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니스커스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FM 탐침의 곡률과 친수성이 탐침-표면 사이 메니스커스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Jang, Ji-Hye;Kim, Hyo-Jeong;An, Yun-Ho;Jang, Jun-Gye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3.04a
    • /
    • pp.167-177
    • /
    • 2013
  • 원자 힘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 탐침과 표면 사이의 좁은 틈에서 형성되는 나노미터 크기의 물 메니스커스는 AFM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격자 기체 기반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탐침의 곡률과 결합 에너지 특성이 메니스커스의 형상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모세관 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일반적으로 탐침의 곡률이 커질수록, 친수성이 작아질수록 메니스커스 폭은 좁아지고 모세관 힘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상대습도 변화에 따라 시스템의 크기와 표면의 곡률이 메니스커스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im, Cheol-U;Kim, Gwang-Il;Jang, Ji-Hye;Kim, Hyo-Jeong;Jang, Jun-Gye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4.03a
    • /
    • pp.325-335
    • /
    • 2014
  • 원자 힘 현미경 (Atomic Force Microscopy, AFM) 탐침과 표면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형성되는 나노미터 크기의 메니스커스는 AFM으로 측정하는 표면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격자 기체 기반의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하여 계의 상대습도 변화에 따른 시스템의 크기와 표면의 곡률이 메니스커스의 모양 및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세관 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크기가 작을수록, 표면의 곡률이 클수록 (표면이 거칠수록), 메니스커스 폭은 좁아지고 모세관 힘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하였다.

  • PDF

메니스커스 측정을 이용한 잉크젯 입력 파형 설계

  • Gwon, Gye-Si;Kim, Jin-Won;Go, Jeong-Gu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2-14.2
    • /
    • 2009
  • 잉크젯의 응용이 넓어 짐에 잉크젯 헤드에서의 잉크 토출을 효과적으로 제어해야되는 이슈가 대두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잉크젯 헤드의 입력전압을 적절하게 인가 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잉크젯 토출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잉크젯 헤드의 최적의 입력 파형을 설계가 가능한 알고리즘을 소개 하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출 현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CCD 카메라의 이미지를 사용한 메니스커스 운동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메니스커스 운동은 잉크젯 헤드의 피에조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에 의해서 야기된 압력파가 노즐에 전달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잉크젯 헤드내의 현상 뿐만 아니라 잉크젯 토출 현상의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 파형 설계를 위해서 메니스커스 운동의 주기를 측정하여 잉크젯 입력 파형의 최적의 휴지시간 (dwell time)을 결정하는것이 가능하였음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메니스커스 운동을 측정 함으로서 설계된 파형을 평가하것도 용이함을 실험적으로 보였다.

  • PDF

Lattice Boltzmann Method를 이용한 AFM 탐침과 표면 사이에 생성되는 물 메니스커스 특성 전산 모사

  • Kim, Gi-Deok;Byeon, Gi-Sang;Kim, Hyo-Jeong;Jang, Jun-Gye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131-134
    • /
    • 2016
  • 이번 연구에서는 현재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응용 가능성이 높은 DPN(Dip Pen Nanolithography)의 주요 요소인 탐침과 기판 사이의 물 메니스커스 형성에 관한 것이다. DPN의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미세한 공정을 손쉽게 수행 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중요한 연구 과제 중 하나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기판과 탐침의 습윤도(wettability), 탐침의 모양 그리고 탐침과 기판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물 메니스커스 형성 정도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탐침이 뾰족할 수록 형성이 잘 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또한 좁은 계(confined system)가 기판과 탐침 사이에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탐침 상단에서도 형성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3X Scope with Objective Configured with Doublet+Meniscus Lens (더블렛+메니스커스렌즈 대물부를 가지는 3X 스코프 개발)

  • Lee, Dong-Hee;Park, Seung-Hwa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9 no.4
    • /
    • pp.487-49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rela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3X scope, whose objective part is configured with a doublet + a meniscus lens. Methods: By the initial condition of the objective part having a configuration of a doublet + a singlet, we could optimize the optical system of scope in order to minimize the finite ray aberrations of the objective part and the whole optical system of scope, and so we could develope a new type 3X scope. Results: On the condition of the objective part having a configuration of a doublet + a singlet, when the optical system of scope was optimized in order to minimize the finite ray aberrations, we could find that the singlet became the meniscus type lens having the concave shape to the direction of the doublet, and the longer the distance between the doublet and the meniscus lens is, the more the finite ray aberrations are minimized.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could develope a new type 3X scope of which finite ray aberrations can be reduced to 1/14 than the existing scope by adopting the objective part of the 3X scope having a configuration of three lenses composed of a doublet + a singlet. We could confirm that this reduction of aberrations can be a means to increase the effective aperture than the existing scope and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Development of Pneumatic Ink Supply System for Electrostatic head on Meniscus control (메니스커스 제어를 위한 정전기력 헤드용 공압 잉크공급장치 개발)

  • Yang, Young-Jin;Ko, Jeong-Beom;Dang, Hyun-Woo;Kim, Hyung-Chan;Choi, Kyung-Hyun;Cho, Ky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9 no.4
    • /
    • pp.455-460
    • /
    • 2012
  • The Electrostatic Inkjet system has many applications in cost and time effective manufacturing of printed electronics like RFIDs, OLEDs and flexible displays etc. This paper presents pneumatic ink supply system for an electrohydrodynamic deposition (EHD) setup for the precise pressure control to produce a small amount of discharge at the end of the capillary. The meniscus shape depends upon the applied pneumatic pressure to the ink supply system. Furthermore, this paper also compares meniscus shapes at different applied pneumatic pressures. It is concluded that patterning of constant line-width can be achieved better by controlling the meniscus shape using this technique.

Geometry Effects of Capillary on the Evaporation from the Meniscus (모세관 단면 형상에 따른 계면 및 증발 특성)

  • Choi, Choong-Hyo;Jin, Songwan;Yoo, Jung-Yu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1 no.4
    • /
    • pp.313-319
    • /
    • 2007
  • The effect of capillary cross-section geometry on evaporation i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meniscus shape, evaporation rate and evaporation-induced flow for circular, square and rectangular cross-sectional capillaries. The shapes of water and ethanol menisci are not much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quare and rectangular capillaries even though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is much larger than that of ethanol. On the other hand, the shapes of water and ethanol menisci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circular capillary. The averaged evaporation fluxes in circular and rectangular capillaries are measured by tracking the meniscus position. At a given position, the averaged evaporation flux in rectangular capillaries is much larger than that in circular capillary with comparable hydraulic diameter. The flow near the evaporating meniscus is also measured using micro-PIV, so that the rotating vortex motion is observed near the evaporating ethanol and methanol menisci except for the case of methanol meniscus in rectangular capillary. This difference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existence of corner menisci at the four comers.

A Numerical Study on the Formation of Droplet in Piezo Inkjet Head (피에조 잉크젯 헤드의 액적 토출 형상의 전산해석)

  • Joo, Young-Cheol;Kim, Nan-So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828-83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피에조 잉크젯 헤드의 액적 토출 형상에 대해 전산해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열유체 해석 전용 프로그램인 FLUENT를 이용하여 에틸렌 글리콜이 잉크젯 헤드의 노즐에서 토출될 때의 형상을 전산모사하였다. 노즐 출구에서 메니스커스 변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직접 측정하여 노즐 입구의 속도분포를 예측하고 이를 해석의 입력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치와 해석치를 비교한 결과 전산해석이 측정치의 액정 형성 과정을 잘 모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Implementation on the Portable Blood Gas Analyzer and Performance Estimation/A Study on the Hydrometer Calibration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한 부액계 자동 교정 시스템 구현)

  • Lee, Yong-Jae;Chang, Kyung-Ho;Oh, Chae-Youn;Jung, Sang-Duk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12 no.6
    • /
    • pp.258-264
    • /
    • 2003
  • The present paper studies how to calibrate hydrometer using image process. The method aligns particular scales of hydrometer selected for calibrating the hydrometer with the horizontal plane of the reference liquid automatically without man's operation. Major parts composing the system are CCD camera, frame grabber, stepping motor and image process program. The image process program is composed of a part that locates the meniscus and aligns it with a scale and a part that controls the step moto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method, this study compares the meniscus and scale observed directly with the naked eye with the result of calibration by the manual calibration metho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rrections were less than $0.004\;kg/m^3$ with uncertainty of $0.06\;kg/m^3$. These showed that the calibration results of the developed hydrometer calibration using image process nearly equal to manua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