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섬유

Search Result 69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Preparation of technical textile by multilayer processing -Cotton fiber coating with chitosan and alginate skin- (복합가공에 의한 기능성 섬유의 제조 - 키토산과 알지네이트로 피복된 면 -)

  • Lee, Ju-Hyun;Lee, Min-Kyung;Park, So-Hyun;Kim, Jong-Hwan;Lee, Young-Chul;Son, T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61-61
    • /
    • 2011
  • 지구 온난화로 인해 환경파괴, 병원성 세균 감염 등에 의한 각종 질병과 아토피 피부염 등 수없이 많은 요소들에서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친환경 소재의 용품들이 각광 받고 있다. 이중에서도 키토산과 칼슘알지네이트는 천연재료로써 이미 다른 분야에서 응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 두 가지 천연재료를 두 층으로 면섬유에 코팅시킨 CCAC섬유를 제조하였다. CCAC섬유와 키토산이 코팅된 면섬유, 칼슘알지네이트가 코팅된 면섬유, 미처리 면섬유의 총 4가지 섬유에 체액, 증류수, 생리식염수의 각각의 조건에서 흡습량, 흡습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고, 수분율과 함수율을 측정하고, 접촉각을 Contact angle system OCA2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CAC섬유의 키토산 부착 함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량적인 방법으로 add-on율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정성적인 방법으로 원소분석기(Elemental Analyzer, FLASH 111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칼슘알지네이트의 함량 분석은 EDS(EX-250, HORIB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직물의 표면과 단면의 형태는 주사전자현미경(S-4100, Hitachi Co., Japan)으로 ${\times}100$, ${\times}1000$ 배율로 측정하여 단면과 표면 상태를 확인하고, 물리적인 특성은 KES-FB system 을 통하여 확인 하였다.

  • PDF

유연소재 천 기반의 슈퍼캐패시터 저장체의 전기화학적 성능 향상

  • Yun, Tae-Gwang;O, Min-Seop;Hu, Liangbing;Hyeon, Seung-Min;Han,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697-698
    • /
    • 2013
  • 최근에 유연한 성질을 갖는 전자기기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그에 따라서 유연 전자기기를 뒷받침 해줄 수 있는 에너지 저장체의 유연한 성질도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연한 에너지 저장체의 많은 연구들이 유연한 금속 박막이나 특수 공정처리가 필요한 고분자를 이용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유연 에너지 소자들은 에너지 저장체의 성능에 비해 고온과 산 약품과 같은 환경이 필요하며,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있다. 그에 반해 섬유는 앞에서와 같이 특수 공정 처리가 따로 필요하지 않으며 상온에서도 손 쉽게 이용 가능하며, 신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기 때문에 효율적, 비용적으로 유연한 에너지 저장체에 유리한 소재이다. 몸에 해로운 산과 같은 약품처리의 필요도 없으며, 용매를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용매를 이용한 도포 방법을 사용하면 다양한 물질을 폭넓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적용 분야에 맞춰서 섬유의 종류를 조절하면 다양한 성질을 갖는 천 기반의 에너지 저장체가 형성되며, 면 섬유가 수소 결합과 높은 반데르 발스 결합에 의해 탄소나노튜브와 결합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에너지 저장체를 형성하는 것을 분석한 논문들도 보고되고 있다. 면 섬유의 특수한 성질을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체를 제작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일반 합성 섬유인 polyester와 면 섬유를 비교 제작하였으며, 용매의 형태로 손쉽게 도포 가능한 물질은 탄소 계열의 활물질들이며, 탄소 나노 튜브나 그래핀 등이 분산된 용액을 이용해 천에 도포 가능하다. 탄소 계열의 활물질들은 대표적인 슈퍼캐패시터 물질이며, 천에 도포를 함으로써 천 기반의 슈퍼캐패시터를 제작하였다. 일반 합성 섬유 polyester와 CNT를 결합한 형태의 전극은 최대 에너지 축전 용량(Maximum specific capacitance)이 53.6 F/g으로 나타났으며, 면 섬유와 CNT를 결합한 형태의 전극은 최대 에너지 축전 용량이 122.1 F/g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면 섬유에서 높은 에너지 저장 능력을 보이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에너지 저장 능력이 뛰어난 면 섬유를 다음 전극 디자인에서도 일률적으로 적용하였다. 슈도캐패시터의 대표적 물질인 금속 산화물인 망간 산화물(MnO2)을 3전극 도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에너지 축전 용량과 에너지 밀도를 올리는 전극을 제작하였다. 특히 망간 산화물의 형태는 표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평균 지름은 200~300 nm 정도 되는 나노 입자의 형태로 제작하였다. 그 결과, 확연하게 에너지 축전 용량이 향상되었으며, 최대 에너지 축전 용량은 282.0 F/g, 에너지전력 밀도는 14.2 Wh/kg으로 나타나서 금속 산화물의 형태가 주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나노 입자의 형태로 제작된 금속 산화물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금속 산화물의 전기 전도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에 비례해서 전력 밀도의 값이 표현되는데, 전기 전도성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전력 밀도도 급격한 감소가 나타난다. 다음과 같이 전기 전도성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은 추가의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지만 오직 기계적인 인장응력만을 가해서 에너지 밀도와 전력 밀도를 증가시키는 전극을 제작하였다. 인장응력을 섬유 기반의 전극에 가했을 시에 가닥들간의 접촉 증가와 CNT가 정렬되면서 특정 변형률(strain) 이전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최대 50%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선행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이를 이용해서 전기 전도성과 직결되는 전력 밀도의 양도 증가시키고 에너지 밀도의 증가 여부까지 확인한 결과 인장을 가하기 전 면 섬유의 전력 밀도와 에너지 밀도는 6.4 kW/kg and 6.1 Wh/kg으로 나타났으나 30% 변형 인장 후에는11.4 kW/kg과 7.1 Wh/k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망간 산화물을 첨가한 전극 역시 4.9 kW/kg과 14.2 Wh/kg으로 나타났었으나 인장 이후 전력 밀도는 14.2 kW/kg, 에너지 밀도는 17.6 Wh/kg으로 확연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smetic hydrogels affected by adding various celluloses (셀룰로오즈 첨가에 따른 미용용 하이드로겔의 물성 연구)

  • Byeon, Hong-Ju;Choi, Won-Seok;Lee, Hyang-Yeol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5 no.3
    • /
    • pp.702-708
    • /
    • 2018
  • Hydrogels are natural polymer networks that can contain huge quantities of water and many cosmetical ingredients. Their hydrophilic functional groups creates a matrix, which allows high efficacy in delivering active ingredients into the skin. In industry, hydrating properties and strength of the hydrogels are of great interest in manufacturing hydrogel mask packs. We have used the cellulose in various forms such as powder, cotton fiber and cellulase treated cotton fiber to investigate the property changes of cellulose/hydrogel sheets. When 0.1% and 0.3% of cellulose powder were added to hydrogels, tensile strength of hydrogel sheets were decreased by 10% and 14% respectively. Vise versa, when 0.5 ~ 2 cm of cotton fibers were added, tensile strength of hydrogel shee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bout 20%. The hydrogels which contain cotton fibers also gave an excellent moisturizing effect. Especially cellolose/hydrogels containing cellulase-treated cotton fibers showed the best effect on retaining moisture content increasing upto 380% in comparison with the one containing untreated cotton as well as excellent dispersibility.

Evaluation of Interface Shear Properties Between Geosynthetics and Soils Through Inclined Board Tests (경사판 시험을 통한 토목섬유와 흙의 접촉 전단 특성 평가)

  • 서민우;신준수;박준범;박인준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6
    • /
    • pp.285-298
    • /
    • 2003
  • Shear properies of geosynthetic/geosynthetic and geosynthetic/soil interfaces which are widely met in landfill sites were evaluated from the inclined board tests. The inclined board testing apparatus is known to reproduce the shear behavior on the low normal stress most accurately. In this study, the friction angle of each interface was estimated and the tensile force mobilized at the geosynthetic was measured as well.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friction angle of each interface and the tensile force of the geosynthetics depended on the amount of normal stress, the type of the geosynthetics used, and the combinations of geosynthetics and soils. In addition, the sand/geotextile/geomembrane interface system was simulated in this study,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tensile force developed at the geomembrane decreased due to the protection effect of the geotextile located above the geomembrane. The test results of this research was compared with those of direct shear tests published, too. Finally, by comparing the measured tensile force of the geosynthetics when the initial displacement of the box occurs, when the slope is called as the critical slope, with suggested analytic solution, the accuracy of analytic solution and the applicability to design were identified.

Bioscouring of Cotton with Pectinase Enzyme (펙티나제 효소의 면섬유 정련 공정에의 응용)

  • 김재원;홍현필;최은경;김성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82-385
    • /
    • 2001
  • 일반적으로 호발, 정련, 표백으로 이루어지는 전처리(preparation) 공정은 섬유자체의 불순물 및 제사시의 유제, 제직시의 호를 제거하여 섬유의 흡수성과 백도를 높이고 그 화학조성을 균일하게 하여 염색 및 가공이 최적의 조건에서 균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공정을 말하며, 전처리 공정을 거친 원단 상태의 품질이 다음 단계의 염색을 성공적으로 마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실제로 전처리 결과의 미습함이 염색불량 원인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략)

  • PDF

Estimation of Dynamic Interface Friction Properties of Geosynthetics (토목섬유의 동적 경계면 마찰특성 평가)

  • 김동진;서민우;박준범;박인준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4
    • /
    • pp.265-275
    • /
    • 2003
  • In this study, shaking table tests were conducted to estimate dynamic interface properties between geosynthetics such as geomembrane, geotextile and geosynthetic clay liner. Accelerations of both shaking table and upper box, and relative displacements between geosynthetics under dynamic loading were measured. Also, the influence of normal stress, frequency of excitation and dry/wet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es of test results.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limited acceleration below which dynamic farce can be transmitted between geosynthetics without the loss of horizontal acceleration. Dynamic interface friction angle between geosynthetics could be calculated through the limited acceleration. Relative displacements induced along geosynthetic interfaces under dynamic loading were not consistent depending on the type of interface and test conditions. The maximum slip displacements between geosynthetics are normalized and normalized slip equations were developed for each interface. By using the normalized slip equation, maximum slip displacements for the geosynthetic interface could be predicted for the given base acceleration and frequency of excitation.

Effects of Surfactants on Pectinase Treatment of Cotton/Chitosan Blends (면/키토산 혼방섬유의 펙티나제 처리시 계면활성제의 영향)

  • Song, Yu-Sun;Kim, Hye-Rim;Song, Wha-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3 no.12
    • /
    • pp.1965-1970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urfactant pretreatment on the pectinase-treated cotton/chitosan blends by weight loss and properties such as water absorbency, dyeability, tensile strength, pilling property, and surface morphology. The weight loss of cotton/chitosan blends was 1.5% by the surfactant pretreatment/pectinase treatment. The water absorbency and dyeability of sample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by the surfactant pretreatment/pectinase treatment. The tensile strength and pilling property of treated fabrics showed no change. The water absorbency and dyeability of pectinase treated samples improved with the pretreatment of the surfactant without damaging the fibers.

A Study on the Resin Flow through Fibrous Preform in Resin Transfer Molding Process (수지이동 성형공정에서 섬유직조내의 수지유동에 관한 연구)

  • 김성우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5 no.1
    • /
    • pp.85-92
    • /
    • 1993
  • 수지이동 성형공정에서 수지가 섬유직조망에 함침될 때의 투과계수와 수지의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유동진전면에서 발생하는 모세관압을 실험적으로 측정하였다. 두 종류의 섬유조직망에 대해서 가공율이 증가함에 따라투과계수는 증가한다. 수지, 섬유 그리고 공기 가 서로 다른 세 개의 상을 구성함으로써 수지의 표면장력의 영향을 받는 비정상상태의 투 과계수가 수지의 섬유직조망에 포화된 정상상태에서 측정된 투과계수보다 본 실험에서 수행 된 모든 기공을 범위에서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수지 유동진전면에서 발생되는 모세관압 은 기공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섬유직 조망의 기공율이 0.469인 경우에는 금형입구 에서의 수지주입압력의 25%에 해당되는 모세관압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 세관압을 가공조건으로 고려해다 한다는 것을 제시할수 있었다. 또한 본연구에서 사용된 임 의 배향 섬유직조망에 대해 실리콘 오일과 유리섬유 계면의 동적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섬유 배향 및 기공의 분포를 나타내는 형상인자의 값을 구함으로써 실제 RTM 공정에서 발생되 는 모세관압을 예측할 수 dLT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PDF

Dynamic Behavior of Offshore Waste Landfill Revetment with Geosynthethic-Soil Interface (토목섬유 접촉면을 포함한 해상 폐기물처분장 호안구조물의 동적 거동)

  • Kwak, Chang Won;Oh, Myoung Hak;Park, Inn Joon;Jang, Dong I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3 no.12
    • /
    • pp.141-150
    • /
    • 2017
  • Geosynthetics are generally utilized to restrain the leakage of leachate and other contaminants during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waste landfill. Therefore, geosynthetic-soil interface is formed inevitably. In this study, 2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to assess the dynamic behaviour of the offshore waste landfill including geosynthetic-soil interface. Offshore waste landfill can be divided into rubble mound revetment and retaining wall types and analyzed on each type. Effective stress analysis is conducted to consider the variation of pore water pressure and axial force and shear displacement of the interface are compar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eismic frequency. Consequently, retaining wall type demonstrates more stable behavior against liquefaction potential and favorable forces and shear displacement.

Dyeing Properties of Reactive Disperse Dyes on Nylon, PET, Cotton and Mixture Fabrics (반응성분산염료의 나일론, PET, 면 및 복합소재에 대한 염색성)

  • Lee, Hyo-Young;Kim, Seung-Kwan;Kim, Sung-Dong;Lee, Jong-Lye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34-34
    • /
    • 2011
  • PET/면, 나일론/PET, 나일론/면 등 다양한 복합섬유소재를 염색하기 위해서는 복합섬유소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소재에 따라 적합한 염료를 선정하고 그에 맞는 염색방법을 사용하여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 색상과 견뢰도 등의 물성을 맞추기 위한 복잡한 염색공정 및 긴 염색시간에 의한 생산비용 상승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염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섬유를 염색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새로운 염료합성의 경우 섬유와 결합할 수 있는 반응기를 분산염료구조에 도입하여 염색조건에 따라 다양한 섬유를 염색할 수 있는 universal dye의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반응성염료와 분산염료의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일환으로서 염료의 분자 구조 내에 상기의 염료특성을 동시에 발휘하는 소위 "반응성 분산염료"의 개발이 이에 속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학구조가 다른 네 종류의 sulphatoethylsulphone기를 갖는 반응성분산염료들을 합성하고 이들의 나일론, PET, 면 및 교직물에 대한 염색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면 섬유에 대한 Dye 1~4의 염색온도에 따른 염색성을 살펴보면, 각 염료들의 염색성은 염색온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Dye 1, 4는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K/S 값이 증가하고 Dye 2, 3은 염색온도가 낮을수록 K/S 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Nylon에 대한 Dye 1의 염색속도는 pH 4 > pH 5 > pH 8 > pH 7 > pH 6의 순서로 나타나 pH 6에서의 염착 평형이 pH 4보다 40분 정도 늦게 도달하였다. 나일론과 PET의 동욕염색에 있어 Dye 1은 나일론의 경우 초기부터 빠른 흡착을 보이며 $100^{\circ}C$가 되는 60분에는 K/S값이 16에 도달하여 염착 평형에 근접한 것을 알 수 있으며, PET는 $100-200^{\circ}C$ 사이에서 염색속도가 빨라지며 본격적으로 흡수하였다. N/C 교직물에 대한 Dye 2, 3의 빌드업성은 두 염료 모두 염료농도의 증가에 따라 K/S 값 역시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일론 섬유는 네 가지 염료로 우수하게 염색되었고, 면 섬유는 수용성기를 가진 Dye 2와 3, 그리고 PET 섬유는 소수성이 높은 Dye 1과 4가 적합하였다. N/P 및 N/C 교직물의 염색에 있어 나일론 성분으로 염료가 더 많이 흡착하여 나일론섬유가 더 진하게 염색되지만 교직물의 직물조직에 의하여 표면과 이면은 각각 거의 동색으로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