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망상

Search Result 47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ffect of Reserpine on Pancreatic Exocrine Secretion Induced by Mesencephalic Reticular Stimulation in Rats (흰쥐에서 Reserpine이 중뇌망상체의 자극으로 유발된 췌장의 외분비 기능에 미치는 영향)

  • Park, Hyoung-Jin;Lee, Yun-Lyu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v.22 no.1
    • /
    • pp.101-109
    • /
    • 1988
  • 최근에 마취한 흰쥐에서 중뇌망상체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면 췌장의 외분비 기능이 증가하며 이러한 결과는 망상체의 자극으로 인하여 교감신경계의 활성도가 상승하기 때문이라는 보고가 있다. 한편 교감신경계의 활성도가 상승할 경우 교감신경계의 전달 물질인 catecholamine이 교감신경 종말 뿐만 아니라 부신수질에서도 유리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뇌망상체의 자극으로 인하여 췌장의 외분비 기능이 증가함에 있어 교감신경계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이때 부신수질이 관여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취한 흰쥐에게 atropine (1mg/kg) 또는 reserpine (5mg/kg)을 투여하거나 또는 부신을 적출한 다음 중뇌망상체를 전기 자극하면서 췌장액을 채취하였다. 사용한 전기자극의 매개변수는 1.3V, 40Hz, 2msec이었다. atropine과 reserpine을 투여하면 마취한 흰쥐의 자발적 췌장액 분비량과 단백질 분비량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부신을 제거하면 췌장액 분비량에는 이렇다할 변동이 없는 반면에 단백질 분비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중뇌망상체를 전기자극하면 췌장액 분비량과 단백질 분비량 모두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망상체의 자극효과는 atropine 전처치에 의하여 이렇다할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reserpine 전처치에 의하여 소실되었다. 그러나 부신을 적출하면 망상체 자극에 의한 췌장액 분비량의 증가는 유지되는 반면에 단백질 분비량의 증가는 소실되었다. 한편 미주신경을 절단한 흰쥐에서 중뇌망상체를 자극하는 동안에 경동맥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상승하였는데 이러한 망상체의 자극효과도 reserpine의 투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마취한 흰쥐에서 중뇌망상체의 자극은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췌장액 분비량과 단백질 분비량에 촉진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때 활성화된 교감신경계는 부분적으로 부신을 경유하게 췌장의 단백질 분비에 촉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channel changes of braided river with sediment supply changes (유입유사량 변화에 의한 망상하천의 지형변화 수치모의 분석)

  • Jang, Chang-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55
    • /
    • 2016
  • 유입유사량의 변화에 의한 하도의 지형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하천을 복원하거나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는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량의 변화에 의하여 망상하천의 저수로 변화와 유사의 분급 특성을 분석하였다. 망상하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하폭은 2.8 m이고, 수로 길이는 50 m로 설정하였다. 하상경사는 0.0125, 유량은 $0.014m^3/sec$로 설정하였다. 상류에서 공급되는 유사량은 평형상태의 유사량에 대하여 50%, 70%, 90%, 100%로 감소시켰다. 상류에서 공급되는 유사량이 감소할수록, 하상고는 감소하고 하상토 입경은 증가하였다. 또한 하도 단면에 대한 저수로의 수를 나타내는 망상하천 지수(Braiding Index)는 감소하였다. 이것은 하도의 저수로 수가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유입 유사량이 감소할수록, 하도의 기복도가 감소하며, 이것은 하도의 역동성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 PDF

CASE STUDY : FLUOXETINE INDUCED MANIA IN A SCHIZOPHRENIC PATIENCT AND REVIEW OF LITERATURES (정신분열증 여아환자에서 Fluoxetine 투여후 발생한 조증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 Kim, Bung-Nyun;Cho, Soo-Churl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6 no.1
    • /
    • pp.116-122
    • /
    • 1995
  • 목적 : 다음과 같은 fluoxetine으로 유발된 조증 증례를 보고한다. 이와 함께 fluoxetine사용이후 보고된 조증 증례보고를 모아서 정리하고 함께 문헌고찰을 하였다. 증례요약 : 가족력상 기분장애의 병력이 없었으며, 다른 주요 정신과적 질환의 병력은 없었다. 환아는 개인력상 5세경에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의 양상을 보였던 병력이 있었고, 13세때에 피해 망상, 환청이 지속되어 haloperidol로 치료받기 시작하였다. 이후 피해 망상의 내용을 언급하거나 환청에 영향받는 행동은 없어졌고 간혹 우울감을 호소하였다. 이후 정신분열증의 진단 하에 haloperidol만으로 3년간 유지하였다. 1994년 환아는 18세때 고3이 되면서 대입에 대한 걱정과 신체적인 허약감을 자주 호소하며, 우울증상이 두드려져 fluoxetine 20mg를 3일간 투여하던 중 갑자기 조증의 임상적 양상을 보이기 시작하여 본원의 입원치료를 받게 되었는데, 입원당시 보인 임상양상은 앙양된 기분, 이자극성(irritability), 사고의 비약, 연상의 이완과 지리멸렬, 과대망상, 피해망상, 관계망상, 환청 등이었고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까지 일시적으로 상실되는 심헌 정신병적 조증상태였다. 토의 : fluoxetine 사용이후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문헌상 보고된 14개의 증례보고를 모아서 정리하였다. fluoxetine-induced mania의 병태생리학적인 기전은 명확하지 않지만 가능한 기전에 대해 토론하였다. 이 약물의 중대한 부작용중의 하나인 조증을 예방하기 위해, 이 약물을 다루는 의사는 가능한 조증 발병의 위험인자들에 대하여 인식하고, 약물의 용량조절시에도 주의를 하여야 한다. 가능한 발병 위험인자들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Crosslink and Entanglement Moduli of Carbon Black Filled Network Rubbers Prepared by Different Curing Agents (상이한 가교제로 조성된 카본블랙 충진 망상 고무의 가교 탄성율과 엉킴 탄성율)

  • 김광만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7 no.3
    • /
    • pp.225-236
    • /
    • 1995
  • 세가지 가교제 즉 황, tetramethyltyiuram disulfide (TMTD) 및 dicumyl peroxide(DCP)로 각각 가교시킨 카본블랙 충진 고분자 망상 시료들에 대해 일축연신 실험 을 통해 얻은 Mooney plot를 분석, 가교 탄성율 Gc와 엉킴 탄성율 Ge를 각각 구하였다. 각 가교계에 대하여 Gc를 통해서는 가교 사슬간의 평균분자량, 망상사슬과 카본블랙간 결합체 의 밀도 및 평균 면적 등을 Gc를 통해서는 카본블랙 첨가에 따른 관경비를 각각평가하였다. 황 가교제의 경우 Gc가 가장 높았으며 망상 사슬과 카본블랙간의 결합이 가장 잘 이루어졌 다. TMTD와 DCP가교제의 경우는 황의경우보다 카보블랙 입자와의 결합력은 낮았으나 결 합체들의 분포는 더욱 조밀하게 나타났다. 또한 Ge평가로부터는 TMTD 가교계가 카본블랙 충진에 의해 관경이 가장크게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 PDF

석회동굴 생성물내 인회석의 산출특징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 장세정;김수진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5a
    • /
    • pp.15-15
    • /
    • 2003
  • Hydroxylapatite는 석회동굴 생성물의 표면이나 또는 생성정지선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암적갈색을 띄고 있어 생성물의 흑화현상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박쥐 서식처나 그 주위의 동굴생성물 표면에서 다량의 hydroxylapatite가 관찰된다. 본 연구에서는 SEM-EDS와 EPMA, XRD를 이용하여 고수동굴(충북 단양군 가곡면 고수리, 천연기념물 제256호, 1976년에 개방), 성류굴(경북 울진군 근남면 장평리, 천연기념물 제155호, 1963년에 개방)과 기하동굴(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마하리, 미개방동굴) 내에서 채취한 hydroxylapatite 로 구성되어 있는 흑색 피각의 현미경적 조직을 연구하였다. Hydroxylapatite 피각은 모암(고수동굴과 성류굴에서는 calcite, 기하동굴에서는 calcite와 dolomite)의 표면에 약 0.3 mm의 두께로 존재하며 hydroxylapatite가 calcite와 dolomite를 교대하고 있다. 피각의 단면은 전자현미경하에서 비교적 밝은 부분인 hydroxylapatite와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는 cellophane으로 구성되어 있다. Cellophane은 피각의 바깥 부위에 그리고 hydroxylapatite은 피각의 안쪽에 주로 분포하며 hydroxylapatite가 cellophane을 교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cellophane으로부터 hydroxylapatite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cellophane과 hydroxylapatite가 보여주는 조직을 구분하면: 1) 교질조직 (colloform texture) (두께: 1.2 ~ 3 $\mu\textrm{m}$, cellophane 층에 지름 0.5 ~ 1 $\mu\textrm{m}$의 voids가 존재), 2) 망상조직 (reticulate texture) (voids 크기 지름 0.5 ~ 1 $\mu\textrm{m}$), 3) 섬조직 (sea-and-island texture) (크기: 지름 2 ~ 4 $\mu\textrm{m}$) 등이다. Cellophane이 주로 분포하는 피각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망상조직과 섬조직 및 void (지름: 약 10 $\mu\textrm{m}$)가 다량 존재하여, 망상조직과 void가 분포하는 곳에는 SO$_2$가 함유된다. 피각 표면에서 Ca, P, Si, Al 이외에 C와 S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막대모양의 박테리아 (지름: 1 $\mu\textrm{m}$, 길이: 1 ~ 10 $\mu\textrm{m}$)들의 집합체가 관찰되는데 박테리아가 피각 표면에 닿아 있는 부분은 박테리아 사이에 hydroxylapatite가 채워져 하나의 덩어리를 이룬다. 망상조직의 void의 크기와 박테리아의 지름이 비슷한 것으로 보아 망상조직은 박테리아 주위에 hydroxylapatite가 침전되고 그 후 박테리아가 있던 자리가 void로 남게 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생각되며, 망상조직과 void에 존재하는 SO$_2$는 박테리아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사료된다. 모암에는 P가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hydroxylapatite의 P는 외부 물질(박쥐 분비물)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된다. hydroxylapatite 피각의 조직이 형태적으로 박테리아와 비슷한 것은 hydroxylapatite 생성에 미생물이 관여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 PDF

Neuropsychological Mechanism of Delusion (망상의 신경심리학적 기전)

  • Lee, Sung-Hoon;Kim, Dong-Wha;Park, Yun-Zo;Park, Hae-Jung;Shin, Yoon-Sik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7 no.1
    • /
    • pp.60-66
    • /
    • 2000
  • Objectives: The Psychopathology of schizophrenia was expected to be related with focal dysfunction of brain while schizophrenia is recognized and studied as the brain disease. Authors studied correlation between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delusion which is representative symptom of schizophrenia in patients with head trauma and psychiatric patients in order to explore the functional localization of brain in delusional symptom. Methods: Halstead Reitan Neuropsychological Test Battery and Korean Weschler Intelligent Scale an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were administered to one hundred ninteen patients consisted of sixty nine psychiatric patients and fifty patients with brain damage. We tested correlation between results of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delusional scale made from twenty four items related with delusion in MMPI. T-test between eighteen higher delusion scorers and twenty one lower scorers was examed in psychiatric group. Results: In brain damage group, signig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in the tests related with function of frontal lobe such as category test, trail making AB test, tactual performance test, digit symbol test and fingertip number writing test,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lso noted in the tests related with function of left temporal and parietal lobes such as information, comprehension, vocabulary, similarities and speech sound perception test. The tests related with the function of right hemisphere such as tactual performance test location, picture completion and performance, and the tests related with subcortical function such as arithmetic, digit span, attention, digit symbol test, digit symbol and trail making AB test were signigicantly corelated with delusional scale too. In psychiatric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delusional score in the tests related with function of left hemisphere such as vocabulary, vocable IQ, comprehension and language, and in the tests related with subcortical function such as N 120 voltage, digit symbol and arithmetic. Conclusions: Delusion seems to be related with function of frontal lobe, left hemisphere and subcortex in both groups. Right hemisphere may be also partially related with delusion.

  • PDF

Experience of Reticulocytes Measurement at 720 nm Using Spectrophotometer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720 nm에서 망상적혈구 측정 경험)

  • Sung, Hyun-Ho;Seok, Dong-In;Jung, You-Hyun;Kim, Dae-Jung;Lee, Seok-Jae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49 no.4
    • /
    • pp.382-389
    • /
    • 2017
  • Currently, reticulocyte experimental calculation technology used in clinical laboratories are divided two types: manual and automated. Manual reticulocyte counting using a microscopy lacks accuracy due particularly to its low reproducibility, affecting the accuracy of manual reticulocyte count. Moreover, Automatic blood corpuscle analyzer flow cytometry is difficult to be used in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small scale laboratories due to relatively high cos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a new method to complement these drawback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ained reticulocytes count by spectrophotometer and also to analyze the statistics of spectrophotometer and flow cytometer. The same 8 EDTA samples were repeated 36 times to compare the agreement between spectrophotometer and flow cytometer. This study measured the specimen diluted 600 times at 700~780 nm by 10 differences. Wavelength between 710 to 730 by absorba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andard data and test data (r=0.967, p<0.01), presenting a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Statistical analyses of regression for test and standard parametric data, the optimal dilution factor was 600 time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technical utilizes such as contributing economical for the reticulocyte absorbance apply from the auto spectrophotometer, a monitoring system for the reticulocyte relation anemia, etc. Therefore, more extensive studies, including an auto chemical analyzer application, will be needed.

Geochemical Behaviour of Zn, Mn and As during the Weathering of Sphalerite, Rhodochrosite, and Manganoan Calcite in the Waste-rock Dumps of the Dadeok Mine (다덕광산 폐석내 섬아연석, 능망간석, 함망간 방해석의 화학적 풍화작용과 Zn, Mn, As의 지구화학적 거동)

  • 정기영;이병윤;이석훈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2
    • /
    • pp.73-83
    • /
    • 2000
  • 다덕 광산 폐석내 섬아연석과 함망간탄산염 광물의 풍화현상과 그에 따른 중금속의 거동을 조사 하였다. 섬아연석은 풍화초기에 극미립 산화철의 망상구조 집합체로 교대되었으며, 후기에는 자연황이 용해중인 섬아연석과 산화철 집합체 사이에 침전되었다. 산화철 집합체에는 As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능망간석와 함망간 방해석은 함아연산화망간의 망상구조 집합체로 교대되었으며, 함망간방해서과 함아연산화망간 사이에는 스미소나이트가 침전되었다. 선택적 용해외 X선회절분석을 이용하여 감정한 결과, 함아연산화망간은 헤테롤라이트/하이드로헤테롤라이트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Zn의 일부는 규산과 결합하여 입간 공극에 월레마이트로 침전되었다. 풍화 초기에 형성되는 극미립 산화철 및 함아연산화망간의 치밀한 망상 집합체는 풍화용액의 순환을 차단하여, 모광물의 풍화 반응을 지체시키는 지화학적 장벽 역할을 하였다. 이에 따라 망상구조 내에 조성된 국지적 미환경하에서 풍화중간산물들이 침전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론할 수 있다. 섬아연석의 Fe와 함망간탄산염의 Mn은 각각 산화철과 산화망간으로 침전되어 산성화에 기여하였다. 폐광석 더미내 As의 활동도는 저결정질 산화철에의 흡착에 의해 조절되며, Zn의 활동도는 미소환경조건에 따라 하이드로헤테롤라이트/헤테롤라이트, 스미소나이트, 월레마이트 등의 다양한 이차광물의 용해도에 의하여 조절된다.

  • PDF

Removal of Hydrogen Sulfide using Reticulated Polyurethan Carrier in Biofilter (망상구조 폴리우레탄 담체를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

  • Jeong, Gwi-Taek;Lee, Gwang-Yeon;Cha, Jin-Myoung;Park, Don-He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5 no.4
    • /
    • pp.372-377
    • /
    • 2007
  • In order to assess its capability as biofilter bed material under variable conditions of two parameters (inlet gas concentration and inlet gas flow rate), reticulated polyurethan was applied to remove hydrogen sulfide via a biological process. We detected a maximal elimination capacity (critical loading rate) of $488.3(330.1)g-H_2S/m^3{\cdot}hr$, when reticulated polyurethane was employed as supporting material of biofilter. This study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reticulated polyurethane carrier might be a favorable choice as a packing material in biofilter for the biological removal of hydrogen sulf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