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멀티태스크 학습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Building a multimodal task-oriented dialogue task for panic disorder counseling (공황장애 상담을 위한 멀티모달 과제 지향 대화 태스크 구축)

  • Subin Kim;Gary Geunbae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258-262
    • /
    • 2023
  • 과제 지향 대화 시스템은 발화 의도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과제를 달성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대화 상태 추적은 과제 지향 대화 시스템의 핵심 모듈이며, 최근에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시각 정보까지 활용하여 대화 상태를 추적하는 멀티모달 대화 상태 추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모달 공황장애 상담 대화 속 내담자의 상태를 추적하는 과제를 제안하였다. ChatGPT를 통한 멀티모달 공황장애 상담 과제 지향 대화 데이터셋 구축 프레임워크와, 구축한 데이터셋의 품질을 증명하기 위한 분석도 함께 제시하였다. 사전학습 언어 모델인 GPT-2를 벤치마크 데이터셋에 대해 학습한 성능을 측정함으로써 향후 멀티모달 대화 추적 성능이 능가해야 할 베이스라인 성능을 제시하였다.

  • PDF

Joint Model for Dependency Parser and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 Parallelism (순환 신경망 병렬화를 사용한 의존 구문 분석 및 의미역 결정 통합 모델)

  • Park, Seong Sik;Kim, Hark 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276-279
    • /
    • 2019
  • 의존 구문 분석은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간의 의존 관계를 분석하고 문장의 구조적 정보를 얻기 위한 기술이다. 의미역 결정은 문장에서 서술어에 해당하는 어절을 찾고 해당 서술어의 논항들을 찾는 자연어 처리의 한 분야이다. 두 기술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기존 연구들은 이 상관관계를 이용하기 위해 의존 구문 분석의 결과를 의미역 결정의 자질로써 사용한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의미역 결정 모델의 오류가 의존 구문 분석에 역전파 되지 않으므로 두 기술의 상관관계를 효과적으로 사용한다고 보기 어렵다. 본 논문은 포인터 네트워크 기반의 의존 구문 분석 모델과 병렬화 순환 신경망 기반의 의미역 결정 모델을 멀티 태스크 방식으로 학습시키는 통합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의존 구문 분석 및 의미역 결정 말뭉치인 UProbBank를 실험에 사용하여 의존 구문 분석에서 UAS 0.9327, 의미역 결정에서 PIC F1 0.9952, AIC F1 0.7312의 성능 보였다.

  • PDF

Hybrid Offloading Technique Based on Auction Theory and Reinforcement Learning in MEC Industrial IoT Environment (MEC 산업용 IoT 환경에서 경매 이론과 강화 학습 기반의 하이브리드 오프로딩 기법)

  • Bae Hyeon Ji;Kim Sung Wook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12 no.9
    • /
    • pp.263-272
    • /
    • 2023
  •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is an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in industrial sectors, along with data collection, exchange and analysis through large-scale connectivity. However, as traffic increases explosively due to the recent spread of IIoT, an allocation method that can efficiently process traffic is required. In this thesis, I propose a two-stage task offloading decision method to increase successful task throughput in an IIoT environment. In addition, I consider a hybrid offloading system that can offload compute-intensive tasks to a mobile edge computing server via a cellular link or to a nearby IIoT device via a Device to Device (D2D) link. The first stage is to design an incentive mechanism to prevent devices participating in task offloading from acting selfishly and giving difficulties in improving task throughput. Among the mechanism design, McAfee's mechanism is used to control the selfish behavior of the devices that process the task and to increase the overall system throughput. After that, in stage 2, I propose a multi-armed bandit (MAB)-based task offloading decision method in a non-stationary environment by considering the irregular movement of the IIoT devi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obtain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overall system throughput, communication failure rate and regret compared to other existing methods.

Image Generation from Korean Dialogue Text via Prompt-based Few-shot Learning (프롬프트 기반 퓨샷 러닝을 통한 한국어 대화형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 Eunchan Lee;Sangtae Ah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447-45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대화 텍스트 방식의 입력을 주었을 때 이를 키워드 중심으로 변환하여 이미지를 생성해내는 방식을 제안한다. 대화 텍스트란 채팅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형식의 구어체를 말하며 이러한 텍스트 형식은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이 적절한 아웃풋 이미지를 생성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화 텍스트를 키워드 중심 텍스트로 바꾸어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의 입력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이미지 생성의 질을 높이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태스크에 적합한 학습 데이터는 충분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사전학습된 초대형 언어모델인 KoGPT 모델을 활용하며, 퓨샷 러닝을 통해 적은 양의 직접 제작한 데이터만을 학습시켜 대화 텍스트 기반의 이미지 생성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Task Migration in Cooperative Vehicular Edge Computing (협력적인 차량 엣지 컴퓨팅에서의 태스크 마이그레이션)

  • Moon, Sungwon;Lim, Yujin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10 no.12
    • /
    • pp.311-318
    • /
    • 2021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IoT) technology recently, multi-access edge computing(MEC) is emerged as a next-generation technology for real-time and high-performance services. High mobility of users between MECs with limited service areas is considered one of the issues in the MEC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consider a vehicle edge computing(VEC) environment which has a high mobility, and propose a task migration algorithm to decide whether or not to migrate and where to migrate using DQN, as a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 The objectiv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to improve the system throughput while satisfying QoS(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by minimizing the difference between queueing delays in vehicle edge computing servers(VECSs). The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other algorithms,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s approximately 14-49% better QoS satisfaction and approximately 14-38% lower service blocking rate.

Performance Comparison of Deep Reinforcement Learning based Computation Offloading in MEC (MEC 환경에서 심층 강화학습을 이용한 오프로딩 기법의 성능비교)

  • Moon, Sungwon;Lim, Y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05a
    • /
    • pp.52-55
    • /
    • 2022
  • 5G 시대에 스마트 모바일 기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멀티 액세스 엣지 컴퓨팅(MEC)이 유망한 기술로 부상했다. 낮은 지연시간 안에 계산 집약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MEC 서버로 오프로딩하는 특히, 태스크 도착률과 무선 채널의 상태가 확률적인 MEC 시스템 환경에서의 오프로딩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의 전력과 지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로컬 실행을 위한 연산 자원과 오프로딩을 위한 전송 전력을 할당하는 심층 강화학습 기반의 오프로딩 기법을 제안하였다. Deep Deterministic Policy Gradient (DDPG) 기반 기법과 Deep Q-network (DQN) 기반 기법을 차량의 전력 소비량과 큐잉 지연시간 측면에서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ButtonKeyboard: A Button-shaped Keyboard Supporting Text entry for Wearable Devices (버튼 키보드: 웨어러블 기기에서 문자입력을 지원하는 단추형 키보드)

  • Kim, Hyun-Jung;Kim, Seok-Tae;Pak, Jin-Hee;Lee, Woo-H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98-303
    • /
    • 2007
  •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 문자입력은 필수적인 태스크이나 적절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란 쉽지 않다. 탁상용 QWERTY 키보드를 소형화하여 상용화한 제품도 있지만 일상에서 사용하기에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크기이다. 본 연구는 단추와 유사한 크기로 부담 없이 의복에 부착할 수 있으며 적정 수준으로 문자입력 태스크를 지원할 수 있는 버튼 키보드를 제안한다. 버튼키보드는 기존 전화키패드의 $3{\times}3$ 키 배열을 단일 키 패드로 통합하였다. 이는 내구성 있고 간결한 폼팩터를 가능하게 하며 입력장치의 소형화와 문자입력효율의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버튼키보드는 일반 키보드용 키에 터치센서와 LED 배열을 합성하여 구현하였다. 따라서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이격, 터치, 누름등의 상태를 구분할 수 있어 멀티탭핑방식에서 발생하는 입력분절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와이핑 모션에 의한 특수문자와 명령 입력을 가능하게 하였다. 프로토타입을 통해 문자입력수행도 테스트 결과 20세션 학습후 한손입력에 대해 평균 14.7WPM, 두손입력에 대해 평균 14.5WPM의 입력속도를 얻었다. 20세션 평균 에러율은 6%를 기록했으며 최고속도는 두손입력시 17WPM으로 나타났다. 실험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버튼키보드가 기기를 극적으로 소형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문자입력을 적정수준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문자입력장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후 프로토타입의 개선을 통하여 기기가 더욱 소형화될 수 있으며 문자입력수행도 또한 향상될 여지가 있다.

  • PDF

Task offloading scheme based on the DRL of Connected Home using MEC (MEC를 활용한 커넥티드 홈의 DRL 기반 태스크 오프로딩 기법)

  • Ducsun Lim;Kyu-Seek Soh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3 no.6
    • /
    • pp.61-67
    • /
    • 2023
  • The rise of 5G and the proliferation of smart devices have underscored the significance of 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 Amidst this trend, interest in effectively processing computation-intensive and latency-sensitive applications has increased. This study investigated a novel task offloading strategy considering the probabilistic MEC environment to address these challenges. Initially, we considered the frequency of dynamic task requests and the unstable conditions of wireless channels to propose a method for minimizing vehicle power consumption and latency. Subsequently, our research delved into a deep reinforcement learning (DRL) based offloading technique, offering a way to achieve equilibrium between local computation and offloading transmission power. We analyzed the power consumption and queuing latency of vehicles using the deep deterministic policy gradient (DDPG) and deep Q-network (DQN) techniques. Finally, we derived and validated the optimal performance enhancement strategy in a vehicle based MEC environment.

Denoising Self-Attention Network for Mixed-type Data Imputation (혼합형 데이터 보간을 위한 디노이징 셀프 어텐션 네트워크)

  • Lee, Do-Hoon;Kim, Han-Joon;Chun, Joo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1
    • /
    • pp.135-144
    • /
    • 2021
  • Recently, data-driven decision-making technology has become a key technology leading the data industry, and machine learning technology for this requires high-quality training datasets. However, real-world data contains missing values for various reasons, which degrades the performance of prediction models learned from the poor training data. Therefore, in order to build a high-performance model from real-world datasets, many studies on automatically imputing missing values in initial training data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Many of conventional machine learning-based imputation techniques for handling missing data involve very time-consuming and cumbersome work because they are applied only to numeric type of columns or create individual predictive models for each column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ew data imputation technique called 'Denoising Self-Attention Network (DSAN)', which can be applied to mixed-type dataset containing both numerical and categorical columns. DSAN can learn robust feature expression vectors by combining self-attention and denoising techniques, and can automatically interpolate multiple missing variables in parallel through multi-task learning.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data imputation experiments has been performed after arbitrarily generating missing values for several mixed-type training data. Then we show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binary classification models trained on imputed data together with the errors between the original and imputed values.

Multi-task Deep Neural Network Model for T1CE Image Synthesis and Tumor Region Segmentation in Glioblastoma Patients (교모세포종 환자의 T1CE 영상 생성 및 암 영역분할을 위한 멀티 태스크 심층신경망 모델)

  • Kim, Eunjin;Park, Hy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474-476
    • /
    • 2021
  • Glioblastoma is the most common brain malignancies arising from glial cells.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establishment are important, and cancer is diagnosed mainly through T1CE imaging through injection of a contrast agent. However, the risk of injection of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s is increasing recently. Region segmentation that marks cancer regions in medical images plays a key role in CAD systems, and deep neural network models for synthesizing new images are also being studi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model that simultaneously learns the generation of T1CE images and segmentation of cancer region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is evaluated using similarity measurements including mean square error and peak signal-to-noise ratio, and shows average result values of 21 and 39 dB.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