.(이 분야의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이 정리되어 있음). 그러나 억제성 T세포의 존재를 부인하는 학자들도 T세포가 면역 반응의 억제에 관여한다는 사실, 적어도 그 현상 자체를 부인하지는 않았다. 다시말하면, 면역반응이 T세포에 의하여 억제되는 현상은 이미 수 천년의 논문을 통하여 입증되고 있다. 면역반응의 억제에 있어서 억제성 T세포및 억제성 T세포 인자의 역할은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명확히 규명될 것이며, 정말 억제성 T세포가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은 이 총설의 주제가 아니다. 다만 여기서는 조력 T세포도 경우에 따라서는 면역반응의 억제에 관여한다는 최근의 연구결과를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유식세포분석분리기의 원리 및 면역생물학에서의 역할

  • 정헌택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7 no.1
    • /
    • pp.38-50
    • /
    • 1991
  • Flow cytometer(유식세포분석분리기:FCM)는 부유되어 있는 세포의 여러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기 때문에 동물의 체내에 있는 세포중 자연적으로 부유되어 있는 혈구세포를 분석하기가 가장 용이하다. 면역계에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면역반응에 특이성과 기억능력 등을 부여하는 림프구와 탐색작용을 가장 왕성히 나타내는 과립구나 단구 등이 혈액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FCM을 이용하여 개체의 방어기능을 맡고 있는 면역세포를 분석하는 일이 가장 먼저 활발히 이루어졌음은 당연하였다. 도한 1970년대 면역학이 큰 발전에 이룩한 단크론항체가 Miller와 Kohler에 의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면역세포의 분화항원에 대한 여러 종류의 단크론항체는 FCM의 이용으로 면역세포를 여러 아형으로 분석하고 분리가 가능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FCM이 최근에 개발된 것에 맞추어 세포성 면역학이 30년 전부터 급속도로 연구되었으므로 면역학적 연구가 FCM의 이용으로 더욱 활성화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런 시점에서 저자는 FCM의 원리와 면역생물학에서의 FCM의 역할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려고 한다.

  • PDF

유청 단백질에서 유도되는 생리활성 펩타이드에 관한 연구

  • Yun, Seung-Seop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11a
    • /
    • pp.18-29
    • /
    • 1996
  • 1. CWPC중의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의 검색 Mouse 임파세포의 증식효과를 지표로 하는 면역기능을 검토하여 CWPC중의 면역 부활작용을 갖는 새로운 성분의 검색을 실시하였다. CWPC를 여러 가지 분획법으로 분획하여 mouse 임파세포의 증식효과를 지표로 면역 활성성분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gel filtration, 음이온교환법을 사용하여 분획한 당을 다량 포함한 부분에 강한 면역부활담당세포에 대하여 증식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발견하였다. 이 물질은 SDS-PAGE상에서 분자량이 약 16kDa에 위치하여 Ca, P 및 당쇄를 포함한 물질이며, 이것을 GPP로 하였다. GPP에는 우유케이신의 trypsin분해물이며 Ca와 무기인을 풍부하게 포함하는 ${\beta}$-CPP와 유사한 phosphoserin 영역을 갖는 성분과 갖지 않는 성분의 2종류가 존재하며, 각각의 면역 부활활성이 인정되었다. 각 성분의 아미노산 분석, 당 분석의 결과에서 지금까지 보고된 우유중의 면역 담당세포에 대한 증식활성을 갖는 물질과는 상이한 성분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이 활성물질 (GPP)은 PP cell에서도 동등한 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CWPC중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면역 부활물질이 존재하며, 그 성분에는 CPP와 유사한 phophoserine 영역이 존재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N-글리코실 결합의 당쇄가 존재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이 성분은 전신면역의 지표인 비장세포에 대해서만이 아니고, 장관면역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PP cell에서도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전신 및 국부적인 면역기능의 부활성분으로서 응용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2. GPP의 면역담당세포에 대한 증식활성의 메카니즘의 검토 CWPC중의 GPP의 면역담당세포증식활성의 메카니즘을 해명하기 위해 먼저 이 성분중의 어느 부분이 활성에 관여하는지를 pronase 분해 및 phophoserine 영역을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pronase 분해처리에서도 활성의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활성에는 당이 필수 불가결하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또한 phosphoserine 영역을 인식하는 항체에 의해서도 활성은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phosphoserine 영역이 세포증식활성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분획한 면역담당세포에 대한 증식활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 성분의 표적면역담당세포를 동정하여, B세포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증식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Nerve Growth Factor receptors in the Basal forebrain Nuclei of the Postnatal and the adult Rats (출생후 발생단계와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 여러 핵들에서 신경성장인자수용체에 대한 면엮조직화학적 연구)

  • 정영화;홍영고고연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3
    • /
    • pp.385-408
    • /
    • 1994
  • 출생후 0일. 7일. 14일 및 21일 그리고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 수직 및 수평 대각 Broca대 거대세포 시삭전핵 그리고 복부담창구에서 신경성장인자수용체 (nerv-growth 배ctor receptor, NGFr)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신경조직과 세포의 분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출생후 초기와 성체에서 신경세포 원형질막 뿐만 아니라 세포질에서 NGFr 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성체에서 신경세포 원형질 막에서의 면역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NGFr 면역반응은 골지 부위에서 보였고, 점상의 면역반응물들이 세포체의 세포질과 수상돌기에 소수 분산 분포하였다. 뇌 기저부의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뇌 크기의 증대와 뇌 조직의 분화에 따라 점차 수적 증가를 보였다. 이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체의 장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 형. 즉 1) 원형. 2) 타원형. 3) 세장형, 4) 방추형, 5) 삼각형, 6) 다각형으로 분류되었다. 전뇌 기저 핵에서 원형과 난형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0일에서 높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감소된 반면, 세장형. 방추형, 삼각형 그리고 다각형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0일에서는 낮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증가하였다. 모든 핵들에서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후 0일에 759-1,640 Um3로 제일 작았으며, 수직 대각 Broca대와 복부담창구에서는 출생후 14일에 각각 5 107 7.385 Um3 그리고 내측중격핵, 수평 대각 Broca대, 거대세포 시삭전핵에서는 출생후 21일에 각각 4,705, 6,061, 6,412 Um3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후 성체로 되면서 모든 핵에서 1,893-3,464 $\mu$m3로 다시 감소하였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출생후 21일된 흰쥐 수평 대각 Broca대에서 NGFr 면역반응은 세포체와 수상돌기의 원형질막 그리고 세포체내에서는 골지체, 다소포성소체 및 조면소포체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로 미루어 NGFr은 출생후 발생단계와 성체의 횐쥐 전뇌 기저부에서 신경세포의 분화와 분포에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separated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조다당류 추출물의 면역활성 효과)

  • Byun, Eui-Ho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9 no.5
    • /
    • pp.559-566
    • /
    • 2017
  •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PCP) in mouse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BMDC) and splenocytes. The immunomodulatory activity was determined by cell viability, nitric oxide (NO) production, cell surface marker expression (CD 80/86 and MHC class I/II), and cytokine production in BMDC, and cell viability, and cytokine production in splenocytes. Cell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6, IL-$1{\beta}$, and IL-12) tested in BMD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PCP treatment. Additionally, the cell surface markers (CD 80/86, MHC class I/II) were highly increased by PCP treatment. For cytokine production in splenocytes, PCP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Th 1 cytokines [IL-2 and interferon (IFN)-${\gamma}$], but not Th 2 cytokines (IL-4). Therefore, PCP can induce immune cell activation and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nutraceuticals to boost the immune system.

Immunocytochemical Study of the Nerve Growth Factor Receptor in the Nucleus Basalis of Meynert of the Growth Receptorn in the Nucleus Basalis of Meynert of the Postnatal Rat BASAL Forebrain (출생후 발생에 따른 흰쥐 전뇌 기저부 Meynert 긴저칙에서의 신경성장인자 수용체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 Jeong, Yeong-Hwa;Hong, Yeong-Ho;Sin, Bo-Cheol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6 no.4
    • /
    • pp.562-579
    • /
    • 1993
  • 출생후 발생에 따른 흰쥐 전뇌 기저부의 Mevnert 기저핵(nucleus basalis of Mevnert)에서 신경성장인자 수용체(nerve growth factor receptor, NGFr)를 함유하는 신경세포의 면역반응성 및 분포, 세포형의 분류, 각 형별 출현율 및 세포 크기 그리고 세포소기관과 NGFr 면역반응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출생후 초기 발생에서 세포질 뿐만 아니라 원형질 막에서도 면역반응을 보였으나, 성체에서는 세포질에서만이 면역반응을 보였다.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는 형태학적 특징인 세포체의 모양과 장·단축의 비를 기준으로 5가지 형, 즉 1) 원형, 2) 난형, 3) 세장형. 4) 방추형, 5) 삼각형(또는 다각형)세포로 구분되었다 원형과 난형 세포는 출생후 0일에서 각각 15.4%. 50.7%의 높은 출현율을 보였으나, 발생이 진행되면서 점차 감소하여 성체에서 각각 7.8%, 28.6%의 출현율을 보였다 반면, 세장형, 방추형 및 삼각형세포는 출생후 0일에서 각각 22%, 2.6% 9.2%의 낮은 출현율을 보였으나, 발생이 진행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성체에서는 각각 29 9%, 5.2%, 28.5%의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출생후 0일에서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매우 작았으나(1,642mm3), 발생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14일, 21일에서는 성체에서보다 매우 컸다(각각 6.745, 6,755mm3) 원형 및 난형세포체의 부피는 21일에서(각각 7 955. 7.020mm3), 세장형 방추형 그리고 삼각형세포체의 부피는 14일에서 제일 컸다(각각 7,067, 6,237, 7,748 mm3) 대체적으로 삼각형세포체의 부피가 제일 컸으며, 방추형세포체의 부피가 제일 작았다. 출생후 순일에서의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세포소기관중 조면소포체, Golgi체, multivesicular body 그리고 세포표면 원형질막이 강한 NGFr 면역반응을 보였다. 위의 결과들로 미루어 MGFr은 출생후 흰쥐 전뇌 기저부 Meynert 기저핵 신경세포의 분화 및 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endocrine cells in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Korean native goat (한국 재래산양의 위장관에 출현하는 내분비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Lee, Jae-hyun;Lee, Hyeung-sik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30 no.3
    • /
    • pp.261-270
    • /
    • 1990
  • The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of the Korean native goat we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and 5-HT-, somatostatin-, Gas/CCK-, glucagon-, chromogranin- and PP- immunoreactive cells were revealed. The characteristic findings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these 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Korean native goat were as follows. 5-HT-immunoreactive cells were more numerous in the small and large intestine than in the abdomen stomach. Somatostatin-immunoreactive cell were more numerous in the abdomen stomach than in the small and large intestine. Gas/CCK-immunoreactive cells were concentrated very numerously in the pyloric region with a few in the other regions. Moderate numbers of glucagon-immunoreactive cells were found in the small and large intestine, but a few of them were found in the abdomen stomach. Very numerous chromogranin-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gastrointestinal tract. PP-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moderate numbers in the large intestine with few in the ileum. No insulin-immunoreactive cell was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 PDF

Effect of bee pollen extract on activation of dendritic cells and induction of Th1 immune response (꿀벌 꽃가루 열수 추출물의 수지상 세포 활성화 및 Th1 반응에 미치는 효과)

  • Cho, Eun-Ji;Kim, Yi-Eun;Byun, Eui-Ho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0 no.4
    • /
    • pp.444-450
    • /
    • 2018
  • Dendritic cells (DCs) are potent antigen-presenting cells that play a pivotal role in modulating both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This study examined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of bee pollen (BPW) in bone-marrow derived DCs (BMDC) and mice splenocytes. BMDCs isolated from mice were treated with 250 and $500{\mu}g/mL$ BPW for 24 h. BPW, up to $500{\mu}g/mL$, did not display any cellular toxicity against BMDCs. In fact, it functionally induced BMDC activation via augmentation of CD80, CD86, and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class I/II express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6, and $IL-1{\beta}$) production. Interestingly, BPW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nterferon $(IFN)-{\gamma}$ in splenocytes, suggesting its possible contribution to Th1 polarization in immune response.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PW may regulate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via DC activation and Th1 polarization in immune responses.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gastro-entero-pancreatic(GEP) endocrine cells of the blue fox, Alopex lagopus (북극여우의 위장췌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Lee, Jae-hyun;Lee, Hyeung-sik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33 no.3
    • /
    • pp.369-379
    • /
    • 1993
  •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the relative frequencies of endocrine cells were studied in nine portions of the blue fox GI tract,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cell types of the pancreatic endocrine cells were also studied in the pancreas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Six kinds of immunoreactive cells were identified in the GI tract, and four kinds of immunoreactive cells were also identified in the pancreas. Although numerous 5-HT- and somatostatin-immunoreactive cells were seen throughtout the GI tract, somatostatin-immunoreactive cells were a few in the intestine. Very numerous Gas/CCK-immunoreactive cells were restricted generally in the pyloric region and duodenum. Numerous glucagon-immunoreactive cells were found in the stomach except the pyloric region, and generally a few in the intestine. Moderate number of BPP-immunoreactive cells were found in the stomach except the pyloric region, and a few in the large intestine. Numerous porcine CG-immunoreactive cells were restricted to the cardiac and fundic region. In the pancreas, four types of pancreatic endocrine cells-somatostatin-, glucagon-, BPP- and insuline-immunoreactive-were identified in the pancreatic islet and exocrine por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gional distribution, the relative frequencies and cell types of the GEP endocrine cells in the GI tract and pancreas varies considerably among the spe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