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타버스 콘텐츠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메타버스 기반의 실감 콘텐츠 연구개발 지원 사업 동향

  • Go, Byeong-Su;Kim, Myeong-Ha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1
    • /
    • pp.21-26
    • /
    • 2022
  •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는 문화 콘텐츠 발전과 세계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환경이 장기화되면서 문화 콘텐츠 역시 급속하게 디지털 전환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콘텐츠 개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메타버스와 NFT와 같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그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플랫폼이 메타버스이다. 실감 콘텐츠를 바탕으로 메타버스와 관련된 연구개발 내용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는 메타버스 과제 중 대표적인 사례, 메타버스와 저작권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verse and technologies for digital contents (메타버스와 디지털 콘텐츠 기술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 Shin, Yu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37-33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이를 구성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기술을 통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향후 메타버스 세계를 표현하고 있는 플랫폼과 디지털 콘텐츠 기술 사이의 관계에 대한 방향성을 찾는 연구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 PDF

미디어 콘텐츠의 메타버스 플랫포밍 유형화 및 미래 전망

  • Song, Min-Jeong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1
    • /
    • pp.27-37
    • /
    • 2022
  • 본 고는 미디어 산업 관점에서 미디어 콘텐츠의 메타버스 플랫포밍(Platforming)에 관심갖는다. 이에 트랜스미디어 프랜차이징이 가능한 콘텐츠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서비스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하여 콘텐츠의 메타버스 플랫포밍을 유형화해 설명하고, 향후 미래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A Study of Interactive Contents Development Process on Metaverse Platform (메타버스의 인터랙티브 콘텐츠 개발 프로세스 연구)

  • Park, Chan-Il;Jo, You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729-730
    • /
    • 2022
  • 급격히 성장해가는 메타버스 시장 속에 메타버스 플랫폼의 증가세와 그에 반해 아직 활성화되지 못한 메타버스의 콘텐츠 크리에이터 생태계로 인하여 다수의 메타버스 플랫폼들의 내부 콘텐츠 확충과 유저 크리에이티브 생태계 활성화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메타버스 환경에 맞춘 인터랙티브 콘텐츠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On/Offline Mixed Metaverse for Tourism Industries (온오프라인 연계 관광 메타버스 개발)

  • Lee, Bum-R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611-612
    • /
    • 2022
  • 메타버스는 게임 기술을 활용하여 현실의 다양한 현상이나 경제 활동들을 가상의 세계로 구현하고 이를 실세계와 유사하게 동작하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일컫는 말로서 최근의 코로나19 펜데믹 상황과 맞물려 주목 받고 있는 게임 확장 기술군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지역 대표 관광지의 시그니처(signature) 구조물들과 공간을 메타버스 플랫폼 상에 구현하고 구현된 공간에서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관광 수요를 촉진시키며, 오프라인 이벤트와의 유기적인 연동을 통해 궁극적인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온오프라인 연계 메타버스 콘텐츠를 구현한다. 구현된 메타버스 콘텐츠에서는 개인별로 설정된 캐릭터를 활용해 구현된 가상 공간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가상 공간에서 체득된 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관광 메타버스 콘텐츠는 샌드박스형 메타버스 플랫홈으로 개발된 디토랜드를 기반으로 한다.

  • PDF

Effects of Personality 5 Factors on Users of Metaverse (성격 5요인이 메타버스의 사용자에 미치는 영향)

  • SeungHwa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115-116
    • /
    • 2023
  •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사용자 간의 커뮤니티 사회성을 형성해 가는 과정에서 성격의 5요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상호 간에 유의미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성격 5요인의 특성으로는 신경성, 외향성, 우호성, 성실성, 개방성의 다섯 가지 요소가 있으며 이는 메타버스 가상공간에서 사용자 간의 통합 및 경쟁, 게임과 같은 시스템을 통하여 사회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성격 5요인과 반대적 성격 5요인은 메타버스 사용에서 개인의 성격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킬 수 있고 사용시간, 참여율, 만족도 면에서도 다른 결과를 보여줄 것이다. 소통을 중요시하는 메타버스에서 사용자의 성격에 따른 섬세한 콘텐츠 제시는 분명 더 나은 콘텐츠로 시장에 경쟁력이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의 사용이 개인의 성격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메타버스 내에서 사용자 성격 5요인 성향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차세대 플랫폼 구축 및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Trend on Technologies of Smart Space and Metaverse Exhibition Guide (스마트공간과 메타버스 전시안내 기술개발 동향)

  • Kim, S.H.;Lee, H.W.;Ryu, W.;Kim, K.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3
    • /
    • pp.66-73
    • /
    • 2014
  •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전시공간 구축에 활용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 의미 있는 일이다. 우선 메타버스에는 물리적 전시공간에 담긴 모든 콘텐츠를 담아 낼 수 있다.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 얼마든지 콘텐츠를 담아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텐츠 형태와 구성방식도 전시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고, 물리적 전시공간 내 매체시스템의 작동에 의해 원하는 사용자에게 콘텐츠로 제공된다. 메타버스 개념의 활용은 전시공간을 풍성하고 스마트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전시공간의 개념과 구축을 위한 기술적 요소에 대해 알아보고, 메타버스의 활용이 전시공간의 스마트화에 어떻게 기능하는가에 대해서 살펴보고, 현재 진행 중에 있는 메타버스 개념 활용 과제의 내용과 의미를 찾아 이 후 과제 수행 방향을 바르게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Metaverse Educational Culture Content : Focusing on the Case of Metaverse Moonshin Art Museum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메타버스 교육 콘텐츠 연구 : 메타버스 문신 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 Nam, SangHu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7 no.5
    • /
    • pp.728-737
    • /
    • 2022
  • Metaverse is gaining worldwide interest, and related industries are developing rapidly. In the field of education, students' interest in metaverse is increasing, and education on metaverse-related technologies and services is required. However, since metaverse classes in universities mainly consist of theoretical education and domestic/overseas case analysis education, practical education that can apply metaverse technology to the real world is also necessary. In the cultural field, event contents such as entrance ceremonies and exhibitions are mainly produced for metaverse content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metaverse contents that can be sustained for a long time by people visiting regularly. In this study,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link cultural participation in the real world with cultural participation in the metaverse were studied using the local cultural space as a medium to produce sustainable metaverse contents. The 'Metaverse Moonshin Art Museum commemo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Moonshin's birth' program reinterpreted the real world of Changwon Moonshin Art Museum into a virtual world by collaborating with students on the Roblox. The 'Expanded Reality Moonshin Art Museum' program created an expanded Metaverse art museum that transcends time by augmenting the deceased Moonshin artist in the museum's exhibition space using HoloLens. For students studying culture-related majors,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ombines metaverse education and practical training was conducted, and it is planned to be supplemented and used as a teaching plan.

Extracting Features for Developing Guideline a Game-type Metaverse Centered on Entertainment (오락 위주의 게임형 메타버스 개발 가이드라인 요소 도출)

  • Lee, Min-Ho;Shin, Jeong-Ch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10
    • /
    • pp.1500-1508
    • /
    • 2022
  • As non-face-to-face culture melts into people's daily liv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terest in the metaverse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There are several types of metavers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applications. With this recent explosive interest in the metaverse platform and demanding applications on it, there have been various contents for metaverse in progress in industries. However, developing such contents has many real problems since there is no valuable guidelines for metaverse contents development in industry. In this study, we aim to propose a development guideline that developers can refer to for game-type metaverse content by comparative analysis of existing contents among various metaverse types. In the development guideline, we derive common characteristic components of representative features for game-type metaverse platforms and give explanations on developing strategies. Such proposed development guidelines are verified by game-type metaverse field experts by survey.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etaverse Platform in the Library: Focusing on the Method and Difference of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of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도서관의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방향성 탐색 연구: 국내외 도서관의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방식 및 차이를 중심으로)

  • Ji Soo, Kim;Sun Young, K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9 no.4
    • /
    • pp.307-345
    • /
    • 2022
  •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metaverse has begun to receive attention as a means of providing future services. The importance of metaverse was further emphasized and metaverse platforms are being used by various institutions. Against this background, cases of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in libraries are increas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omestic and foreign library case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analyze each platform's characteristics and content types according to the metaverse platform's method.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 of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of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in the libr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