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퉁이과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한국산 꽃동멸속 어류 1 미기록종, Synodus fuscus Tanaka (First Record of the Lizardfishes, Synodus fuscus (Synodontidae, Aulopiformes) from Korea)

  • 최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1-313
    • /
    • 2012
  • 홍매치목 매퉁이과의 꽃동멸속에 포함되는 Synodus fuscus 1개체가 제주도에서 채집되어,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기재하고 국명은 '모래꽃동멸'로 명명하였다. 모래꽃동멸은 측선 상부 비늘 수가 3.5개, 하부 비늘 수는 5개로 꽃동멸 속의 다른 종과 구분된다. 또한 아가미 뚜껑 가장자리에 검은 점무늬가 없고, 등지느러미 기저장이 두장의 1/2보다 짧은 반면, 이와 유사종인 주홍꽃동멸은 아가미 뚜껑 가장자리에 검은 점무늬가 있고, 등지느러미 기저장이 두장의 1/2보다 길어서 두 종이 잘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꽃동멸의 계수계측치와 함께 한국산 꽃동멸속 어류의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후기자어에 의한 매퉁이과(Synodontidae) 1미기록종, Synodus kaianus (Günther, 1880) (First Record of Lizardfish, Synodus kaianus (Synodontidae) Based on Postflexion Larva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 최시원;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89-194
    • /
    • 2022
  • Unidentified postflexion larva (18.57 mm in standard length, SL), belonging to the family Synodontidae was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in November 2019. Molecular analysis revealed that the unidentified larva was identical to Synodus kaianus adults in mt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region (Kimura-2-parameter distance, d= 0.006), and was different from the close species S. macrops (d=0.220). The postflexion larva of S. kaianus has the following morphological features: regularly distributed seven peritoneal pigment spots along the alimentary canal; and, intensively distributed stellate melanophores at the middle of the base of caudal fin and behind the last anal fin ray. The postflexion larva of S. kaianus differed from that of S. macrops in snout length and size of peritoneal pigment spot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S. kaianus in Korea, and we suggest the Korean name "Ka-i-ya-kkoch-dong-myeol" for S. kaianus, according to Lee et al. (1999).

한국산 매퉁이속(홍메치목, 매퉁이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Saurida (Aulopiformes: Synodontidae) from Korea)

  • 여민유;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05-216
    • /
    • 2018
  •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17년까지 우리나라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매퉁이속 3종(매퉁이 Saurida macrolepis, 잔비늘매퉁이 S. microlepis, 툼빌매퉁이 S. wanieso, 날매퉁이 S. elongata)의 외부형태에 기초하여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날매퉁이는 국내 표본이 확인되지 않아 일본에서 대여한 표본으로 대신 조사하였다. 툼빌매퉁이는 S. tumbil과 외측 구개골치(툼빌매퉁이는 2열, S. tumbil은 3~4열) 및 가슴지느러미 후단부의 위치(툼빌매퉁이는 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연결선에 도달, S. tumbil은 도달하지 않는다)에서 잘 구분되었다. 매퉁이속 4종은 계수형질에서 측선비늘수가 잔비늘매퉁이 63~70개, 날매퉁이 61~62개, 툼빌매퉁이 54~58개, 매퉁이 48~50개 순으로 많았고, 척추골수 역시 잔비늘매퉁이 62~64개, 날매퉁이 57~59개, 툼빌매퉁이 51~53개, 매퉁이 47~49개 순으로 많아 잘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S. undosquamis 및 S. tumbil이 한국해역에 없고, S. elongata는 한국해역에 드물게 존재하거나 없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산 S. tumbil을 S. wanieso로 처리한 Yamada et al. (1995)을 따라 S. wanieso의 한국명을 "툼빌매퉁이"로 사용한다.

한국 남해에서 채집된 홍메치목(Aulopiformes), Scopelarchidae, Scopelarchoides danae의 첫기록 (A New Record of Scopelarchoides danae (Scopelarchidae, Aulopiforme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of Korea)

  • 김진구;유정화;송세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61-365
    • /
    • 2023
  • 2023년 5월 12일 경남 통영 욕지도 남부 해역에서 봉고네트로 홍메치목(Aulopiformes)에 속하는 치어 1개체(체장 37.6 mm)가 채집되었다. 우리 표본은 얇은 몸, 큰 입, 튜브처럼 생긴 큰 눈, 긴 뒷지느러미 기저부, 발달된 기름지느러미를 가지는 점에서 Scopelarchidae과로 확인되었다. 이후 우리 표본은 8개의 등지느러미, 20개의 가슴지느러미, 9개의 배지느러미, 26개의 뒷지느러미 줄기를 가지며, 배지느러미보다 앞쪽에 위치한 등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 아래쪽과 배지느러미 뒤쪽으로 2개의 흑색소포를 가지는 점에서 Scopelarchoides danae로 최종 분류되었다. S. danae는 적은 등지느러미 줄기(8개, 9~10개) 및 가슴지느러미 줄기 (20개, 22~25개)를 가지는 점에서 동속의 Scopelarchoides signifer와 잘 구분된다. 치어 시기의 S. danae는 옆줄의 상하 양쪽을 따라 암색 띠가 없다는 점에서 Scopelarchus guentheri 및 Scopelarchus analis와 구분되고, Scopelarchus michaelsarsi와는 더 많은 뒷지느러미 줄기(26개, 18~21개)를 가지는 점에서 잘 구분된다. 본 종이 속한 Scopelarchidae과 어류는 국내 처음 보고되는 분류군으로 눈이 튜브 모양인 점에 의거 '눈방울매퉁이과'로 국명 신칭하고, Scopelachoides danae는 '눈방울매퉁이'로 국명 신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