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탄발생

Search Result 52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Parameter Analysis of Methane Production in Anaerobic Fermenter (혐기소화조에서 메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 최광근;신종철;전현희;김상용;이진원
    • KSBB Journal
    • /
    • v.18 no.6
    • /
    • pp.473-47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optimal conditions of methane production. The conditions tested for methane production enhancement were temperature, pH, carbon source, nitrogen source, and inhibitor which can affects methane production. As a result, optimal conditions for methane production were 30$^{\circ}C$, neutral pH, methanol as a carbon source, NH$_4$Cl as a nitrogen source. 2-Bromoethanesulfonic acid was used as an inhibitor which can affects methane production. Existence in broth less than 10mM, inhibited methane production. Organic acid measurements revealed that formic acid exists in broth as majority.

Verification of the mechanism of methane generation in reservoir using numerical simulation (수치모의를 이용한 호소 내 메탄 발생 기작 검증 연구)

  • Lee, Sung Woo;Bang, Young Jun;Lee, Seung-Yeon;Lee, Seo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80-180
    • /
    • 2022
  • 최근 하천 횡단구조물로 형성된 호소 및 저수지에는 오랜 시간동안 다양한 유기 퇴적물이 유입되고 오염되어 호소환경 및 호소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환경 여건에 따라 메탄과 온실가스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온실가스를 검출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여 감축하는 일련의 기술이 국가적인 온실가스 감축 정책과 맞물려 새로운 이슈로 등장하였다. 일반적으로 메탄가스를 측정하는 실험은 BMP(Biochemical Methane Potential)-Test이며, 수치모의에 비해 BMP-Test는 수심이 깊은 지역이나 유속이 빠른 구역에는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BMP-Test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사전검증된 수치모형 COMSOL Multiphysic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메탄가스 발생기작을 재현 및 도출하고 실내 실험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COMSOL Multiphysics가 호소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 발생기작의 재현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동일한 조건의 인공합성된 유기물을 이용한 실내 실험에서 수행된 BMP-Test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COMSOL Multiphysics에 TOC(총유기탄소), TP(총 인)에 따른 유기물 조건과 메탄 발생 화학식을 설정하여 온도에 따른 메탄 생성량과 반응상수를 산출하였고, 이를 BMP-Test 결과와 비교하였다. BMP-Test의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천 및 호소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 발생에 대한 COMSOL Multiphysics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향후 하천 및 호소로부터의 발생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천 유기물 환경의 평가 또는 최적화 조성에 유사한 검증과정을 거친 COMSOL Multiphysics를 활용할 수 있을 거라 기대된다.

  • PDF

Changes of Methanogenic Pathway with Incubation Temperatures in the Littoral Sediment of Reservoir Paldang, Korea (팔당호 연안대 저질토에서 배양온도에 따른 메탄발생 경로의 변화)

  • Kim, Mi-Kyeong;Cho, Kang-Hyu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4 no.1 s.93
    • /
    • pp.54-61
    • /
    • 2001
  • Changes in methanogenic pathway at low temperature were studied by incubation experiments of sediment slurries from the littoral zone of Reservoir Paldang. Methane production rates in sediment slurries increased exponentially between $5^{\circ}C$and $45^{\circ}C$, reached a maximum rate of $7.4\;nmol\;{\cdot}\;g^{-1}\;{\cdot}\;h^{-1}$ at $45^{\circ}C$, and then declined to low rate. The shift of incubation temperature from high temperature ($30^{\circ}C$) to lowtemperature ($15^{\circ}C$) resulted in a decrease of methane production rate and of hydrogen accumulation rate, and the transient accumulation of acetate concentration. Chlorofarm inhibited perfectly methanogenesis and resulted in the accumulation of hydrogen and acetate as immediate precursors for metltane formation at both incubation temperatures of $15^{\circ}C$ and $30^{\circ}C$. In terms of equivalent methane which was calculated from the two intermediary metabolites accumulated in absence of methanogenesis, methane production from acetate was accounted for 14% of total methanogenesis at $30^{\circ}C$ and 75% at $15^{\circ}C$, respectively. When the high acetate concentrations above 19 mM were added to sediment slurries, methane production was inhibited at the low temperature ($15^{\circ}C$) .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contribution of acetate on methanogenesis increases at low temperature, but this pathway is inhibited by high concentration of acetate. Therefore acetate-utilizing methanogensis appears to be a key reaction at low temperature, and seems to be one of bottlenecks of the low temperature anaerobic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in littoral sediments of the reservoir.

  • PDF

Experimental Study of the mechanism of methane generation under various organic conditions on Lake or Reservoir (호소 환경 조건에 따른 메탄 발생 기작 정량화 실험 연구)

  • Bang, Young Jun;Lee, Sung Woo;Kim, Dong Hyun;Lee, Seo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73-173
    • /
    • 2022
  • 유기 퇴적 오염물은 다양한 형태로 호소 바닥에 축적되어 호소 환경 및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메탄가스와 같은 온실가스의 발생을 유발한다. 또한, 수력 산업, 관개, 이·치수 등 다양한 목적에 의해 수체의 형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하천 및 호소에 의한 탄소유출을 전지구적 탄소순환에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하천 및 호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지화학적 반응에 의한 메탄 발생 메커니즘 파악은 유역의 중요한 환경평가 지표를 나타내며 탄소 순환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수온, 수심, 유기물 조건에 따른 하천 및 호소의 메탄 발생을 분석한 연구들이 선행되었으나 생지화학적 특성을 정리하고 이에 따른메탄 발생을 정량화한 연구들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호소 내 메탄을 발생시키는 기작을 판별하기 위해 수온과 호소 환경과 유사한 TOC(총유기탄소)와 TP(총인) 조건과 같은 유기물 조건을 설정하여 BMP Test를 수행하였다. 반응수조에서 발생한 가스를 포집한 후 GC(Gas Chromatograpghy) 분석을 통해 메탄 생성량을 산출하였고, 유기물 조건에 따라 이론적인 메탄 생성량 대비 실제 발생한 메탄 생성량을 나타내는 생분해도를 산출하여 호소 환경별 주요 기작에 따른 가스 발생을 정량화 하였다. 실험 결과 수온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수온에 따라 TP, TOC 순으로 메탄 발생의 영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호소 환경에서의 유기물 조건을 반영하기 위해 입도비, 점착성/ 비점착성 조건, 수체의 높이 조건을 포함한 추가 실험을 수행하고 메탄수율을 정량화하여 호소 내 유기퇴적물에 대한 생지화학적 및 수환경 영향 평가 기법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s of methane Emissions on Paddy Water Management Methods (벼 재배 논물관리기술에 따른 메탄 배출량 분석)

  • Hyeon Yong Jeong;Tae Hwan Lee;Dong Hyuk Kum;Min Hwan Shin;Kyoung Jae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6-466
    • /
    • 2023
  • 전세계적으로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기 위한 탄소중립을 선언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논물관리기술 확산, 가축분뇨 자원순환 등 농업 분야 탄소 저감 계획을 수립하였다. 특히, 논물관리기술을 통한 탄소 저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적합한 논물관리기술 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에 적합한 논물관리기술 모델 개발을 위해 강원도 원주시 일대 6개의 시험포를 조성하여 메탄 발생량을 모니터링 하였다. 각 시험포는 상시담수(S1), 4주 중간 물떼기+얕게 걸러 대기(S2), 4주 중간 물떼기+얕게 대기(S3), 3주 중간 물떼기+얕게 걸러 대기(S4), 2주 중간 물떼기+얕게 걸러 대기(S5), 2주 중간 물떼기+얕게 대기(S6)로 논물관리기간을 다르게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 시험포에는 메탄 발생량 모니터링을 위해 각각 3개의 챔버와 논물관리를 위한 자동물꼬조절장치를 설치하였다. 메탄발생량 모니터링은 2022년 5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총 5개월 동안 25회 진행하였다. 메탄 발생량 모니터링 결과 S1은 423.1 kg/ha, S2는 348.4 kg/ha, S3은 396.4 kg/ha, S4는 164.7 kg/ha, S5는 347.9 kg/ha, S6은 234.1 kg/ha 의 메탄이 배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와 같이 S1에서 메탄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S4에서 가장 적게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에서 발생되는 메탄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토양 유기물, 토양 산도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앙 전과 수확 후 토양분석을 진행한 결과 시험포별 인자별 변화량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논물관리기술에 따른 토양유기물 및 토양 산도 변화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인 메탄 발생량 모니터링을 통해 강원도 지역에 적합한 논물관리기술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Properties of Methane Steam Reforming in Micro Channel Reactor (미세유로 반응기를 이용한 메탄 스팀 개질 반응 특성)

  • Lee, Sung-Wook;Lee, Chun-Boo;Kim, Kwang-Ho;Park, Jin-Woo;Hwang, Kyung-Ran;Park, Jong-Soo;Kim, Sung Hy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14.2-114.2
    • /
    • 2010
  • 마이크로 반응기술은 작은 반응기 부피, 높은 열전달, 넓은 반응 면적/부피 및 정확한 반응시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학공정의 고집적화, 반응 선택도의 향상 및 안전도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반응 기술을 중소형 천연가스 및 국내에서 소규모로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메탄의 활용 방안으로서 개발함은 청정 합성유를 제조함으로서 석유 자원의 고갈과 고유가에 대비하여 에너지 자원의 다변화 및 자립을 확보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반응기술을 적용한 미세 유로 반응기(Micro Channel Reactor)를 사용하여 메탄 스팀 개질 반응 특성을 연구하였다. 미세유로 반응기는 내부 홀이 존재하는 plate를 적층함으로 반응기내에 반응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미세유로가 존재하게 하였다. 이러한 미세유로는 반응기의 크기가 작음에도 반응기내에서 반응가스가 충분히 반응할 수 있는 시간과 높은 열전달 효율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메탄 스팀 개질 반응에 사용된 촉매는 Ni 촉매를 사용하였고, 반응에 필요한 열원으로는 수소 연소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하여 반응을 유도하였다. 본 반응기는 외부의 열원을 사용하지 않고, 반응기 내부의 수소 연소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함으로 적은 발생 열만으로 메탄 스팀 개질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열의 손실이 적다. 또한 메탄 스팀 개질 반응으로 발생한 일부의 수소를 열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 사용면에서도 효율적인 반응 공정이다.

  • PDF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Agricultural Residues and Influence of Ensiling on Methane Production (시설농업부산물의 잠재메탄발생량 평가 및 사일로 저장에 따른 메탄 발생 변화)

  • Lee, Yu Jin;Cho, Han Sang;Kim, Jae Young;Kang, Jungu;Rhee, Sungsu;Kim, Kyu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11
    • /
    • pp.765-771
    • /
    • 2012
  • In this study, the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s of different agricultural residues produced from agricultural plastic greenhouse were determined. Additionally, ensiling storage practice was applied on agricultural residues for its effect on biogas production. Agricultural residues of cabbage, strawberry, tomato, cucumber, and oriental melon were selected as sample. The methane potential and biodegradability of agricultural residues ranged from 149~286 mL-$CH_4/g$-VS, 27~48% (by vol.), respectively and methane production was in order of cabbage > oriental melon > strawberry ${\approx}$ cucumber > tomato. Ensiling caused difference in methane production in a range of -11~36% (by vol.) per VS compared with raw material. An increase in methane potential was presumably linked to the organic acid accumulation, cellulose degradation and decrease in methane potential was due to chemical composition change, ammonia accumulation during the storage process.

Characteristics of Methane Production from Piggery Manure Using Anaerobic Digestion (혐기성 소화를 통한 돈분의 메탄 생성 특성)

  • Lee, Chae-Young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5 no.3
    • /
    • pp.113-120
    • /
    • 2007
  • Anaerobic batch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methane production from piggery manure such as the ultimate methane yield (UMY), the kinetic constant and the maximum methane production rate. The kinetic behavior of anaerobic degradation of piggery manure was assumed as a first order reaction. The UMY, the first order kinetic constant and the maximum methane production rate were 0.27~0.44L $CH_4/gVS$, $0.161{\sim}0.280d^{-1}$ and 0.043~0.120L $CH_4/d$, respectively. Reactor of piggery manure as the self-seed source of anaerobic digestion resulted in longer acclimation time than reactors seeded with anaerobic digested sludge (ADS). But there was no little difference in the UMY between the two seed materials. The anaerobic digestion can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piggery manure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solids, the two-stage anaerobic digestion is, however, thought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single one.

  • PDF

Effect of Tillage Depths on Methane Emission and Rice Yield in Paddy Soil during Rice Cultivation (논토양에서 경운방법이 메탄발생과 쌀수량에 미치는 영향)

  • Cho, Hyeoun-Suk;Seo, Myung-Chul;Park, Tea-Sun;Kang, Hang-Wo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0 no.2
    • /
    • pp.167-173
    • /
    • 2015
  • Green manure crops are organic materials that can supply organic matter and substitute chemical fertilizer, yet emit methane while being decomposed. Therefore, we experimented with different kinds of Green manure crops and tillage depth in order to decrease the amount of methane emitted when utilizing Green manure crops in paddy soil. The amount of methane emitted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of rice started to increase after transplanting and peaked at 63, and 74 days after transplanting, than decreased to almost none starting from 106 days. According to the kind of Green manure crop, it was highest in barley, then hairy vetch and chemical fertilizer. Depending on the tillage depth, the amount of methane emitted decreased by 22.5% in chemical fertilizer, 12.4% in hairy vetch and 11.7% in barley in 20cm tillage compared to 10cm tillage. The air temperature of methane test period was $30{\sim}40^{\circ}C$, and the soil temperature was more than about $2{\sim}10^{\circ}C$ lower than the air temperature. Due to the irrigation started before transplanting, the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Eh) of soil was rapidly reduced, and showed negative (-) values. Eh values mostly kept the range of -300~-500 mV during rice cultivation. It rapidly increased 106 days after transplanting. Rice yield the highest in hairy vetch and did not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tillage depth. Methane emission could be effectively reduced if the paddy soil was tilled by 20 cm during the application of hairy vetch.

Effect of food waste properties on methane production (음식물쓰레기의 특성이 메탄생성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 Lee, Soo Gwan;Choi, Hong Lim;Lee, Joon Hee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2 no.3
    • /
    • pp.11-22
    • /
    • 2014
  • The buffer capacity of food waste lowers during the collecting and transportation period. Food waste usually shows deficiency of micro nutrients especially molybdenum(Mo) and cobalt(Co). Therefore, food waste can be considered as a good mixture of livestock waste to enhance methane produ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roperties of substrates (local food waste and livestock manure) and methane yields for successive anaerobic fermentation process and its stable management. Food wastes were taken at an intermediate storage or treatment system provided by eight local authorities (Gangnam, Gangdong, Gwanak, Guro, Dongjak, Songpa, Yeongdeungpo, and Younsan) in Seoul. The solid content and potential methane yield of food wastes were average of 16% and $446.6STP-m{\ell}/g-VS$ (range from 334.8 to $567.5STP-m{\ell}/g-VS$) respectively. As for the beef cattle manure, the solid content and potential methane yield had an average of 26% and $280.6STP-m{\ell}/g-VS$ respectively. Potential methane yiel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 content, and hydrogen content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bohydrate content ($r^2>0.8$). Therefore, the potential methane yield can be predicted based on the substrate characterization results with reasonable accuracy. Further research may be nee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mixture substrate and methane production rate. The mixtures may include food waste, livestock waste, and bulking agents (saw dust, rice hull, or agricultural byproducts etc.) to determine best combination of these substrates for maximum methane production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