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미목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8초

가시황백매미충아속의 계량형태학적 분류(매미목: 매미충과) (Morphometric Classification of the Subgenus Parapagaronia from Korea (Homoptera: Cicadellidae))

  • 허은엽;권용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14
    • /
    • 1996
  • 가시황백매미충아속(Parapagaronia)의 였으나, 암컷에서는 96.25%로 더 높게나타났다. 계량형태학적 수리분류의 일환으로서 4종을 대상으로 정량적 형태형질을 이용한 다변량분석을 시도한 결과, 각 종간 평균분리솔의 수컷에서는 87.5%였으나, 암컷에서는 96.25%로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외래침입해충인 갈색날개매미충(노린재목: 꽃매미상과: 큰날개매미충과)의 재동정 결과 보고 (On the Scientific Name of the Invaded Planthopper (Hemiptera: Fulgoroidea: Ricaniidae) in Korea)

  • 박재국;정성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17-323
    • /
    • 2020
  • 갈색날개매미충(노린재목: 꽃매미상과)은 한반도 침입해충 중 하나이다. 하지만, 그동안 정확한 종 동정이 되지않아, 분류학적으로 또는 농업적으로 혼선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발생된 표본들의 관찰을 통하여 이 종의 학명을 Ricania sublimata로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산 큰날개매미충속에 대한 검색표를 제공한다.

민숭머리말매미충족의 분지론적 분류(곤충강: 매미목: 매미충과) (Cladistic Taxonomy of the Tribe Errhomenini (Insecta ; Homoptera; Cicadellidae))

  • Eun Yeop Huh;Yong Jung K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4호
    • /
    • pp.485-495
    • /
    • 1995
  • 분기론적 분류방식을 이용하여 Errhomenini족의 6속에 대한 계통 진화관계를 조사한 결과. 2개의 단배열계통군을 보였으며, 이 분석을 분류 체계화의 기초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 PDF

지리산 중산리골, 대원사골 및 거림골에서 산림해충의 분포조사 (Survey on the Forest Insect Pests in Junsanri-gol, Daewonsa-gol and Georim-gol of Mt. Jiri)

  • 이총규;김우룡;황진형;최재식;정영진;이상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1-110
    • /
    • 2003
  • 지리산의 중산리골, 대원사골과 거림골을 잇는 지역에서 수목에 피해를 주는 산림해충은 7목 44과 140종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나비목은 16과 59종, 딱정벌레목 9과 35종, 매미목 10과 33종, 노린재목 3과 4종, 벌목은 3과 6종, 메뚜기목 1과 1종, 대벌레목 2과 2종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 역별 산림해충은 대원사골 6목 36과 85종, 중산리골 6목 31과 67종, 거림골 7목 27과 56종이었다.

한국산 두점박이애매미충속 (노린재목: 매미충과: 애매미충아과)의 한국 미기록 2종의 기재 (Two New Records of the Genus Arboridia Zachvatkin (Hemiptera: Auchenorrhyncha: Cicadellidae: Typhlocybinae) from Korea)

  • 오수민;김일권;김기경;서홍렬;채준석;정성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7-50
    • /
    • 2015
  • Arboridia(두점박이애매미충) 속(노린재목: 매미아목: 매미충과: 매미충아과)의 국내 미기록 2종인 Arboridia lunula Song & Li, 2013 와 Arboridia agrillacea (Anufriev, 1969)을 기록한다. 성충의 사진과 함께 수컷의 생식기와 복부, 날개의 그림과 채집기록을 기재한다. 또한 국내 Arboridia 속의 검색표를 제공한다.

Tetragnatha squamata(거미 목: 갈거미 과)의 차말매미충, Empoasca vitis (곤충 강: 매미 목) 에대한 포식효과 (Predation Efficiency of the Spider Tetragnatha squamata (Araneae: Tetragnathidae) to Tea Leafhopper Empoasca vitis(Insecta: Homoptera))

  • Heng-Mei Yan;Man-Yuan Liu;Joo-Pil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2호
    • /
    • pp.159-164
    • /
    • 1998
  • 갈거미 속의 일종인 Tetragnatha squamata와 이의 피식자인 차말매미충, Empoasca vitis 사이의 포식 효율에 대하여 실험실 내에서 조사하였다. 피식자의 숫적 증가에 대하여 포식자 거미는 함수적인 반응을 보였다. 포식자가 포식자 자신의 숫적 증가와 포식 효율에 대하여서도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들은 공식으로 표시하였다.

  • PDF

남포층군의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중생대 초기의 곤충화석

  • 남기수;김석환;오경석;이재성;김종헌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9-100
    • /
    • 2010
  • 충남 서부에 위치한 보령 지역은 트라이아스기 후기로 알려진 육성 기원의 남포층군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남포층군은 하부로부터 하조층, 아미산층, 조계리층, 백운사층 및 성주리층으로 구분된다. 남포층군에서 산출되는 화석의 대부분은 식물 화석이며, 기타 이매패 화석, 어류 화석, 곤충의 유충 화석, 패갑류(conchostracans) 등의 화석이 산출되고 있지만, 양적으로 극히 적다. 이들 화석 중에서 체계적으로 연구가 된 것은 식물 화석뿐이고, 나머지 화석들은 전문 연구가의 부재 등에 의해 극히 미미한 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번의 연구를 통해서 아미산층에서 채집된 곤충화석은 모두 107점이고, 그중에서 유충 화석이 94점, 날개 화석이 14점이다. 이들의 분류학적 연구 결과, 아미산층의 곤충화석군은 소시목, 강도래목, 날도래목,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바퀴벌레목, 벌목, 매미목을 비롯한 8목 11종에 이르는 유시류의 곤충들로 구성된다. 이들은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곤충화석 중 시대적으로 가장 오래된 화석이다. 유충 화석은 모두 수서 곤충의 유충화석이다. 이들의 유충은 수중생활에 적응하여 지상생활을 하는 성충과 형태적으로 큰 차이가 있는 불완전변태류 또는 외시류이다. 날개 화석은 수서곤충의 성충의 날개이고 일부는 육상 생활을 하는 곤충의 날개가 포함되어 있다. 아미산층에서 나온 곤충화석에는 육상에서 생활하는 매미목과 바퀴목도 있는데 이들은 불완전변태류에 속한다. 그러나, 똑같은 육상생활자이면서도 벌목은 완전변태류 또는 내시류에 속하는 것도 있다. 따라서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곤충화석군에는 불완전변태류와 완전변태류가 섞여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은 실제로 같은 시대에 비슷한 장소에서 함께 생활을 했던 생물군집이지만, 서로 살던 장소가 다른 집단들이 섞여 있다는 것은 육상생활자의 일부가 죽은 후 수류에 의해 퇴적분지로 유입되어 매몰된 혼합집단으로 볼 수 있다. 현생의 하루살이목, 강도래목 등은 대표적인 유수성 곤충이고, 잠자리, 노린재 등은 대표적인 정수성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이 지층에 밀집하여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살던 장소에서 많은 퇴적물의 유입에 따른 급격한 매몰에 의해 화석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동아시아의 중생대 초기에서 보고된 곤충 화석은 양적으로도 수적으로도 그리 많지 않다. 그중에서 일본의 Mine에서 보고된 화석군이 가장 대표적이며 바퀴류(Blattaria)와 딱정벌레(Coleoptera)의 화석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지만, 아미산층 곤충화석군과의 공통종은 한 종도 없다. 아미산층의 곤충화석군은 비록 다양성은 쥐라기의 곤충상에 비해 떨어지지만 조성적으로는 쥐라기의 곤충상에 매우 유사하다. 육상에 사는 곤충이 화석으로 보존되기 어렵다는 것을 감안하면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곤충화석은 학술적으로 매우 귀중하고 큰 의미가 있다. 보령 지역의 곤충화석은 중생대의 쥐라기와 백악기를 거쳐 현재로 이어지는 곤충 진화사의 잃어버린 고리를 이어줄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