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말초혈액단핵구세포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1초

In Vitro에서 개 말초혈액 탐식세포의 탐식능에 대한 케타민의 효과 (Ketamine Decreases Phagocytic Capacity of Canine Peripheral Blood Phagocytes In Vitro)

  • 강지훈;김민준;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3-78
    • /
    • 2008
  • 케타민은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의 비경쟁적인 길항제로 인의와 수의학에서 전신 마취제로 사용하는 약물이다. 본 연구진은 이전에 케타민이 개 말초혈액 백혈구의 순간산소과소비현상(oxidative burst activity)을 손상시킨다고 보고하였다. 현재 연구에서는 개 말초혈액 탐식세포의 탐식능(phagocytic capacity)에 대한 케타민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탐식능은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peripheral blood polymorphonuclear cells; PMN)와 단구(monocytes)의 탐식능은 케타민의 직접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단핵구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분획에서의 탐식능은 케타민의 직접 처리에 의해 변화가 없었다.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와 단구의 탐식능은 케타민을 처리한 단핵구세포 배양상층액에 의해서도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케타민은 호중구와 단구와 같은 개 말초혈액 탐식세포의 탐식능에 있어 직접적인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케타민 처리 단핵구세포로부터 생산되는 가용성인자에 의해서도 탐식세포의 탐식능이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고양이 말초혈액 탐식세포의 탐식능에 있어서 인삼 사포닌의 효과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Phagocytosis of Feline Peripheral Blood Phagocytes)

  • 양만표;박세형;윤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6-123
    • /
    • 1998
  • 고양이 말초혈액 탐식세포(단핵구세포(MNC) 및 다형핵백혈구(PMNC))의 탐식능 에 있어서 인삼 saponin(ginseng total saponin(G75), ginseng PT saponin(GPT) 및 ginseng PD saponin(GPD))의 면역증강 효과를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삼 ssponins을 직접 첨가하여 배양한 MNC 및 PMNC에서는 탐식중강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각각의 인삼 saponin을 첨가하여 배양한 PMNC 및 MNC 배양상충액의 존재하에 PMNC 및 MNC의 탐식능을 겅토한 결과, MNC의 탐식능은 Gff 첨가 PMNC 배양상충액과 GTS 및 GPT 첨가 MNC 배양상충액의 존재하에서 약간의 탐식증강 효과를 보였다. PMNC 탐식능의 경우에는 GPD 첨가 PMNC 배양상충액에서 미약한 탐식증강 효과가 나타났으나, 각각의 인 삼 saponin 첨가 MNC 배양상충액 존재하에서는 모두 현저한 탐식중강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고양이 말초혈액 탐식세포의 탐식증강 효과는 인삼 saponin의 직접적인 작용보다는 인삼 saponin에 의해 활성화된 단핵구세포에서 분비되는 가용성물질에 의해 단 핵구세포보다는 다형핵백혈구에서 현저하게 탐식효과가 증강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고양이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의 유주성에 있어서 인삼 사포닌의 효과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Chemotaxis of Feline Peripheral Blood Polymorphonuclear Cells)

  • 양만표;박세형;윤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4-109
    • /
    • 1998
  • 고양이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PMNC)의 유주성에 있어서 인삼 saponins(ginseng total ssponin(GTS), ginseng PT saponin(GfT) 및 ginseng PD saponin(GPD))의 면역증강 효과를 검토하였다. PMNC에 대한 유주성을 hoyden chamber 변법으로 측정한 결과, GTS, GPT, GPD는 PMNC에 대해 직접적인 유주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인삼 saponins을 첨가하여 배양한 PMNC 배양상충액의 경우게는 미약한 유주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GPf및 GPD를 첨가하여 배양한 말초혈액 단핵구세포(MNC)배양상충액에서는 PMNC의 유주활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PMNC에 대해 유주활성이 인정된 GPI)로 배양한 MNC 배양상충액을 이용하여 checkerboard assay를 실시한 결과 배양상충액의 농도차에 의존하는 진의 유주활성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인삼 saponine 중 GPT 및 GPD가 고양 이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의 유주성을 중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것은 이들 saponins에 의해 활성화된 단핵구세포에서 분비되는 유주성인자에 의해 다형핵백혈구의 유주활성이 증 강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단핵식세포에서 내독소에 의한 인터루킨-8 유전자 발현 조절기전에 관한 연구 (Regulatory Mechanism of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Interleukin-8 Gene Expression in Mononuclear Phagocytic Cells)

  • 유철규;서지영;김영환;한성구;심영수;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462-474
    • /
    • 1994
  • 연구배경 : 급성 폐손상에서는 호중구가 조직손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호중구는 외부자극에 의해 단핵식세포에서 분비되는 여러 화학주화인자에 인하여 국소염증부위로 이동하며, 이중 대표적인 물질이 호중구에 비교적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IL-8이다. IL-8은 호중구에 대한 주화작용외에 호중구 표면에 유착성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호중구 자체를 활성화 시키는 등 직,간접적으로 염증반응에 관여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급성폐손상의 표본인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인 내독소에 의한 단핵식세포에서 IL-8의 분자생물학적 조절기전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설정이다. 방법 : 정상인의 페포대식세포와 말초혈액 단핵세포를 분리하여 내독소에 의한 IL-8 mRNA 발현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내독소의 여러 농도와 배양시간에 따라 IL-8 mRNA에 대한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내독소에 의한 IL-8 유전자 발현의 분자생물학적 조절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actinomycin D와 cycloheximide로 전처치한 후 내독소에 의한 IL-8 mRNA와 배양액에서 면역반응성 IL-8을 측정하기위해 각각 Northern blot analysis와 ELISA를 시행하였다. 결과: 1) 폐포대식세포와 말초혈액 단핵세포 모두에서 내독소에 의한 IL-8 mRNA의 발현은 내독소 1 ng/ml의 농도에서부터 증가되었으며 내독소 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다. 또한 내독소에 의한 IL-8 mRNA의 발현은 내독소 투여 2시간후부터 증가되기 시작하여 24시간까지 지속되었으며 폐포대식세포에서는 8시간, 말초혈액 단핵세포에서는 4시간에 각각 정점을 이루었다. 2) actinomycin D는 페포대식세포와 말초혈액 단핵세포 모두에서 IL-8 유전자 발현을 m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억제시켰다. 3) cycloheximide는 폐포대식세포와 말초혈액 단핵세포 모두에서 IL-8 유전자 발현을 단백질 수준에서는 억제시켰으나 mRNA발현은 폐포대식세포에서는 약간 증가 시켰고 말초혈액 단핵세포에서는 약간 억제시켰다. 결론 : 폐포대식세포와 말초혈액 단핵세포 모두에서 내독소에 의해 IL-8 mRNA의 발현과 IL-8 단백의 분비가 증가되었는데 이는 일부 전사이전 수준에서 (pretranslational level) 조절되며 폐포대식세포에서는 de novo 단백합성과는 관계가 없고 불안정한 억제인자 (labile repressor)의 조절을 받고 있고 말초혈액 단핵세포에서는 지속적인 de novo 단백합성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마이코박테리아에 대한 인체 말초혈액 단핵구와 폐포대식세포의 림프구 의존적 살해능에 관한 연구 (The Lymphocyte Dependent Bactericidal Assay of Human Monocyte and Alveolar Macrophage for Mycobacteria)

  • 천선희;이유현;이종수;배기선;신수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1호
    • /
    • pp.5-16
    • /
    • 2002
  • 연구배경 : 말초혈액 단핵구와 폐포 대식세포가 림프구에 의하여 활성화된 후 탐식된 세포내 결핵균을 제거하는 최종 효과기로 작용하지만 결핵균은 이러한 세포 내에서조차 살아남아 증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감염의 경우와 유사하도록 낮은 감염률(결핵균:포식세포 1:10)을 이용하여 MAC(Mycobacterium avium)과 Mycobaterium tuberculosis $H_{37}Ra$에 대한 단핵구와 폐포 대식세포의 림프구 의존적 결핵균 살해능의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상인과 폐결핵 환자의 말초혈액 단핵구를 Ficoll gradient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정상인의 폐포 대식세포를 기판지폐포 세척액에서 분리 하여 96well plate에 $1{\times}10^5$ 씩 분주하고 결핵균주 MAC과 $H_{37}Ra$에 낮은 감염률(결핵균:단핵구 1:10)로 감염시켰다. 일부는 비부착세포(림프구)를 림프구:포식세포 10:1 비율로 첨가하여 $37^{\circ}C$, 5% $CO_2$ 배양기에 배양하였다. 1일, 4일, 및 7일째 각각 수확하여 middlebrook 7H10/OADC agar plate에 접종 후 집락이 형성될 때까지 $37^{\circ}C$, 5% $CO_2$ 배양기에 배양하였다. 결핵균의 수는 lysate의 $m{\ell}$(세포수 $10^6$)당 CFU로 표시하였고, 결핵균의 살해능은 log killing ratio[logKR=$log_{10}$(Final CFU/Initial CFU)]로 표시하였다. 배양 1일째 상층액에서 TNF-${\alpha}$, 배양 4일째 상층액에서 ${\gamma}$-IFN을 Elisa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단핵구의 세포내 결핵균 살해능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결핵환자군에서 ${\Delta}logKR$가 MAC -0.4, $H_{37}Ra$ -0.2 정도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정상대조군에서 폐포 대식세포의 결핵균 살해능은 단핵구에 비하여 ${\Delta}$logKR가 MAC과 $H_{37}Ra$ 모두 -0.2정도로 증가된 경향을 보였다. 단핵구와 폐포 대식세포내 결핵균 살해능은 림프구 의존적으로 림프구 첨가시의 ${\Delta}logKR$는 MAC -0.4, $H_{37}Ra$ -0.5 정도로 포식세포 단독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5). ${\gamma}$-IFN은 말초 단핵구와 폐포 대식세포 단독배양시 분비량이 경미하였으나 림프구 첨가시에는 유의한 분비의 증가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낮은 결핵균 감염률을 이용한 인체 포식세포의 세포내 결핵균 감염 모델이다. 결핵균 살해능은 림프구 의존적이며, 포식세포의 결핵균 탐식 후 7일까지의 배양에서 결핵환자의 단핵구와 PPD 양성 정상인의 폐포 대식세포에 림프구를 첨가한 경우에만 실질적인 균 증식의 제한을 볼 수 있었다.

내독소에 의한 말초혈액 단핵구의 IL-1beta, IL-6, TNF-alpha와 TGF-beta 생성에 관한 연구 (Lipopolysaccharide-induced Synthesis of IL-1beta, IL-6, TNF-alpha and TGF-beta by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 정성환;박춘식;김미호;김은영;장헌수;기신영;어수택;문승혁;김용훈;이희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846-860
    • /
    • 1998
  • 연구배경: 내독소는 생체 내에서 단구와 내피세포에 강한 자극을 주나 호중구, 림프구, 호염기구, 섬유모세포 등 여러 세포에도 자극효과가 있어 염증반응이 시작된다. 그중 대식세포는 내독소의 자극을 받아 활성화되면 interleukin-1 (IL-1), 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를 분비하여 조직손상을 일으킨다. 내독소의 작용기전은 CD14 의존성 경로와 비의존성 경로의 두 개로 나뉘어진다. 체내로 들어온 내독소는 혈청 내에서 내독소 운반에 관여하는 LPS-binding protein(LBP)과 결합하여 혈중내에서 세포와 결합되거나 조직으로 이동되어 조직내 세포와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고농도의 LPS는 CD14항원에 비의존적으로 대식세포를 자극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LPS자극에 의한 대식세포의 CD14 항원 의존성 IL-1, IL-6, TNF-$\alpha$의 형성과정은 많이 밝혀져 있으나, 내독소에 의한 TGF-$\beta$의 형성 여부는 밝혀져 있지 않으며, CD14 항원 비의존성으로 IL-1, IL-6, TNF-$\alpha$ TGF-$\beta$가 형성되는 과정도 별로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혈청이 없는 상태 (LBP가 없는 상태)에서, 즉 LPS 자극시 LBP-CD14 비의존성으로 말초혈액단핵구에서 형성된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IL-1, IL-6, TNF-$\alpha$과 섬유화 cytokine인 TGF-$\beta$의 생성유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정상인의 헤파린 처리된 말초혈액정맥혈을 비중 1.077의 Ficoll-Hypaque 용액 위에 중첩시킨 후 500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말초혈액단핵구를 얻었다. 분리된 말초혈액단핵구를 우태아혈청이 없는 RPMI에 부유시킨 후 $37^{\circ}C$, 5% $CO_2$ 보온기에서 0.1 ${\mu}g$, 1 ${\mu}g$, 10 ${\mu}g$, 100 ${\mu}g/ML$의 LPS와 1, 2, 4, 8, 12, 24, 48 시간 혼합 배양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IL-6, TNF-$\alpha$, TGF-$\beta$의 측정 cytokines의 양을 bioassay로 측정하였다. 세포층은 slide에 고정시킨 후 단 클론 항체를 이용한 이중 면역조직화학염색법과 RNA probe를 이용한 in situ hybridization에 이용하였다. 결 과: 실험사약내 내독소 존재 여부에 대한 검증결과 내독소 함유량은 10 ng/mL 이하로 되어 있어 본 실험에서는 10 ng/mL 이상의 농도로 실험을 하였기 때문에 오염된 내독소는 실험에 영향이 없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말초혈액단핵구에서 LPS 자극에 의하여 IL-6는 1시간째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96 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LPS용량의존성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TNF-$\alpha$는 LPS 자극 4시간째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시간이 갈수록 생성양은 증가하며 72 시간째까지 지속적으로 형성되었다. TGF-$\beta$형성도 LPS 용량에 의존성을 보이며 8시간째 일차로 TGF-$\beta$의 형성이 증가 한 후 12 시간째는 오히려 감소하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시 증가하여 2차로 96 시간에 최대 형성을 보였다. 각각 cytokine의 24시간째 생성양은 IL-6의 경우 $1{\times}10^5/mL$의 말초혈액단핵구에서 10 ${\mu}g/mL$의 LPS에 의해서 19.8 ng 이 생성되었고 LPS 자극이 없는 상태의 자연생성능도 3.2 ng이었으며, $1{\times}10^6/mL$의 말초혈액단핵구에 의해서 자연 생성양은 증가하여 24시간째에 0.38 ng/mL, 10명/mL의 농도에서 24시간째 4.1 ng/mL의 TNF-$\alpha$의 생성능을 보였다. TGF-$\beta$의 경우 $2{\times}10^6/mL$의 말초혈액단핵구에 의하여 34.4 pg/mL가 생성되었고 자연생성능은 5.2 pg/mL의 생성농을 보였다. 말초혈액단핵구의 IL-1$\beta$, IL-6, TNF-$\alpha$, TGF-$\beta$ 단백과 m-RNA 발현 IL-1$\beta$, IL-6, TNF-$\alpha$단백은 주로 단구세포에서, TGF-$\beta$ 단백은 단구세포와 림프구에서 발현되었으며, CD14항원 발현과는 상관이 없었다. TNF-$\alpha$, IL-1$\beta$, IL-6, TGF-$\beta$ m-RNA 양성세포는 주로 세포질이 풍부한 것으로 보아 단구세포로 사료되었다. TGF-$\beta$의 경우 단구세포외에도 세포질이 적은 림프구에서도 약하게 양성반응을 보여 링프구에서도 분비될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결 론: 내독소로 말초혈액 단핵구를 자극시 IL-6, TNF-$\alpha$는 조기에 분비되기 시작하며 TGF-$\beta$는 후기에 분비되기 시작하여 96시간까지 지속적으로 분비된다. 주 분비세포는 IL-1$\beta$, IL-6, TNF-$\alpha$의 경우 단구세포가 되며 TGF-$\beta$도 단구세포가 주세포가 되나 림프구도 분비에 관여한다.

  • PDF

결핵균의 약제내성과 말초혈액단핵구의 결핵균 탐식능에 관한 연구 (Phagocytosis of Drug-Resistant Mycobacterium Tuberculosis by Peripheral Blood Monocytes)

  • 박재석;김재열;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470-478
    • /
    • 1997
  • 연구배경 : 세포내 병원균(intracellular pathogen)으로 감염초기에 단핵식세포(mononuclear phagocytes)에 탐식되는데, 독성(virulent) 결핵균주(Erdman, H37Rv)가 약독화(attenuated) 균주(H37Ra)보다 탐식이 더 잘 되며, 이러한 현상으로부터 결핵균의 입장에서 보면 단핵식세포에 탐식이 잘되는 것이 생존 및 증식에 유리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어 왔다. 그리고 난치성 결핵환자에서 분리한 결핵균은 임상적으로 독성이 강하며 대부분에서 다제내성을 보이므로, 약제내성 결핵균여 감수성균에 비해 독성이 강하다는 가정하에 약제내성 결핵균이 감수성균에 비해 단핵식세포에 탐식이 더 잘 되는지, 그리고 난치성 결핵환자에서 분리한 단핵식세포가 정상인에 비해 결핵균을 더 잘 탐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약제내성의 정도에 따라 모든약제에 감수성인 결핵균, Isoniazid와 Rifampicin을 포함한 일부 약제에 내성인 결핵균, 모든 약제에 내성인 결핵균을 각각 $70^{\circ}C$에서 1시간 가열하여 사멸시킨 뒤 부유액을 만들어 10명의 난치성 결핵환자와 12명의 정상인에서 분리한 말초혈액탄핵구 배양액에 첨가하여 탐식시킨 뒤 단핵구의 결핵균을 탐식율을 관찰하였다. 결 과 : 약제내성 결핵균이 감수성균에 비하여 말초혈액단핵구에 탐식이 더 잘되었으며(정상 대조군에서 분리한 말초혈액단핵구의 결핵균 탐식율 : 모든약제 감수성균 : $32.3{\pm}2.9%$, 모든약제 내성균 : $49.6{\pm}3.4%$, p = 0.0022, 난치성 결핵환자군에서 분리한 말초혈액단핵구의 결핵균 탐식율 : 모든약제 감수성균 : $34.9{\pm}3.6%$, 모든약제 내성균 : $50.7{\pm}4.5%$, p = 0.0069), 난치성 결핵환자와 정상인에서 분리한 말초혈액단핵구 사이의 결핵균의 탐식능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약제 내성균이 감수성균보다 단핵식세포에 탐식이 더 잘 되며, 숙주 요인은 결핵균의 탐식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인삼 PD 사포닌으로 배양한 고양이 말초혈액 단핵구세포 배양상층액중의 interleukin 8 양 유주활성 (Interleukin 8-like Chemotactic Activity in the Culture Supernatanl from Felin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Exposed to Ginseng PD Saponin)

  • 양만표;박세헝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0-115
    • /
    • 1998
  • 인삼 PD saponin(GPD)으로 배양한 고양이 말초혈액 단핵구세포(afNC) 배양상충 액에서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PMNC)에 대한 interleukin(IL) 8 양 유주활성에 잔하여 검토 하였다. PMNC의 유주활성은 Hoyden chamber 변법으로 측정하였다. GPD를 첨가하여 배양 한 MNC배양상층액중에는 rMNC에 대한유주활성이 인정되었다. PMNC에 대하여 GPD 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중에 존재하는 유주활성이 IL 8 양 물질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human recombinant IL 8을 이용하여 고양이 PMNC에 대해 유주팔성을 측정한 결과, GPD 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의 경우와 동등한 활성이 나타났다. Human IL 8 mAb를 사용하 여 GPD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중의 유주활성에 대한 중화반응을 살펴본 결과, GPD로 배양잔 MNC 배양상충액 및 human IL 8에 의해 증가되었던 PMNC의 유주활성은 IL 8 cAb의 첨가농토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또한 GPD로 배양한 고양이 MNC 배양상충액중의 유주활성은 열처리(4, 30, 37, 60 및 $100{\circ}C$) 및 산(pH 3.0)과 알카리 (pH 9.0)처리에도 안정성을 보여 human IL 8의 물리화학적 성상과 매우 유사하였다. 따라서 GPD로 배양한 MNC 배양상충액중에 존재하는 고양이 PMNC에 대한 유주활성은 feline IL 8 양 물질임을 강하게 시사하였다.

  • PDF

에탄올이 단핵구의 Prostaglandins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on Prostaglandins Production of Monocytes)

  • 박란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2호
    • /
    • pp.97-103
    • /
    • 1991
  • 에탄올이 면역계의 항원전달세포이며, 동시에 감마인터페론 등의 림포카인에 의해 활성화되면 작동세포의 역활을 하는 단핵구-대식세포의 arachildonic acid 대사의 cyclooxygenasc 경로의 프로스타글라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감마 인터페론으로 전처치하여 활성화시킨 단핵구와 대조군 단핵구를 사용하여 방사면역측정법으로 프로스타글라딘들을 측정하였다. 건강한 성인의 말초혈액으로 Ficoll-Hypaque용액을 이용한 농도구배법과 젤라틴 피복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단핵구를 순수하게 분리한 다음 800단위의 감마 인터페론을 사용하여 3일동안 단핵구를 활성화시켰다. 감마인터페론으로 활성화 시키지 않은 $10^6$개의 단핵구에 100mM,300mM,600mM의 에탄올을 30분간 반응시킨 후 6시간후에 thromboxane B$_2$, PGEB$_2$ 와 6-keto-PGF1$\alpha$ 와 PGE$_2$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생산이 증가하였다. 감마인터페론으로 전처치한 경우에는 알코올 처치에 관계없이 세가지 프로스타글란딘들 모두 6시간과 24시간에서 대조군보다 감소되었다. 이와같은 성적들로 미루어 볼 때 감마인터페론 처치가 에탄올로 유발한 단핵구 arachidonic acid 대사의 변화를 억제한다고 사료된다.

  • PDF

In Vitro에서 개 말초혈액 백혈구의 순간산소과소비현상에 대한 케타민의 효과 (Effect of Ketamine on the Oxidative Burst Activity of Canine Peripheral Blood Leukocytes In Vitro)

  • 김민준;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4권
    • /
    • pp.393-399
    • /
    • 2006
  • 전신마취제인 케타민은 흥분성 아미노산의 활성을 방해하는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의 비경쟁적인 길항제이다. 본 연구는 개 말초혈액 백혈구의 순간산소과소비현상(Oxidative burst activity; OBA)에 있어서 케타민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탐식세포의 OBA는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케타민을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peripheral blood polymorphonuclear cells; PMN)와 monocyte-rich cells에 직접처리 하였을 때는 OBA가 감소하였으며, 또한 케타민을 처리한 말초혈액 단핵구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배양상층액에 의해서도 PMN과 monocyte-rich cells의 OBA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케타민을 처리한 PMN 배양상층액에 의해서는 탐식세포의 OBA에 있어서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OBA의 감소는 latex beads를 넣어 탐식반응이 일어날 때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탐식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케타민은 호중구와 단핵구와 같은 개 말초혈액 탐식구의 OBA에 있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