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모리 요구량

Search Result 26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Long Short-Term Memory Networks for Rainfall-runoff Analysis (인공신경망과 장단기메모리 모형의 유출량 모의 성능 분석)

  • Kim, JiHye;Kang, Moon Seong;Kim, Seok 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20-320
    • /
    • 2019
  • 유역의 수문 자료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은 수리 구조물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모형은 입 출력 자료의 비선형적인 관계를 해석할 수 있는 모형으로 강우-유출 해석 등 수문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다. 이후 기존의 인공신경망 모형을 연속적인(sequential) 자료의 분석에 더 적합하도록 개선한 회귀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s, RNNs) 모형과 회귀신경망 모형의 '장기 의존성 문제'를 개선한 장단기메모리(Long Short-Term Memory Networks, 이하 LSTM)가 차례로 제안되었다. LSTM은 최근에 주목받는 딥 러닝(Deep learning) 기법의 하나로 수문 자료와 같은 시계열 자료의 분석에 뛰어난 성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수문 분야에서 이에 대한 적용성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 모형과 LSTM 모형으로 유출량을 모의하여 두 모형의 성능을 비교하고 향후 LSTM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나주 수위관측소의 수위 자료와 인접한 기상관측소의 강우량 자료로 모형의 입 출력 자료를 구성하여 강우 사상에 대한 시간별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연구 결과, 1시간 후의 유출량에 대해서는 두 모형 모두 뛰어난 모의 능력을 보였으나, 선행 시간이 길어질수록 LSTM의 정확성은 유지되는 반면 인공신경망 모형의 정확성은 점차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연구에서 유역 내 다양한 수리 구조물에 의한 유 출입량을 추가로 고려한다면 LSTM 모형의 활용성을 보다 더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Low Memory Zetrotree Coding (저 메모리를 갖는 제로트리기반 영상 압축)

  • Shin, Cheol;Kim, Ho-Sik;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113-116
    • /
    • 2001
  • 제로트리 부호화 알고리즘 중 효율적이며 잘 알려진 SPIHT는 높은 메모리 요구로 인해 하드웨어 구현에 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저 메모리 사용과 빠른 제로트리 부호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메모리를 줄이고 빠른 코딩을 위한 방법으로 다음 3가지를 사용한다. 첫 번째, 리프팅을 이용한 웨이블릿 변환은 기존의 필터뱅크 방식의 변환보다 저 메모리와 계산량의 감소를 가진다. 두 번째, 웨이블릿 변환된 계수들은 블럭으로 나누어져 각각 코딩된다. 여기서 블록은 제로트리 구조가 유지되는 STB(spatial tree-based block)이다. 세 번째, Wheeler 와 Pearlman이 제안한 NLS (no list SPIHT)를 이용한 부호화이다. NLS는 효율성에서 SPIHT와 거의 같으며 작고 고정된 메모리와 빠른 부호화 속도를 보여준다.

  • PDF

Design of a High-capacity NAND Flash based File System for Sensor Node with very small Memory Footprint (적은 메모리 사용량을 가진 센서노드용 대용량 낸드 플래시 파일 시스템의 설계)

  • Han, Kyoung-Hoon;Lee, Ki-Hyuk;Song, Jun-Young;Han, Hyung-Jin;Choi, Won-Chul;Han, Ji-Yean;Sohn, Ki-R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140-145
    • /
    • 2007
  • 최근에 에너지의 효율성이 좋고 대용량화가 쉬운 낸드 플래시가 센서 노드를 위한 차세대 저장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센서 노드용 파일 시스템은 노어 플래시 기반으로 개발되어 있으며 낸드 플래시에 적용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대용량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파월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지만, 센서 노드는 오직 4-10 KByte의 매우 작은 크기의 메모리를 지원하므로 효율성이 뛰어난 파일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논문은 1 Kbit의 매우 작은 크기의 EEPROM을 부착하여 이러한 메모리 한계를 극복하였으며 자원의 효율성, 대용량의 지원 및 신뢰성을 고려한 새로운 파일 시스템의 설계에 대하여 논한다. 위치를 유지해야 하는 데이터의 위치저장을 위하여 EEPROM을 사용하며 장기간 데이터를 수집할 때 페이지의 갱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로그 리스트 기반의 페이지 처리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이는 획기적으로 페이지 갱신 횟수를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보다 긴 시간동안 데이터의 수집을 용이하게 만들며 센서 노드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 PDF

The Embedded System Realization Based on the IDCT for the Moving Image Down Conversion (동영상 축소전환을 위한 IDCT기반 임베디드 시스템 구현)

  • 김영빈;강희조;윤호군;류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6-139
    • /
    • 2004
  • This thesis is realization of embedded system that of MPEG-2 down conversion using IDCT. A method for down conversion of MPEG compressed video is to perform low-pass filtering and sub-sampling after full decompression. However, this method is need large memory and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Recent research has been focussed on the down conversion in the DCT domain. But DCT method is reduced image qualify. The embedded system is require low complexity, and high speed algorithm. When applied to embedded system that down conversion method, DCT method is played average 29 frame per second, and better 25% than spatial-domain down conversion.

  • PDF

Implementation of ECG Measurement Application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의 심전도 측정 어플리케이션 구현)

  • Park, Byeong-Ho;Jang, Seong-Won;Heo, Beom;Park, Sang-Ju;Seong, Hyeon-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67-7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동적 작업부하 균등화 정책을 제안한다. 이 정책은 시스템 자원인 CPU와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의 처리량을 최대화하고, 각 작업의 수행시간을 최소화한다. 또한 이 정책은 수행중인 작업의 메모리 요구량과 각 노드의 부하 상태를 파악하여 작업을 동적으로 할당한다. 이때 작업을 할당 받은 노드가 과부하 상태가 되면 다른 노드로 작업을 이주시켜 각 노드의 작업부하를 균등하게 유지함으로써 작업의 대기시간을 줄이고, 각 작업의 수행시간을 단축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동적 작업부하 균등화 정책이 기존의 메모리 기반의 작업부하 균등화 정책에 비해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의 성능 향상 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 PDF

An Efficient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for High-Performance Computing System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동적 작업부하 균등화 정책)

  • Lee, Won-Joo;Park, Mal-S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3 no.5
    • /
    • pp.45-52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which improves the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computing system. The key idea of this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is to minimize execution time of each job and to maximize the system throughput by effectively using system resource such as CPU, memory. Also, this strategy dynamically allocates job by considering demanded memory size of executing job and workload status of each node. If an overload node occurs due to allocated job, the proposed scheme migrates job, executing in overload nodes, to another free nodes and reduces the waiting time and execution time of job by balancing workload of each node. Through simul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based on CPU, memor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computing system compared to previous strategies.

  • PDF

Automatic payload data dump for the LEO satellite (저궤도위성 탑재체 데이터 자동 전송)

  • Chae, Dong-Seok;Yang, Se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641-642
    • /
    • 2011
  • 저궤도 위성은 지상과의 접축시간이 극히 제한되어 있어 위성에서 생성된 원격측정 데이터들을 위성의 대용량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지상과의 접촉시간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상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위성에 저장할 수 있는 전체 데이터 크기는 대용량 메모리의 크기와 지상과의 통신 가용시간에 따라 제한을 받게 된다. 대용량 메모리 저장용량과 다운링크 버짓을 만족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각 탑재체로부터 수신하여 위성에 저장되는 원격측정 데이터들은 종류별로 일정한 주기를 가지게 되고 그 크기도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데이터 종류별로 저장여부를 지상명령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생성되는 데이터가 일정하지 않고 비주기성을 갖는 경우 데이터량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지상명령으로 데이터 저장여부를 제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생성되는 데이터량을 모니터링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동화된 데이터 통신 방식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저궤도 위성 탑재체에서 비주기적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받기 위한 데이터 자동 전송기능과 시험 결과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A Performance Comparison of Sampling Rate Conversion Algorithms for Audio Signal (오디오 신호를 위한 표본화율 변환 알고리듬 성능 비교)

  • 이용희;김인철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2.06d
    • /
    • pp.187-19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소개된 44.1KHz compact disc (CD)에서 48KHz digital audio tape (DAT)로의 표본화율 변환기법들에 대해서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100dB 이상의 dynamic range와 ±5x10­4dB 이하의 리플 크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기법들을 재설계하였으며, 메모리 요구량 및 계산량에 대해서 살펴보고자한다.

  • PDF

자체 증폭에 의하여 저 전압 구동이 가능한 이중 게이트 구조의 charge trap flash (CTF) 타입의 메모리

  • Jang, Gi-Hyeon;Jang, Hyeon-Jun;Park, Jin-Gwon;Jo, W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185-185
    • /
    • 2013
  •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집적화 기술이 발달하고 소자가 나노미터 크기로 집적화 됨에 따라 문턱 전압의 변동, 높은 누설 전류, 문턱전압 이하에서의 기울기의 열화와 같은 단 채널 효과가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비 휘발성 플래시 메모리에서 메모리 윈도우의 감소에 따른 retention 특성을 저하시킨다. 이중 게이트 구조의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transistors (MOSFETs)은 이러한 단 채널 효과 중에서도 특히 문턱 전압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이중 게이트 MOSFETs는 상부 게이트와 하부 게이트 사이의 capacitive coupling을 이용하여 문턱전압의 변동의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기존의 플래시 메모리는 쓰기 및 지우기 (P/E) 동작, 그리고 읽기 동작이 채널 상부의 컨트롤 게이트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메모리 윈도우 및 신뢰성은 플로팅 게이트의 전하량의 변화에 크게 의존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 윈도우의 크기가 결정되고, 높은 P/E 전압이 요구되며, 터널링 산화막에 인가되는 높은 전계에 의하여 retention에서의 메모리 윈도우의 감소와 산화막의 물리적 손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신뢰성 및 수명을 열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부 게이트 산화막과 하부 게이트 산화막 사이의 capacitive coupling 효과에 의하여 하부 게이트로 읽기 동작을 수행하면 메모리 윈도우를 크게 증폭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작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중 게이트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capacitive coupling 효과에 의하여 크게 증폭된 메모리 윈도우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저전압 구동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Performance Requirement for Large-Scale InfiniBand-based DVSM System (대용량의 InfiniBand 기반 DVSM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성능 요구 분석)

  • Cho, Myeong-Jin;Kim, Seon-Wook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4A no.4
    • /
    • pp.215-226
    • /
    • 2007
  • For past years, many distributed virtual shared-memory(DVSM) systems have been studied in order to develop a low-cost shared memory system with a fast interconnection network. But the DVSM needs a lot of data and control communication between distributed processing nodes in order to provide memory consistency in software, and this communication overhead significantly dominates the overall performance. In general, the communication overhead also increases as the number of processing nodes increase, so communication overhead is a very important performance factor for developing a large-scale DVSM system. In this paper, we study the performance scalability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or developing a large-scale DVSM system based on the next generation interconnection network, called the InfiniBand. Based on the study, we analyze a performance requirement of the next-coming interconnection network to be used for developing a performance-scalable DVSM system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