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말콤볼드리지 국가 품질상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tudy on the evaluation factors of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quality using Malcolm Baldrige Model (말콤볼드리지 모형을 이용한 쇼핑몰 경영품질 평가모형)

  • Kim, Hee-Ohl;Baek,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4a
    • /
    • pp.171-176
    • /
    • 2010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어떤 쇼핑몰 평가 시스템보다 쇼핑몰의 다양하고도 상호 유기적인 메커니즘을 조화롭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영품질의 공인된 세계 기준이자 많은 기업들에게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자기평가 기준이며 또한 시스템 경영의 교과서 역할을 하고 있는 말콤볼드리지 국가 품질상의 평가기준을 쇼핑몰에 도입하여, 리더십, 전략기획, 고객 및 시장, 정보와 분석, 인적자원, 프로세스의 여섯 가지 관점에서 쇼핑몰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측정하여 일곱 번째 관점인 최종 사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웹사이트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정량적인 요소들과 정성적인 요인들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을 통해 쇼핑몰 사이트를 평가하고 분석하기 위한 종합적인 모형을 제시 하였다.

  • PDF

고객만족의 핵심 성공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말콤 볼드리지 국가 품질상 수상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 Lee, Dong-Gyu;Jeon, Jeong-Ho;Jo, I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7.04a
    • /
    • pp.215-22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학 분야에서 끊임없이 화두로 제시되고 있는 고객만족에 대한 핵심 성공요인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말콤 볼드리지 국가 품질상 수상 기업에 대한 사례 연구를 수행하여 고객만족을 위한 5개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각각이 요인과 관계가 깊은 국내 기업을 선정하여 설문을 통해 도출된 요인과 고객만족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분석방법은 가설 검증에 앞서 측정 변수들에 대한 신뢰성 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고객 중심 사고와 고객만족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두 번째, 고객 및 시장 세분화와 고객만족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세 번째, 종업원의 만족과 고객만족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네 번째, 고객 접점 강화와 고객만족은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다섯 번째, 고객 불만 해결과 고객만족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공헌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말콤 볼드리지 국가 품질상의 심사기준에 근거하여 고객만족에 대한 연구를 국내 최초로 수행하여, 고객만족을 '경영품질'이라는 전체적 구조 속에서 바라볼 수 있는 기틀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말콤 볼드리지 국가 품질상 수상 기업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공통점과 관련이 깊은 국내 기업의 사례 연구 및 설문 조사를 진행함으로써, 국내 기업으로 하여금 현재 자사의 고객만족을 위한 전략의 수준을 확인하고, 개선의 기회를 발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등 고객만족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고객만족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기업의 전체적인 구조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던 기업들에게 본 연구는 유용한 정보의 제공 및 활용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말콤볼드리지상을 이용한 한국 의료 평가모델의 인과관계 분석

  • Mun, Jae-Yeong;Kim, Jin-Hak;Kim, Yang-Gyun;Go, In-Ho;Gwon, O-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7.04a
    • /
    • pp.149-15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병원들을 대상으로 미국의 말콤 볼드리지 국가 품질상 (The Malcolm Bladrige National Quality Award)모형 중 의료분야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병원들의 의료품질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말콤 볼드리지 국가품질상의 평가기준인 리더십, 전략 계획, 측정${\cdot}$분석, 지식관리, 인적자원 중심, 프로세스 관리, 환자${\cdot}$고객, 시장중심, 결과의 7개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 항목들 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의료서비스분야에서의 MB모델 분석

  • Yeo, Hyeon-Jin;Lee, Sang-Cheol;Seo, Y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166-170
    • /
    • 2006
  • 본 연구는 국내 의료 서비스 산업에 적합한 한국형 의료서비스 품질상 모형을 개발하고 이의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의 말콤볼드리지 국가품질상(The Malcolm Bladrige National Quality Award)의 평가기준인 리더십, 전략계획, 환자 고객 시장 중시, 측정 분석 지식관리, 인적자원 중시, 프로세스 관리, 사업성과의 7개 항목을 이용하였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TQM Practices and R&D Performance: A Contingency Approach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TQM 프랙티스와 R&D 성과에 관한 연구: 상황이론적 접근)

  • Hong Soon-Wook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9 no.2
    • /
    • pp.199-235
    • /
    • 2006
  • Research interest in TQM has recently begun extending beyond manufacturing to moreinnovative R&D activities. Despite numerous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Q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little are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QM and R&D performance. This is especially true for manufacturing-based R&D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QM and R&D, and also explore several contingencies that moderate the relationship. The study uses data from 133 R&D divisions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to test hypotheses regarding the relation of TQM with R&D. TQM measures are aligned with the six criteria of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and the R&D performance measures consist of incremental and innovative R&D aspects. The finding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 that TQM practices contribute to R&D performance significantly in aggregate, and their specific contributions vary according to the contingencies, which provide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QM and R&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Therefore, the results could offer firms a better strategy for their R&D management. This study is, however, exploratory in nature; the conclusion is tentative and may thus be different in other research sett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