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맞춤형 인테리어 설계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BIM을 도입한 맞춤형 인테리어 설계 업무프로세스 분석 (Analysis of Business Process for Customizing Interior Design Introducing BIM)

  • 박세영;김경훈;김주형;김재준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8-26
    • /
    • 2012
  • 2000년대 초반까지의 주택공급 정책은 국민들이 살 수 있는 최소한의 주거공간을 확보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질보다는 양에 충실한다는 정책이었으며, 인간 생활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배치의 대규모 아파트를 대량 생산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후 경제 성장과 더불어 국민 의식이 높아지고, 생활주기의 변화와 함께 주거수준도 크게 향상되면서 인간 생활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 설계에 대한 불만은 더욱 높아지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거주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맞춤형 설계가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고객의 요구사항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관리해야 하는 맞춤형 설계에서는 참여자들간의 의사소통, 대량의 자재정보처리, 자재원가관리 등에 대한 현장관계자들의 업무량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BIM기술을 적용시켜 맞춤형 설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저감시키고자 하며, 이를 위해 공사참여자들의 업무프로세스를 설계하고자 한다.

국내 건축분야 3D 프린팅 기술의 실무 도입에 관한 인식 (The Percept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for Adoption in Domestic Architecture Industry)

  • 신재영;원지선;주기범;서명배;박형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31-739
    • /
    • 2017
  • 오늘날 3D 프린팅 기술은 다품종 소량 생산 및 맞춤형 생산, 생산 비용 및 시간 절감의 가능성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그 활용 범위가 제조업분야에서 건축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최근 국외를 중심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건축물, 건축 부재 및 부품을 제작한 사례가 등장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건축 설계 및 시공 기술과 3D 프린팅 재료 및 장비 등 제반 기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분야의 3D 프린팅 기술은 도입 초기 단계로 시제품 제작 수준이나, 향후 상용화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 업계의 실정을 고려한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도입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건축분야 3D 프린팅 기술이 상용화 단계로 도입하기 위한 기반 연구로서, 3D 프린팅 기술의 도입에 대한 실무자 인식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설계, 시공, 자재 및 3D 프린팅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인식 현황 분석 결과, 실무에서는 3D 프린팅 건설 기술이 일반 건설시장의 대체 형태보다는 비정형 건축물, 특수한 디자인 형태의 소형 건축물, 인테리어 시장 중심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었다. 상용화가 기대되는 3D 프린팅 건축 상품은 부재 및 부품 단위 수준으로 제한적이며, 경제성과 기능성보다는 심미성이 상품 경쟁력의 가장 큰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향후 시설물 단위의 상품으로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료와 장비의 성능, 안정성 확보와 함께 건축에 특화된 공법 및 정책과 제도가 요구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