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말용인도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and Nasalance Score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 장선정;최현주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67-82
    • /
    • 2016
  • 본 연구는 표준문단 읽기 과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동일한 말샘플을 통하여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마비말장애 성인 10명과 일반 성인 16명이었다. 비음치 측정을 위한 과제로는 모음 연장,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 읽기를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표준문단을 사용하여 자음정확도를 측정한 후, 평정자 20명에게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명료도, 말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에서는 마비말장애 성인 집단의 비음치가 일반 성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모음연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자음정확도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가 말명료도와 말용인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말용인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의 상관이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인공와우이식 아동 말용인도의 예측 변인 (Variables for Predicting Speech Acceptability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윤미선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4호
    • /
    • pp.171-179
    • /
    • 2014
  • Purposes: Speech acceptability means the subjective judgement of listeners regarding the naturalness and normality of the spee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dicting variables for speech acceptabilitie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Methods: Twenty seven children with CI participated. They had profound pre-lingual hearing loss without any additional disabilities. The mean of chronological ages was 8;9, and mean of age of implantation was 2;11. Speech samples of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were recorded separately. Twenty college students who were not familiar to the speech of deaf children evaluated the speech acceptabilities using visual analog scale. 1 segmental (articulation) and 6 suprasegmental features (pitch, loudness, quality, resonance, intonation, and speaking rate) of speech were perceptually evaluated by 3 SLP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dicting variables. Results: The means of speech acceptability for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were 73.47 and 71.96, respectively. Speech acceptability of reading was predicated by the severity of intonation and articulation. Speech acceptability of spontaneous speech was predicated by the severity of intonation and loudness. Discussion and conclusion: Severity of intonation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predict the speech acceptabilities of both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A further study would be necessary to generalize the result and to apply this result to intervention in clinical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