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먹는물 처리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역삼투법 해수담수화 시스템의 최적설계 (먹는물을 생산하기 위한 시설을 중심으로)

  • 김충환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4a
    • /
    • pp.131-153
    • /
    • 1997
  • 먹는물 생산용 역삼투법 해수담수화 시설의 도입에서 시설은 원수의 수질에 대하여 먹는물 수질기준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하고, 또한 시설의 배치, 유지관리 및 경제성을 고려한 최적공정이 선정되어야 한다. 역삼투법에 의한 먹는물 생산용 담수화시스템의 설비는 기본적으로 막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처리설비, 역삼투막모듈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고압펌프 및 용존염의 제거하기 위한 역삼투막모듈 등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지만, 실용화 장치에서는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취수설비, 막으로 처리된 생산수를 먹는물로 급수하기 위한 후처리설비, 기타 세정설비 및 세정배수처리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 PDF

Drinking Water Treatment by RO Membrane Processes (R/O막을 이용한 먹는물 처리)

  • 김권일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09a
    • /
    • pp.105-120
    • /
    • 1996
  • 본 발표에서는 세계적으로 가장 안전한 물처리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는 R/O막에 대하여 개발역사, 제조공정 및 설비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제일합섬의 "CSM" R/O membrane과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O막에 대한 각 Grade 및 믈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종류에 따라서 NaCl, MgSO$_{4}$, 질산성 질소, 6가 크롬의 제거능력실험을 통하여 용도에 맞는 R/O막의 선책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R/O막으로 먹는물 처리 System을 설계할 수 있는 간단한 Procedure 및 R/O system운전의 가장 큰 문제점인 Fouling의 생성과정 및 제거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 미국 및 일본의 R/O막을 이용한 먹는물 처리 System실적에 대하여 언급하였다.대하여 언급하였다.

  • PDF

Derivation of Optimal Conditions and Effect of Treated Water Quality for Treatment of Drinking Water using Inorganic Membrane (무기막을 사용한 먹는물 처리 시 최적의 조건 도출 및 처리수질에 미치는 영향)

  • Won, Cha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 /
    • v.19 no.6
    • /
    • pp.543-549
    • /
    • 2018
  • In this study, the treatment efficiency of inorganic membrane according to the flux that blending raw water was investigated at the laboratory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each blending and flux, we obtained the best efficiency according to each measurement item. The treatment efficienc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aw water and treatment amount of the treated water. Especially,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was high. In the case of $UV_{254}$, the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raw water and the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flux of the treated water showed a maximum of 69 % to minimum of 48 %. In the case of TOC and DOC, the processing efficiency was 22 % and 28 %, respectively, because the organic value of the raw water was low.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n optimal process to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inorganic membrane process, and it is necessary to optimize it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제주도 대체수자원 확보를 위한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 연구

  • Kang, Bong-Rae;Kim, Geon-Tae;Koh, Gi-Won;Heo, M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180-183
    • /
    • 2003
  • 제주지역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방류수(2차 처리수)를 재이용함으로써 지하수에 편중된 제주도의 용수 이용패턴을 다원화하는 대체수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2001년 6월부터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 방안연구를 실시하였다. 제주도내에서 운영 중인 3개 하수종말처리장의 방류수에 대한 장기적인 수질검사 결과, 염소이온 함량이 높아 재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로 재이용 하기는 곤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재처리를 위한 최적의 공정을 선정하기 위해 pilot test를 실시한 결과, 방류수를 MF(정밀여과)막 전처리 + RO(역삼투)막 처리의 재처리 공정으로부터 재처리된 물(3차 처리수)의 수질은 먹는물로 사용하더라도 전혀 문제가 없을 만큼 깨끗하게 처리되었다. 따라서 방류수 배출량이 많은 제주시 도두 하수처리장과 서귀포 보목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재처리하여 비음용 생활용수, 골프장 관개 수용수, 농업용수, 지하수 인공 함양용수 등으로 재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he Removal of Dioxins and the Formation of 2, 3, 7, 8-TeCDF in Drinking Water Treatment in Japan (정수처리에서의 다이옥신 제거 및 2, 3, 7, 8-TeCDF 생성)

  • Kim, Hyun-k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24 no.6
    • /
    • pp.758-766
    • /
    • 2008
  • To evaluate homologue patterns and removal efficiency before and after water treatment, the concentrations of dibenzo-p-dioxins (PCDD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and coplanar polychlorinated biphenyls (Co-PCBs) were determined in 122 samples from 42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throughout Japan over a two year period. The mean concentrations and toxic equivalent (TEQ) values of dioxins in raw and treated waters were 60.24 pg/L (0.14 pg-WHO-TEQ/L) and 4.15 pg/L (0.016 pg-WHO-TEQ/L), respectively. The dioxins contribution ratio of drinking water in relation to dioxins tolerable daily intake (TDI, 4 pg-TEQ/kg/day) was 0.016%. The mean TEQ removal rate of dioxins by drinking water treatment was over 88%. However, the mean removal rate of 2, 3, 7, 8-TeCDF (tetrachlorodibenzofuran) by water treatment in the 122 samples was minus 17%. Therefore, to identify which process affected the level of 2, 3, 7, 8-TeCDF, the removal efficiencies at both the advanced and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lants were investigated. For the TEQ removal rate across the processes, the dioxin congeners, TeCDF and non-ortho-PCBs remarkably indicated minus values after chlorination in both the advanced and conventional water treatments plant. From this study, the level of 2, 3, 7, 8-TeCDF was found to be increased as a result of chlorination.

오.폐수 배출시설 방류수의 재이용 가능성 실태조사

  • 민경우;최형일;백계진;정원삼;이대행;김난희;서광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46-349
    • /
    • 2004
  • 광주시 관내 폐수배출시설 방류수 6지점과 대형 건축물 오수 처리시설 방류수 4지점 및 중수 처리 재이용수, 건물 옹벽 지하수 2지점의 수질을 분석하여 중수로써 재이용 가능 여부를 조사한 결과 폐수 배출시설 방류수의 경우 조립금속제품 제조시설, 축전지제조시설 및 타이어제조시설이 대체적으로 중수도의 수질기준을 만족하고 있어 현재의 방류수를 그대로 중수로 이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오수 처리시설 방류수의 경우 4지점 모두 유기물질은 물론 색도, 탁도 등 대부분의 항목이 중수도 수질기준을 초과하여 현재의 방류수 자체를 중수로 사용하기는 불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방류수를 중수로 재이용하고자 한다면 모래 여과조나 활성탄 여과조, 소독시설 등 중수 처리시설을 설치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오수처리시설 방류수를 중수 처리하여 재이용 하고 있는 중수의 경우 대부분 중수도의 수질기준을 만족하였으나, 색도와 탁도, 대장균군의 경우 일부 상당히 불안정한 수질을 보였으나 현재 화장실 세정수로 이용하고 있는데 색도 외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형빌딩 옹벽에서 흘러나오는 지하수의 경우 일반세균과 질산성 질소를 제외하고는 모두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현재의 지하수를 그대로 청소용수나 화장실 세정수 등의 중수로 재활용해도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활성탄 여과조와 소독 시설 등의 추가시설을 갖춘다면 먹는 물로도 사용이 가능하리라 보며, 수량적인 측면에서도 1일 발생량이 100~400톤 이상이므로 충분히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atus of Drinking Water in Pproyap and Langthle, Cambodia (캄보디아 쁘로얍 지역과 랭뜰 지역 거주민의 먹는물 현황)

  • Kim, Younkwon;Kim, Sungpil;Chae, Seonha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5
    • /
    • pp.357-368
    • /
    • 2016
  • Cambodia is the representative of developing country in Southeast Asia region. As a view point of water resource, Cambodia has in abundance but public sanitation problems persist in rural areas due to unsafe drinking water and untreated human wast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pare and develop new strategies for the water aid program in Cambodia by assessing, review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water pollution for rural areas and the existing water use cycle in these regions. Pproyap and Langthle regions in Pursat province are selected as research areas. Cambodian's rural population in research areas relies on surface water stored in drinking-detention swamps, rain-water jars, and unprotected wells. The two types of main measures, thermotolerant coliform(TTC) bacteria and general polluta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quality of selected water samples for research areas. TTC is a bacterial indicator of waterborne fecal contamination. For the 26 water samples, only one of the samples met the WHO standard for safe drinking water of 0 TTC colony forming units/100 mL.

Analysis of impacts on domestic rivers due to exposure of radioactive materials nearby countries (인접국 방사성물질 누출로 인한 국내 하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Oh, Dae Min;Jung, Seung 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51-551
    • /
    • 2017
  • 우리나라와 동아시아는 경제 성장에 따른 전력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증가하는 대부분의 전력수요를 원자력으로 대체하고자 원전을 통한 전력생산 비중을 증가시키고 있다. 현재 중국은 13기의 원전을 가동 중이며, 동남 해안지대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건설 중인 원전은 27기로 전세계에서 건설 중인 원전의 41%를 차지한다. 원전의 증가에 따른 방사능 누출에 대한 위험성 역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중국 중서부지역에서 방사능이 누출될 경우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로 이동하는 모의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원전 사고 발생 시 사흘 만에 제주도를 포함한 대한민국 전역이 방사성 물질로 뒤덮이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누출된 방사성물질은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로 이동하게 되며, 일부는 낙진으로 유역 또는 하천에 유입되고 일부는 동해를 지나 일본으로 이동 할 것이다. 그동안 중국에서의 방사능 누출사고를 통한 방사성물질의 국내유입에 의한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텐완에서 원전사고 발생시 국내 하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환경다매체 모형을 이용하여 방사성물질(세슘, Cs-137)의 영향에 대한 모의를 진행하였다. 중국 텐완원전에서 방사성 Cs-137이 누출되어 춘천지역에 도달하였을 때의 대기중 농도 $5,650Bq/m^3$로 가정하여 모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모의 지역은 북한강 수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7개의 중권역과 549.3 km의 하천이 포함되었다. 다매체 모형 모의를 통해 방사성물질 낙진으로 인한 Cs-137이 북한강 수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북한강수계의 팔당댐 부근의 오염농도를 모의하였다. 우리나라의 원자력시설 방호 방재법에 따른 상수원 취수기준(먹는물)은 100 Bq/L로 되어있다. 본 연구의 시나리오 모의결과, 모의 1일차에서 45 Bq/L, 모의 8일차에는 먹는물 기준 100 Bq/L를 초과하여 최대 119.56 Bq/L로 오염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따라서, 반감기가 큰 방사성물질을 유입으로 오염된 하천은 개선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과 높은 처리비용이 발생되기 때문에 인접국 또는 국내의 방사능 누출로 인한 상수원 오염 발생에 대비한 초기/중 장기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 PDF

Localization Development of On-Site High Sodium Hypochlorite Generation (고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국산화 개발)

  • Kim, Jung Sik;Shin, Hyun Su;Lee, Eun Kyoung;Jung, Bong Ik
    • Transactions of the KSME C: Technology and Education
    • /
    • v.1 no.1
    • /
    • pp.83-9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lace existing liquid chlorine with localization of on-site high (12%) sodium hypochlorite generation system. On-site high (12%) sodium hypochlorite generation system is higher the current efficiency of 38.7%, 54.6% reduction of salt consumption, and 97.3% lower rate of chlorate than on-site low (0.8%) sodium hypochlorite gener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