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멀티태스크 학습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Multi-task Learning Approach for Deep Neural Networks Using Temporal Relations (시간적 관계정보를 활용한 멀티태스크 심층신경망 모델 학습 기법)

  • Lim, Chae-Gyun;Oh, Kyo-Joong;Choi, Ho-J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211-214
    • /
    • 2021
  • 다수의 태스크를 처리 가능하면서 일반화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는 자연어 이해 분야의 연구에서는 멀티태스크 학습 기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또한, 자연어 문장으로 작성된 문서들에는 대체적으로 시간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문서의 전체 내용과 문맥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러한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NLU 분야의 태스크를 더욱 정확하게 수행하려면 모델 내부적으로 시간정보를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멀티태스크 학습 과정에서 추가적인 태스크로 시간적 관계정보를 추출하여 활용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입력문장의 시간적 맥락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NLU 태스크들의 학습 과정에서 시간관계 추출 태스크를 추가한 멀티태스크 학습 기법을 제안한다. 멀티태스크 학습의 특징을 활용하기 위해서 시간적 관계정보를 추출하는 태스크를 설계하고 기존의 NLU 태스크와 조합하여 학습하도록 모델을 구성한다. 실험에서는 학습 태스크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성능 차이를 분석하며, 기존의 NLU 태스크만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 추가된 시간적 관계정보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전반적으로 멀티태스크 조합의 성능이 개별 태스크의 성능보다 높은 경향을 확인하며, 특히 개체명 인식에서 시간관계가 반영될 경우에 크게 성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볼 수 있다.

  • PDF

Emotion and Speech Act classification in Dialogue using Multitask Learning (대화에서 멀티태스크 학습을 이용한 감정 및 화행 분류)

  • Shin, Chang-Uk;Cha, Jeo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532-536
    • /
    • 2018
  • 심층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대화 모델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에서 발화의 감정과 화행을 분류하기 위해 멀티태스크(multitask) 학습을 이용한 End-to-End 시스템을 제안한다. 우리는 감정과 화행을 동시에 분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멀티태스크 학습을 수행한다. 또한 불균형 범주 분류를 위해 계단식분류(cascaded classification) 구조를 사용하였다. 일상대화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macro average precision으로 성능을 측정하여 감정 분류 60.43%, 화행 분류 74.29%를 각각 달성하였다. 이는 baseline 모델 대비 각각 29.00%, 1.54% 향상된 성능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발화의 감정 및 화행 분류가 End-to-End 방식으로 모델링 가능함을 보였다. 그리고, 두 분류 문제를 하나의 구조로 적절히 학습하기 위한 방법과 분류 문제에서의 범주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류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Multitask Transformer Model-based Fintech Customer Service Chatbot NLU System with DECO-LGG SSP-based Data (DECO-LGG 반자동 증강 학습데이터 활용 멀티태스크 트랜스포머 모델 기반 핀테크 CS 챗봇 NLU 시스템)

  • Yoo, Gwang-Hoon;Hwang, Chang-Hoe;Yoon, Jeong-Woo;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61-4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DECO(Dictionnaire Electronique du COreen) 한국어 전자사전과 LGG(Local-Grammar Graph)에 기반한 반자동 언어데이터 증강(Semi-automatic Symbolic Propagation: SSP) 방식에 입각하여, 핀테크 분야의 CS(Customer Service) 챗봇 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을 위한 주석 학습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RASA 오픈 소스에서 제공하는 DIET(Dual Intent and Entity Transformer)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핀테크 CS 챗봇 NLU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 데이터을 통해 확인된 핀테크 분야의 32가지의 토픽 유형 및 38가지의 핵심 이벤트와 10가지 담화소 구성에 따라, DECO-LGG 데이터 생성 모듈은 질의 및 불만 화행에 대한 양질의 주석 학습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생성하며, 이를 의도 분류 및 Slot-filling을 위한 개체명 인식을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End to End 방식의 멀티태스크 트랜스포머 모델 DIET로 학습함으로써 DIET-only F1-score 0.931(Intent)/0.865(Slot/Entity), DIET+KoBERT F1-score 0.951(Intent)/0.901(Slot/Entity)의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DECO-LGG 기반의 SSP 생성 데이터의 학습 데이터로서의 효과성과 함께 KoBERT에 기반한 DIET 모델 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Korean Dependency Parsing using Pointer Networks (포인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

  • Park, Cheoneum;Lee, Changki
    • Journal of KIISE
    • /
    • v.44 no.8
    • /
    • pp.822-831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Korean dependency parsing model using multi-task learning based pointer networks. Multi-task learning is a method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by learning two or more problems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we perform dependency parsing by using pointer networks based on this method and simultaneously obtaining the dependency relation and dependency label information of the words. We define five input criteria to perform pointer networks based on multi-task learning of morpheme in dependency parsing of a word. We apply a fine-tuning method to further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ependency parsing proposed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our experiment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has better UAS 91.79% and LAS 89.48% than conventional Korean dependency parsing.

Multiagent system for the Life Long Personalized Task Coordination based on the user behavior patterns (사용자 행동패턴을 기반으로 한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구조)

  • Kim Min-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03-306
    • /
    • 2006
  •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핵심은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고 가용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가 반영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조건이 이미 갖추어져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상황인지(Context-Aware) 서비스를 위한 여러 응용들이 제시되어 왔지만, 동적으로 변화하는, 즉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을 충분히 반영할 만큼의 유연성을 제공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응용 태스크 시나리오가 시작단계부터 이미 정해져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본 고는 평생동안 개인화된 태스크를 동적으로 생성, 제공할 수 있는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평생 개인화 태스크(Life Long Personalized Task)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반영할 수 있도록, 동적으로 생성, 제공되는 태스크를 의미한다. 이는 태스크 시나리오가 컴파일 타임에 이미 결정되지 않고, 실행 시간 중에 자동으로 생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연성은 평생학습 엔진(Life Long Learning Engine)을 활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엔진은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학습하며, 결과적으로 사용자 행동패턴 규칙들을 생성한다.

  • PDF

Utilization of age information for speaker verification using multi-task learning deep neural networks (멀티태스크 러닝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화자인증에서의 나이 정보 활용)

  • Kim, Ju-ho;Heo, Hee-Soo;Jung, Jee-weon;Shim, Hye-jin;Kim, Seung-Bin;Yu, Ha-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5
    • /
    • pp.593-600
    • /
    • 2019
  • The similarity in tones between speakers can lower the performance of speaker verifica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peaker verification systems, we propose a multi-task learning technique using deep neural network to learn speaker information and age information. Multi-task learning can improve generalization performances, because it helps deep neural networks to prevent hidden layers from overfitting into one task. However, we found in experiments that learning of age information does not work well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e deep neural network.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we propose a method to dynamically change the objective function weights of speaker identification and age estimation in the learning process. Results show the equal error rate based on RSR2015 evaluation data set, 6.91 % for the speaker verification system without using age information, 6.77 % using age information only, and 4.73 % using age information when weight change technique was applied.

Korean Dependency Parsing with Multi-layer Pointer Networks (멀티 레이어 포인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

  • Park, Cheoneum;Hwang, Hyunsun;Lee, Changki;Kim, Hyun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92-96
    • /
    • 2017
  • 딥 러닝 모델은 여러 히든 레이어로 구성되며, 히든 레이어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레이어의 벡터는 높은 수준으로 추상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Encoder RNN의 레이어를 여러 층 쌓은 멀티 레이어 포인터 네트워크를 제안하고, 멀티 태스크 학습 기반인 멀티 레이어 포인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멀티 태스크 학습 모델은 어절 간의 의존 관계와 의존 레이블 정보를 동시에 구하여 의존 구문 분석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기존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 연구들 보다 좋은 UAS 92.16%, LAS 89.88%의 성능을 보였다.

  • PDF

Korean Dependency Parsing with Multi-layer Pointer Networks (멀티 레이어 포인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

  • Park, Cheoneum;Hwang, Hyunsun;Lee, Changki;Kim, Hyunki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92-96
    • /
    • 2017
  • 딥 러닝 모델은 여러 히든 레이어로 구성되며, 히든 레이어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레이어의 벡터는 높은 수준으로 추상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Encoder RNN의 레이어를 여러 층 쌓은 멀티 레이어 포인터 네트워크를 제안하고, 멀티 태스크 학습 기반인 멀티 레이어 포인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멀티 태스크 학습 모델은 어절 간의 의존 관계와 의존 레이블 정보를 동시에 구하여 의존 구문 분석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기존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 연구들 보다 좋은 UAS 92.16%, LAS 89.88%의 성능을 보였다.

  • PDF

A Method for Extracting Persona Triples in Dialogue (발화 내 페르소나 트리플 추출 방법 연구)

  • Yoonna Jang;Kisu Yang;Yuna Hur;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726-729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대화 중 발화에서 페르소나 트리플을 추출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발화 문장과 그에 해당하는 트리플 쌍을 활용하여 발화 문장 혹은 페르소나 문장이 주어졌을 때 그로부터 페르소나 트리플을 추출하도록 모델을 멀티 태스크 러닝 방식으로 학습시킨다. 모델은 인코더-디코더 구조를 갖는 사전학습 언어모델 BART [1]와 T5 [2]를 활용하며 relation 추출과 tail 추출의 두 가지 태스크를 각각 인코더, 디코더 위에 head를 추가하여 학습한다. Relation 추출은 분류로, tail 추출은 생성 문제로 접근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head, relation, tail의 구조를 갖는 페르소나 트리플을 추출하도록 한다. 실험에서는 BART와 T5를 활용하여 각 태스크에 대해 다른 학습 가중치를 두어 훈련시켰고, 두 모델 모두 relation과 tail을 추출하는 태스크 정확도에 있어서 90%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임을 확인했다.

  • PDF

Korean Ironic Expression Detector (한국어 반어 표현 탐지기)

  • Seung Ju Bang;Yo-Han Park;Jee Eun Kim;Kong Joo Le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13 no.3
    • /
    • pp.148-155
    • /
    • 2024
  •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irony and sarcasm detection in the fiel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is relatively scarce compared to other languages. This study aims to experiment with various models for irony detection in Korean text. The study conducted irony detection experiments using KoBERT, a BERT-based model, and ChatGPT. For KoBERT, two methods of additional training on sentiment data were applied (Transfer Learning and MultiTask Learning). Additionally, for ChatGPT, the Few-Shot Learning technique was appli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example sentences entered as promp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Transfer Learning and MultiTask Learning models, which were trained with additional sentiment data, outperformed the baseline model without additional sentiment data. On the other hand, ChatGPT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KoBERT,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example sentences did not lead to a noticeable improvement in perform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model based on KoBERT is more suitable for irony detection than ChatGPT, and it highlights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additional training on sentiment data to improve irony detection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