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멕시코 현대건축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Regionalism in Contemporary Mexican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Luis Barragan & Ricardo Legorreta- (멕시코 현대건축의 지역주의에 관한 연구 -루이스 바라간과 리카르도 레고레타를 중심으로-)

  • 이일형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13
    • /
    • pp.231-237
    • /
    • 1997
  • One of the clearest reactions against Modern architecture, and its planning ideology of comprechensive development, was the neo-Regional movement which arose at more or less the same time in serval countries. In the mid-fifties architects in Mexico started to design architectures which mixed vermacular and Modern methodology to recall traditional buildings. This popular alternative to Modernism had caught on in Mexico by the recent to become the accepted approach for the most regional building built by the Mexican architects. The regional architecture provided the continual activity, safety and economy of traditional life which was lacking in so many Modern building, while the these ages provided a cultural continuity. Anonymity of craftsmanship, but personalization of each building; enclosed wall of strong color, wide inward opening, but flat roof; emotional layouts and poetic outdoor water space, but variable massing; as it the buildings had been constructed over several years-these were the contradictory signs of neo-Regionalism. The Regional architecture has direct reference to human inhabitation and use, and it embraces mystery, poetic sense, a quality we are losing in Modern life. There is a freedom from rules, which shows up especially in an insouciant use of color, just for fuv.

  • PDF

한국전통건축의 좋은 느낌(1) - 병산서원

  • Kim, Seok-Hwan
    • Korean Architects
    • /
    • no.3 s.383
    • /
    • pp.92-99
    • /
    • 2001
  • 96년 미국과 멕시코로 루이스 칸과 바라간 등의 건축 답사를 다녀온 후로, 우리 전통 문화유산을 두루 보러 다녔다. 그동안 가까이 있는 것은 언제건 보겠거니 하고 미뤄 온 터라, 우리 것을 너무 도외시해 온 것 같은 자책감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리고 건축관에 변화가 있는건 아니지만, 답사하면서 이따금 좋은 느낌을 만나 반가웠다. 솔직히 말해서 다 그런 것은 아니고 손꼽아 말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 필자는 건축적 가치의 획득이 고전과 현대 또는 양식의 차이에 의해서가 아니고, 자체의 성공 여부에 있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 건축의 본질은 변함없으며, 건축에 반영된 시대 상황이 다를 따름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훌륭한 문화유산을 많이 갖고 있다. 하지만 국가나 개인의 살림이 넉넉해서 그렇게 되어졌다고 생각지는 않는다. 종묘가 만들어진 것은 정신적 힘에 의해 이룩됐을 것이다. 그렇게 해서 지금 우리에게 위대한 모습으로 남겨 있는 것이 감사하다. 전통건축은 현대 사유 체계로는 추구될 수 없는 이상적인 모습을 띠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 건축의 자본주의 행태와 대조되는 교훈도 느낀다. 도대체 우리 선조들에게는 구도하듯 짓는 어떤 전통이 있었기에 그렇게 훌륭한 건축이 남겨질 수 있었을까? 그 흔적을 나름대로 찾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