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망분리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37초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MPLS 를 이용한 네트워크 가상화 (Network Virtualization using MPLS for Cloud Computing)

  • 장동훈;안득현;엄영익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84-586
    • /
    • 2011
  • 네트워크 가상화(Network virtualization)란 물리적인 네트워크 자원들의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자원들을 논리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 가상화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구현을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Infrastructure) 제공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기술은 빠른 고속 전송을 위한 라우팅 기술로서 가상 사설망을 구성하는 기술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PLS 라우팅 기술을 활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간의 패킷 전송에 다양한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독립성, 유연성, 성능과 비용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며, 논리적인 망분리를 통해 다양한 클라우드 컴퓨팅에 맞는 인프라를 서비스할 수 있다.

신경망 모형을 적용한 금강 공주지점의 수질예측 (Water Quality Forecasting at Gongju station in Geum River using Neural Network Model)

  • 안상진;연인성;한양수;이재경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701-711
    • /
    • 2001
  • 수질 인자들은 다양하고 관계가 복잡하여 수질 변화를 예측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이 비교적 용이하고 비선형 예측에 적합한 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금강유역 공주지점의 DO, BOD, TN에 대한 월수질 예측을 수행하고 ARIMA 모형과 비교하여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사용된 신경망 모형은 학습을 위해 BP(Back Propagation)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멘트-적응학습율(Moment-Adaptive learming rate) 방법을 이용한 MANN 모형, 레번버그-마쿼트(Levenberg-Marquardt) 방법을 이 용한 LMNN 모형, 그리고 정성적인 판단인자를 첨가하여 정량적인 월 수질 자료와 분별, 학습하 도록 은닉층을 분리한 MNN 모형으로 구분하였다. 대체로 신경망 모형의 예측치가 실측치에 근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은닉층을 분리한 MNN 모형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제어시스템 ICCP 프로토콜 사이버 보안 현황

  • 김성진;손태식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2-38
    • /
    • 2014
  • 전력시스템에 IT를 결합한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중 전력시스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전력시스템 제어센터 간 통신을 담당하는 것이 ICCP 프로토콜이며, 주로 중앙급전소와 지역급전소간의 전력망 정보들을 교환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 프로토콜은 단지 전력망의 정보교환 뿐 아니라 전력기기제어 기능도 가지고 있다. ICCP 프로토콜은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공격이 가능하다. 또한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중앙급전소의 경우 주요 국가기반시설로써 사이버테러에 더욱더 공고한 대응체계를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ICC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구간은 일반적으로 외부 네트워크와 분리되어 그 안전성을 담보하고 있지만, 네트워크 분리를 통한 보안성 향상 기법이 체계적인 관리와 함께 수반되지 않으면 인적 취약성이나 새로운 형태의 모바일 기기를 통한 물리적 취약성에 지속적으로 노출 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안 사고의 잠재적 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외부네트워크와 분리된 제어센터들도 향후 더욱더 높은 수준의 보안 기술을 적용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 제어센터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ICCP 프로토콜의 사이버 보안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해당 프로토콜의 보안 위험성과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고찰한다.

ATM망에서 흐름제어 셀 다중화기 (A Rate-Controlled Cell Multiplexer in ATM Networks)

  • 강구홍;박상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8권3호
    • /
    • pp.417-425
    • /
    • 2001
  • 비동기식전송모드망에서 선입-선출은 각 연결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각 VC에 확실한 대역폭 할당을 통해 요구하는 QoS를 보장하는 트래픽 분리 기법에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VC 단위의 “주기적토큰-기반 조절기”를 사용하는 흐름제어 셀 다중화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다중화기는 재가-conserving 성질을 유지하면서 VC 트래픽 분리를 실현하게 된다. 먼저 제안된 다중화기의 우수한 주요 성질을 논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출력 트래픽 스트림 특성과 각 VC의 트래픽의 분리 특징을 분석한다.

  • PDF

배전DAS-업무망 보안 이슈 및 물리적 일방향 자료전달 시스템 적용 방안

  • 김지희;김진철;박성완;송주영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6-50
    • /
    • 2014
  • 제어시스템은 일반 업무환경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과는 달리 업무망과 분리되어 운영되며, 비공개 제어프로토콜 사용으로 해커나 악성코드에 의해 사이버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없다고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2010년 스턱스넷(Stuxnet) 악성코드가 이란의 핵시설 제어시스템에 침투하였고 2012년 듀크, 플레임 등 제어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위협이 증가하게 되면서 제어시스템과 업무망 연계 지점의 보안 위협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 물리적 일방향 자료전달 시스템의 도입이 추진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배전DAS 업무망 연계를 위한 물리적 일방향 자료전달 시스템 구현에 대해서 설명하고 실증에 따른 결과를 제시한다.

분리된 접지망에서 CT 2차회로 고장전류 Flow 특성 (Fault current flow characteristics of CT secondary circuit connected isolated ground meshes)

  • 이상길;김경열;최형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772-773
    • /
    • 2011
  • 발전단지내 발전소와 변전소 접지망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구성된 경우 설비보호를 위한 보호회로가 큰 대지전위 차로 인해 손상되거나 보호설비가 오동작할 우려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독립된 접지망간 연결된 보호회로에 대지전위 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분석하였으며 고장전류가 유입된 접지망 전위가 상승하면 CT(Current Transformer)회로가 이중접지 된 곳에서는 보호회로가 오동작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고, 이중접지가 안되었다 할지라도 대지전위 상승이 회로를 통해 전달되어 회로와 외함간 절연파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보호회로 케이블이 발전소와 변전소간 연결된 곳에서는 반드시 접지망을 연결하여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계층적 신경망을 이용한 주민등록증 성명인식 (Printed Name on ID Card recognition using a Hierachical Organized Neural Network)

  • 서원택;조범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325-32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인쇄체 한글을 실용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계층적으로 구성한 신경망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해서 주민등록증의 성명을 인식하는데 적용하였다. 문자영상을 신경망을 이용하여 한글의 6가지 유형으로 먼저 분류한 후, 분류된 문자영상을 각 형식에 따라 자소단위로 분할해서 각 형식에 따른 신경망으로 인식하는 구조로 만들었다. 훈련용 데이터는 각 형식 별로 자소를 분리해서 얻은 영상들을 자소별 평균이미지로 만들어서 이를 조합하여 만든 글자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같은 형식의 같은 자음이라도 글자의 모양과 위치가 조금 다른것에 대해서 강인한 훈련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입력단에서의 잡음을 줄이기 위해 히스토그램의 국부 평균을 적용하였다. 100명의 주민등록증을 컴퓨터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받아서 테스트한 결과 98.1%의 높은 인식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