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복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22초

치아종에 의해 매복된 하악 제2 유구치의 교정적 견인 (ORTHODONTIC TRACTION OF THE LOWER DECIDUOUS SECOND MOLAR IMPACTED BY AN ODONTOMA)

  • 한윤범;김성오;이제호;최형준;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4-88
    • /
    • 2009
  • 치아매복이란 물리적인 장벽으로 치아맹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정상 맹출 시기까지 치아가 맹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영구치열기에서 주로 관찰되고, 유치열기에서는 드물다. 치아매복은 전신적 그리고 국소적인 요인에 의하여 일어나고, 치아종에 의한 매복이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치아종에 의한 매복 또한 대부분 영구치열기에 나타나고, 유치열기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이 증례는 하악 좌측 제2유구치의 맹출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4세 4개월 된 여아에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매복된 하악 좌측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 교합면 상방에서 치아종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하악 좌측 제2유구치는 치아종에 의해 하악 제1대구치 방향으로 원심경사 되어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치아종을 제거한 후 매복된 하악 좌측 제2유구치를 교정적으로 견인하고 맹출을 유도하여, 양호한 교합 관계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이소매복된 치아의 자가치아이식 증례 (Autotransplantation of Ectopically Impacted Teeth : Two Case Reports)

  • 임유란;김재환;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8-115
    • /
    • 2017
  • 매복치의 치료방법으로 교정적 견인, 발치 후 임플란트, 자가치아이식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다. 그 중에서도 자가치아이식은 성장하는 환자들에게서 이식치 고유의 치주인대세포의 보존 및 치조골 성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좋은 치료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이 증례에서는 성장중인 청소년의 이소 매복 치아를 자가치아이식으로 치료한 두 개의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첫 번째 증례에서 이소 매복된 좌측 하악 제2소구치를 발거 후 정위치로 자가치아이식하였고 혈소판 농축 피브린(PRF)과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를 사용하여 재생 근관 치료를 하였다. 석회화 치성낭으로 인해 이소매복된 좌측 하악 제2대구치를 지닌 두 번째 증례에서 병소의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Obturator를 3개월 간 장착하여 매복치아의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였으나 맹출 양상이 없어 자가치아이식한 후 MTA를 이용한 근관치료를 하였다. 두 증례 모두 자가치아이식술로 이소매복치를 간단하고 빠르게 치료하였다. 성장하는 환자에게서 이소매복치의 자가치아 이식술은 임플란트나 보철물 수복 대신 좋은 치료 방법이 될 것이다.

매복된 하악 제2유구치의 교정적 견인 (ORTHODONTIC TRACTION OF IMPACTED MANDIBULAR SECOND PRIMARY MOLAR)

  • 김민정;이상호;이난영;장향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03-308
    • /
    • 2011
  • 치아 매복이란 치아 맹출 경로에 존재하는 물리적 장벽으로 인하여 치아 맹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정상 맹출 시기까지 치아가 맹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치아 매복의 병인론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지만, 치아의 유착이 가장 유력한 원인 요소로 제시되고 있다. 치아 매복은 임상적으로 악궁 내 공간의 소실, 인접치의 경사, 대합치의 정출, 하방에 위치한 치배의 변위, 낭성 변이나 감염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매복된 유구치에 대한 치료로 조기 발거 혹은 공간 소실이 발생한 경우 교정적으로 공간확장술을 시행한 후 외과적 발치를 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매복된 치아가 정상적인 형태이고 유착되지 않은 경우라면 외과적 노출 후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 우측 제2유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3세 9개월 된 남아를 대상으로 매복된 유구치 상방에 존재하는 치은 조직을 절제한 후 교정적 견인을 시행함으로써, 유치열기에 양호한 교합관계를 얻었을 뿐 만 아니라, 이후 정기 검진을 통해 혼합치열기의 올바른 치아배열 및 맹출을 유도하였음을 관찰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매복 구치부 치아의 교정적 이동 : 증례 보고 (ORTHODONTIC TRACTION OF IMPACTED POSTERIOR TEETH : CASE REPORTS)

  • 맹유진;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13-618
    • /
    • 2009
  • 구치부 매복은 1% 이내로 드문 편이지만 저위 교합, 반대 악궁 치아의 정출, 인접치 경사로 인한 공간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구치부 치아는 교합 및 악골 발육에 관여하는 기능적으로 중요한 치아이므로 초기 혼합 치열기부터 지속적인 방사선 사진을 찍어 매복 여부를 관찰해야 한다. 매복의 원인에는 치근 발육의 저하, 과잉치, 낭종, 치아종, 유착 등이 있다. 첫 번째 증례에서는 초진 시 치근 발육이 1/2이하라서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였지만 2/3이상 발육 시에도 맹출 하지 못하여 외과적 노출 및 교정적 견인을 시함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낭종을 포함하는 매복 구치를 주소로 내원하였고 낭종 크기가 작고 인접 부위에 주요한 해부학적 구조물이 없어 완전한 적출술을 시행 후 교정적 견인을 하였다. 교정적 견인 시 해당 치아에 직접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붙인 후 악하고 지속적인 힘을 적용하는 것이 유착, 외흡수, 치주 부착 소실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고정식 장치를 사용하면 환자의 협조도가 필요 없고 맹출 공간을 확보하면서 호선상에 매복치를 견인 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매복 구치를 외과적 노출 및 교정적 견인을 통해 교합상으로 배열을 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자폐증 환자에서 함치성 낭종과 연관된 매복치의 처치 (MANAGEMENT OF THE IMPACTED TOOTH ASSOCIATED WITH DENTIGEROUS CYST IN AUTISTIC YOUNG PATIENTS)

  • 김기림;송제선;최병재;김승혜;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28
    • /
    • 2011
  • 자폐증을 진단 받은 16세 남환이 하악 좌측 부위의 낭종 및 매복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해당낭종은 함치성 낭종으 로 최종 진단 되었으며 일일 입원 및 전신 마취 하에 낭종의 적출 및 매복치의 발거와 자가 이식을 시행 후 치근단 형성 술 진행하였다. 2년 6개월 경과 관찰한 현재 주소 증상은 사라지고 재발 성향은 없으나, 치근단 염증 소견 및 발거 부 위 공간 소실 등의 합병증이 관찰된다. 저자는 본 증례를 통 해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1. 함치성 낭종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골 결손이 적고 매복치의 자발적 맹출을 유도할 수 있는 조대술이 추천된다. 2. 매복치의 자발적 맹출 가능성은 매복 깊이, 치축 각도, 환자의 나이, 치근 성숙도 등을 주의 깊게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3. 본 증례의 경우 매복치의 자발적 맹출 가능성이 낮으며 자폐증으로 인한 구강위생 불량, 저조한 협조도 등 을 고려하여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4. 치료 계획 설정 시 일반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자의 의과 적, 전신적 병력에 따른 특별한 요구도 고려해야 한다.

매복 상악 중절치의 강제 견인 후 치아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Factors Affecting Length of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s after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 장진명;송제선;최형준;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상악 매복 중절치를 교정적 견인한 후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확인하는 것이다. 2005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서 상악 매복 중절치에 버튼 부착 수술을 동반한 교정적 치료를 받은 소아 청소년 환자 총 83명을 대상으로 환자 정보와 치료 전, 후 방사선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치료 후 인접한 중절치의 길이에 대한 견인한 중절치의 길이의 비율에 대해 성별, 연령 등 환자 정보의 영향 및 치아 발육 단계, 매복 치아의 높이와 위치, 각도 등 방사선학적 정보의 영향을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하여서 평가하였다. 다중 회귀 분석 결과, stem cell from apical papilla (SCAP)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치료 후 치아길이비율은 0.345 단위 증가하였으나(p < 0.01), 성별, 치아 발육 단계, 매복치아와 중심선과의 거리 및 각도, 매복치아의 절단면의 높이는 치료 후 치아길이비율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매복 중절치 교정적 견인 치료 시 견인한 치아의 길이는 초기 SCAP의 높이의 영향을 받으나, 성별, 치아 발육 단계, 중심선과의 각도, 절단면의 높이에 따른 영향은 보이지 않았다.

상수 재육채묘법에 관한 시험 (II) 상수 묘목의 육성법에 관한 시험 (Studies of mulberry seedling preparation by cattage method sapling (II) Study of cultivating method of mulberry root-stock)

  • 박병희;유근섭;조철호;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37-43
    • /
    • 1963
  • 1. 원묘의 대소와 부위에 있어서 굵은 원묘가 가는 원묘에 비하여 활착 및 묘질이 좋았고 선단부와 기부사이에는 유의차는 없었으나, 선단부가 약간 활착과 묘질이 좋았다. 그리고 2아원묘와 3아원묘 사이에는 활착의 차가 없었다. 2. 원묘의 발근의 다소에 있어서는 발근량이 많은 것일수록 활착 및 묘질이 좋았다. 3. 원묘의 매복 심도에 있어서는 원묘의 선단에 파라핀을 도말하고 노출시킨 것이 가장 활착율이 높았으며 원묘의 선단에 파라핀을 도말하지 않더라도 그 선단을 노출시켜 매복하거나 또는 되도록 얕게 매복한 것이 깊게(6cm) 매복한 것보다 활착율이 높았다. 4. 원묘를 매복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골의 중앙에 곧게 세운 것과 골의 한 쪽에 뉘어 세우고 매복한 것 사이에는 활착의 차는 없었으나 묘질은 곧게 세워 매복한 것이 비교적 양호하였다. 5. 육성포의 토성에 있어서는 사양토와 식양토간에 원묘의 활착의 차는 없었으나 묘질은 사양토에서 좋았다. 6. 각품종간(시평, 개량서반, 노상, 수원상4호 및 용천추우)에 있어서는 원묘의 활착에는 차가 없었으나 묘질은 용천추우가 가장 좋았다. 7. 생산비를 조사한 바 상묘 1본당 재육채묘는 1원 61전이었는데 비하여 접목은 2원 3전이었다.

  • PDF

역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 치험 예 (Orthodontic treatment of an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dilacerations)

  • 전윤식;임원희;김혜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9-163
    • /
    • 2007
  • 심한 치근 만곡을 동반한 매복은 흔하지 않으며, 특히 상악 전치의 경우에 그러하다. 이는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이 임상적으로 매우 어려우며, 치근유착, 치근의 외흡수, 교정적 견인 후 치근 노출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성공적으로 치료된 증례라 하더라도 치은의 심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치주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본 증례보고는 발육중인 만곡된 치근을 가진 역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closed eruption technique를 이용한 교정 치험예를 소개하였다.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영구 대구치의 교정적 견인 : 증례 보고 (Orthodontic Traction of the Permanent Molar Using Skeletal Anchorage: A Case Report)

  • 모혜림;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22-432
    • /
    • 2019
  • 매복된 영구 대구치의 치료 방법으로는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재위치, 자가치아이식, 매복치아의 발치 등이 있으며, 이 중 가장 보존적인 방법인 교정적 견인이 권장된다. 그러나 매복된 영구 대구치의 교정적 견인 시 치아를 이용한 고정원의 확보는 고정원의 상실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골성 고정원 장치가 개발되었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영구 대구치가 맹출하지 않는다는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3명의 환자에서 매복치아를 외과적으로 노출하여 교정 장치를 부착하고 골성 고정원 장치를 식립하여 성공적으로 견인하였음을 보고하는 바이다.

근심경사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의 직립 치료 (Orthodontic upright treatment for mesioangular impacted lower second molar)

  • 최백규;정동기;임성훈;강성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1호
    • /
    • pp.25-33
    • /
    • 2017
  •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의 임상적 증상은 제3대구치의 매복 상황과 유사하나 발치가 주된 치료법인 제3대구치와 달리 저작기능의 회복, 대칭적인 안면 성장, 치열궁의 대칭성 유지, 안정된 교합관계 회복등을 위하여 가능한 직립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치료 방법이 다르다. 매복 하악 제2대구치의 직립 치료시 치질의 노출 정도, 직립에 방해되는 제3대구치의 존재여부, 제2대구치의 예후, 대합치의 정출여부 등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야 하며, 이러한 전략에 따라 사용하는 장치와 고정원의 종류도 결정된다. 심미적 개선은 기대하기 어렵지만, 저작기능을 회복하고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악관절 장애등 여러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하악 제2대구치 직립은 기능회복과 질환의 예방이라는 관점에서 중요한 치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