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멀티플러그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7초

HTML5을 활용한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A Study on HTML5 using Real-time Video Streaming System)

  • 반태학;정한길;송현옥;육정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1-563
    • /
    • 2015
  • 현재 대다수 스트리밍 서비스들은 특정 S/W나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실정이고, 저장되는 영상에 대해 저장의 종료 전까지는 영상에 대해 편집 및 사용이 불가능 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저장하고 있는 영상에 대해 멀티스레드 기법을 적용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별도의 플러그인이나 프로그램의 설치 없이 HTML5을 활용하여 웹 콘텐츠를 제작,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실시간 스트리밍 시스템을 기술한다. 이는 스트리밍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영상에 대해 편집 및 사용이 가능하며,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공유를 필요로 하는 웹 서비스 및 스트리밍 분야에 활용될 것이다.

  • PDF

PECOLE+: 다중그룹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PECOLE 협업 시스템의 확장 (PECOLE+: An Extension of PECOLE Collaborative System for Supporting Effective Multiple Groups)

  • 김보현;박종문;이명준;박양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01-115
    • /
    • 2011
  • PECOLE은 다중채팅, 화상회의, 화면 공유 등의 다양한 협업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협업공간을 지원하는 Peer-to-Peer 기반의 멀티미디어 분산 협업 환경이다. 하지만 PECOLE에서 제공하는 단순한 그룹 관리 기능을 통하여서는 다중 그룹에 참여하여 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PECOLE을 확장한 PECOLE+의 설계와 구현에 대하여 설명한다. PECOLE+는 그룹 관리 서비스와 작업장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PECOLE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그룹 관리 서비스는 그룹 생성, 다중 그룹 참여, 그룹 검색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작업장 관리 서비스는 그룹별로 작업 공간을 제공하여, 그룹 단위로 주어진 작업 공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협업의 수행을 지원 한다. 또한 제공된 플러그인 인터페이스에 부합하게 개발된 모든 협업 어플리케이션은 PECOLE+의 협업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작업 공간에서 실행되도록 지원한다.

e 스포츠 웹 시청 연구를 위한 시선 분석도구 설계 및 개발 (A Study on eye-tracking software design and development for e-sports viewing on the web)

  • 고은지;최선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21-132
    • /
    • 2015
  • 본 연구는 웹에서의 e 스포츠 시청 행위 측정도구 개발과 시선추적 장치를 이용한 멀티태스킹 시청 분석 도구 및 방법을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의 스크린 안에서도 멀티태스킹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시청 행위를 시각적으로 기록하고 측정할 수 있는 개별 창 관심영역(WOI)을 설계하였고, 실시간으로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의 시청행위 패턴을 관찰할 수 있도록 실시간 스트리밍 및 녹화 소프트웨어인 OBS(Opensource Broadcaster Software) 플러그인(Plug-In)을 직접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정지화면과 같이 제한된 웹 인터페이스 측정이 아닌 동영상과 같은 다이내믹 신을 기록할 수 있다. 둘째, 스크린에 여러 개의 창이 동시에 열려져 있어도 연구참여자가 어떠한 창을 주목하는지 정확하게 좌표를 기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각화된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매우 자연스러운 일상적 상황에서 실험을 수행할 수 있어서 인위적인 실험실적 환경이나 실험 처치물이 아닌 이용자의 실제 콘텐츠 이용 패턴과 행태를 추적하는데 용이해 실험 자료의 객관적 타당도를 높일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 보호 및 관리를 위한 MPEG-4 저작도구 기반의 IPMP 정보 편집 시스템 (IPMP information editing system of MPEG-4 authorizing tool base for digital contents management and protection)

  • 박철민;최종근;김광용;홍진우;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25-228
    • /
    • 2004
  • 디지털 콘텐츠는 방송, 통신, 컴퓨터, 모바일 등과 같이 우리와 가까운 곳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MPEG-4 규격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및 관리 시스템의 부재와 기업간 저작권 시스템의 상호운용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를 위해 MPEG에서는 MPEG-4 시스템 표준과 부합되는 IPMP(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 시스템 표준을 제정하여 저작권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공동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MPEG-4 저작도구에 MPEg-4 IPMP 시스템을 플러그인처럼 추가하여 저작된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는 확장 시스템에 대한 설계 및 구현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따라서 저작자는 콘텐츠나 객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IPMP 정보를 편집하고 시스템에서 정보를 처리하여 IPMP 표준에 따라 보호 및 관리 신호를 갖는 MPEG-4 디지털 콘텐츠를 저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IPMP 정보 생성부, 미디어 IPMP 처리부, XMT-A to MP4 컨버터 IPMP 확장부로 나누어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MVA 알고리즘을 이용한 ATM 기반 통합 서비스 교환기 내 워크스테이션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Workstation System within ATM Integrated Service Switching System using Mean Value Analysis Algorithm)

  • 장승주;김길용;이재흠;박호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4호
    • /
    • pp.421-429
    • /
    • 2000
  • 현재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기반 통합 서비스 교환 시스템 개발 추세는 복합 교환 시스템에서의 운용, 보전 기능 및 ATM 기반 인터넷/협대역 통합 서비스 등을 수용하기 위하여 워크스테이션에 멀티플러그-인 개념을 도입하여 시스템이 설계, 구현되고 있다. 한편, 기존 워크스테이션에서는 교환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 HMI(Human Machine Interface) 운용 시스템 기능과 함께 파일 관리 기능, 시간 관리 기능, 그래픽 처리 기능 및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의 에이전트 기능 등이 설정되어 교환 시스템과의 많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능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프로세스 혹은 프로세서간 많은 메시지 통신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워크스테이션내 입출력 장치 파일, 일반 파일, 그리고 메시지 전송을 위한 메시지 큐, 소켓 자원 등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개발 중인 시스템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파악된 문제점들에 대한 성능 개선과 함께 추후 지속적인 기능 추가 시에도 시스템의 정상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개발될 교환 시스템에 대한 성능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ATM 기반 통합 서비스 교환 시스템 개발 작업에서 사전에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했다. 성능 평가는 MVA(Mean Value Analysis)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모델은 큐잉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하고 모델링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PDQ(Pretty Damn Quick) 시뮬레이션 패키지와 C 언어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 PDF

한옥 건축공정 자동화를 위한 지능형 설계모듈의 구현 (Intelligent Architectural Design Module for Process Automation of Hanok Constructions)

  • 안은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156-1164
    • /
    • 2012
  • 한옥은 단순히 전통건축의 의미를 넘어서 우리 선조들의 삶에 대한 양식과 인식을 담고 있는 지금도 살아 숨 쉬는 문화유산이다. 최근 한옥이 자연친화적 건축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한옥의 전통적 방식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건축과정에 효율을 꾀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건축정보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설계 지원도구를 개발하여 한옥의 설계에서 검증, 생산 공정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통건축의 통시대적 고찰과 한옥의 목구조 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전통건축 설계에 필요한 부재들에 대한 효율적 설계 방식을 제시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특성이 비슷한 부재들을 모아서 하나의 템플릿으로 설계하고 다양한 형태의 유사부재들을 속성 값에 따라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도록 객체지향 방식의 표현기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객체지향 방식의 부재를 표현함에 있어서 연결 부재간의 상관관계를 부재와 부재간의 관련 파라미터들 사이의 결합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설계의 오류를 최소화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은 서양건축 설계 위주의 CAD프로그램에 플러그 인 형태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식의 한옥설계는 물론 한옥 건축문화를 현대적 생활공간에 쉽게 접목할 있도록 고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