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만제유량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f bankfull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generation of bankfull discharge for bed change simulation (만제유량 특성 분석 및 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유량의 배분/생성)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0-70
    • /
    • 2015
  • 하천에서의 수문/수리적 특성은 주수로의 다양한 지형학적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흐름과 수반된 유사량의 변화는 하천의 지형학적, 수리기하적 특성을 지배하며, 하도의 물리적 시스템을 변화시켜 동적 평형에 이르게 된다. 하천에서 하도 형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수리특성은 하도형성유량으로 지배유량이며, 보통 만제유량을 사용한다. Dunne and Leopold(1978)는 만제유량을 유사의 이송, 하천의 사행, 유선형의 변화 등 하천의 일반적인 형태를 변화시키며, 주수로의 특성을 형성하는 유량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수리 지형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만제유량은 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 20개 하천, 27개 수위 관측소의 최소 10년 이상의 실측 자료를 기반으로 다년간의 연평균 실측유량을 산정하였으며, McCandless(2003)가 제시한 지형학적 만제지표를 이용하여 추정한 만제유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만제유량은 HEC-RAS model을 이용하여 만제하폭, 만제수심, 만제 시 평균유속을 산정하였다. 27개 지점의 실측유량과 만제유량의 상관성 분석결과 만제유량은 연평균 일유량의 7.7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제유량을 7일 평균유량(1 week mean discharge)으로 정의하였으며, 수정된 7일 유량과 만제유량의 RMSE는 13.90 m/s, MAPE는 9.94 %로 상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제유량과 만제하폭, 만제수심, 평균유량, 구간경사와 상관성 분석결과 개별적으로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제하폭, 수심, 평균유량과 만제유량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R^2$는 0.911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구간경사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R^2$가 0.914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만제유량은 수리 기하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만제유량을 통해 추정된 연평균 유량($48{\cdot}Q_{bf}$)을 우리나라의 월간 유출량 분포 비율을 이용하여 일유량으로 배분/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일유량을 통해 CCHE2D model을 이용하여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대상 구간은 병성천 최하류로부터 상류로 7 km 구간이며, 2013년 1월과 12월 측량 자료를 통한 1년간의 실제 하상 변동 자료와 2013년 실측 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 및 만제유량에 의해 배분/생성된 일유량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7일 평균 유량으로 정의된 만제유량을 통해 배분/생성된 유량의 수치모의 결과는 실제 측량자료 및 실측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결과와 매우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bankfull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generation of bankfull discharge for bed change simulation (만제유량 특성 분석 및 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유량의 배분/생성)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0-580
    • /
    • 2015
  • 하천에서의 수문/수리적 특성은 주수로의 다양한 지형학적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흐름과 수반된 유사량의 변화는 하천의 지형학적, 수리기하적 특성을 지배하며, 하도의 물리적 시스템을 변화시켜 동적 평형에 이르게 된다. 하천에서 하도 형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수리특성은 하도형성 유량으로 지배유량이며, 보통 만제유량을 사용한다. Dunne and Leopold(1978)는 만제유량을 유사의 이송, 하천의 사행, 유선형의 변화 등 하천의 일반적인 형태를 변화시키며, 주수로의 특성을 형성하는 유량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수리 지형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만제유량은 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 20개 하천, 27개 수위 관측소의 최소 10년 이상의 실측 자료를 기반으로 다년간의 연평균 실측유량을 산정하였으며, McCandless(2003)가 제시한 지형학적 만제지표를 이용하여 추정한 만제유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만제유량은 HEC-RAS model을 이용하여 만제하폭, 만제수심, 만제 시 평균유속을 산정하였다. 27개 지점의 실측유량과 만제유량의 상관성 분석결과 만제유량은 연평균 일유량의 7.7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제유량을 7일 평균유량(1 week mean discharge)으로 정의하였으며, 수정된 7일 유량과 만제유량의 RMSE는 13.90m/s, MAPE는 9.94 %로 상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제유량과 만제하폭, 만제수심, 평균유량, 구간경사와 상관성 분석결과 개별적으로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제하폭, 수심, 평균유량과 만제유량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R^2$는 0.911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구간경사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R^2$가 0.914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만제유량은 수리 기하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만제유량을 통해 추정된 연평균 유량($48{\cdot}Q_{bf}$)을 우리나라의 월간 유출량 분포 비율을 이용하여 일유량으로 배분/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일유량을 통해 CCHE2D model을 이용하여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대상 구간은 병성천 최하류로부터 상류로 7 km 구간이며, 2013년 1월과 12월 측량 자료를 통한 1년간의 실제 하상 변동 자료와 2013년 실측 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모의 결과 및 만제유량에 의해 배분/생성된 일유량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7일 평균 유량으로 정의된 만제유량을 통해 배분/생성된 유량의 수치모의 결과는 실제 측량자료 및 실측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결과와 매우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Streamflow generation for long-term bed change simulation at downstream of the dam using hydraulic geometric characteristic (수리기하학적 특성을 이용한 댐하류 하천의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유량의 생성)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91-29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합천댐 방류량에 영향을 받는 황강을 대상으로 하천의 수리기하학적 분석을 통해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모의유량을 생성하였다. 낙동강 합류부로부터 상류로 3.5 km 구간을 대상으로 실측된 20개 횡단면에 대한 만제지표를 분석하였으며, 각 횡단면의 만제지표를 이용하여 대상구간의 평균 만제유량을 산정하였다. 대상구간의 평균 만제유량은 $177.37m^3/s$로 나타났다. 산정된 만제유량을 이용하여 황강의 연간 총 유출량을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연간 총 유출량은 $8,513.76m^3/s$로 나타났다. 추정된 황강의 연간 총 유출량은 합천댐의 월별 방류량 비를 통해 월별 유출량으로 배분/생성하였다. 생성된 황강의 월별 유출량 비율과 인근의 실측 하천인 낙동강의 월별 유출량 비율을 비교한 결과 국내하천의 일반적인 특성인 몬순강우 사상에 따른 하천의 월별 유출량과 갈수기와 홍수기 전반에 걸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댐하류 하천의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모의유량의 사용성 확인을 위해 2013-2014년에 실측된 1년간의 하상변동 양상과 비교 분석하였다. Case 1 (추정된 연간 총 유출량을 합천댐 방류량 비를 통해 생성한 모의유량)과 case 2 (인근 하천인 낙동강의 유출량 비를 통해 배분된 모의유량)을 이용하여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한 결과 case 1에서 실측 하상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댐하류 하천의 장기하상변동 모의는 일반적인 국내의 강우사상에 따른 하상변동 분석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류에 위치한 댐 방류량을 고려한 하상변동 분석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f Channel-forming Discharge for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Design of Cheongmi Stream (청미천 구하도 복원 설계를 위한 하도형성유량 산정)

  • Ji, Un;Kang, Jun-Gu;Yeo, Woon-Kwang;Han, Seung-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12
    • /
    • pp.1113-1124
    • /
    • 2009
  •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is one of methods to enhance the environmental function and ecological habitat as well as the functions of water-utilization and flood control. The channel-forming or dominant discharge must be evaluated and defined to design the cross-sectional and plane geometries of the stable and equilibrium channel for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project. In general, bankfull discharge, specified recurrence interval discharge, and effective discharge have been used to decide the channel-forming discharge. In this study, bankfull discharge, specified recurrence interval discharge, and effective discharge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for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site of Cheongmi Stream and their relations to historical bed changes were analyzed. The bankfull discharge, 488 $m^3/s$, of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site of Cheongmi Stream was calculated using HEC-RAS data and ranged between 1.5-year and 2-year recurrence discharges. Also, the effective discharge evaluated with the sediment rating curve and mean daily discharge data is greater than the bankfull discharge. According to the survey data of 1994 and 2008, the bed elevation of the study reach was decreased over time. It is indicated that the channel bed is changing to the stable condition to allow the effective discharge.

Channel-forming Discharge Evaluation for Rivers with High Coefficients of River Regime (하상계수가 큰 하천의 하도형성유량 산정)

  • Ji, Un;Jang, Eun Kyung;Yeo, Woon Kwa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4B
    • /
    • pp.361-367
    • /
    • 2011
  • The channel-forming discharge, which is a standard and single flow for the river maintenance and restoration project, should be estimated necessarily in the stable channel design. It is difficult to produce the specific pattern for the channel-forming discharge in the domestic rivers due to the insufficient researches and case studies. Also, it is improper to adopt the foreign cases for the domestic rivers and streams which have the high coefficients of river regime. Therefore, the channel-forming discharge possible to use for rivers with high coefficients of river regime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rough analyzing the bankfull, specified recurrence interval, and effective discharges of Mangyeong River, Cheongmi Stream, and Hampyeong Stream for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project. The bankfull discharge was calculated with geometric data using the HEC-RAS modeling and the flow, bed materials, and sediment data for the study reaches were used to estimate the specified recurrence interval and effective discharges. As a result for calculating the channel-forming discharge, the effective discharge was greater than the bankfull discharge in the river with high coefficient of river regime and the effective discharge was greater than the bankfull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oefficient of river reg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ed recurrence interval discharges.

Channel-forming discharge calculation and stable channel section evaluation for downstream reach of Yeongju dam in Naesung stream (내성천의 영주댐 하류 구간의 하도형성유량 산정 및 안정하도 단면 평가)

  • Jang, Eun-Kyung;Ahn, Myeonghui;Ji, 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3
    • /
    • pp.183-193
    • /
    • 2018
  • Channel-forming discharge for downstream section of Yeongju dam in Naesung stream was calculated to analyze stable channel geometry. Determined channel-forming discharge was applied to design stable channel slope, depth, and base width at Yonghyeol station. Used data for channel-forming discharge and stable channel analysis were collected in downstream section of Yeongju dam in Naesung stream before the dam construction. Specified recurrence interval discharge, effective discharge, and bankfull discharge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decide final channel-forming discharge which was $260m^3/s$ of bankfull discharge. Stable channel analysis and design program was applied to predict stable channel section of width, depth, and slope with various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of Ackers and White, Brownlie, Engelund and Hansen, and Yang's equations. As a result, all equations of sediment transport produced milder slopes compared to current bed slope of 0.00177 and Ackers and White equation presented the most similar flow depth of current section with the design constraint of current channel width.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GSTAR-1D to the Riverbed-Level Variation in the Geum River (GSTAR-1D 모형의 금강 하상변동예측 적용성에 관한 연구)

  • Chung, Sung-Young;Park, Bong-Ji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11-161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the riverbed profile changes downstream of Daecheong re-regulation dam from 1988 to 2001, to evaluate the model's applicability and to predict a long-term riverbed-level variation between 2002 and 2017. As a result of simulation 14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provided by GSTAR-1D, it was found that Acker's & White formula was the most stable relatively. The interval used to calculate its stability was 7 days for bankful discharge$(1,000m^2/s)$, 3 days for daily maximum flow$(4,273m^2/s)$, 1 day for hourly maximum flow$(7,605m^2/s)$ and minimum flow$(8.5m^2/s)$. The simulation results of river bed change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to its measure data from 1988 to 2001. It was showed that there was the degradation for a section between Daecheong re-regulation dam and Maepo water stage gage station due to bed-material, and the degradation for a reach between Maepo and Gongju water stage gage station due to massive aggregate collection. Also, as a result of simulating the river profile change for 2002 to 2017, it was predicted that the section between Daecheong re-regulation dam and Geumnam Bridge would remain as the present profile and the reach between Maepo and Gongju water stage gage station would have some degradations in several parts, which would be stable as a whole unless it was due to artificial river profile change.

  • PDF

Bed Changes downstream the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Han River Estuary - from 2009 to 2010 (한강 하구 신곡수중보 하류에서 하상변동 - 2009년부터 2010년까지)

  • Hwang, Seung-Yong;Lee, Sam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6
    • /
    • pp.819-829
    • /
    • 2018
  • The bed change survey was carried out and its tendency was analyzed at the downstream of the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Han River Estuary (HRE). In order to focus on the bed change in the low flow channel, we calculated the mean bed elevation based on the bankfull discharge. Thanks to the amount of bed changes calculated by using the 'averaged bed', we could compare the riverbeds of various periods with consistent criteria. In the HRE, revealed was the bed change cycle between degradation by flood and aggradation by tide at the non-flood season.

HEC-6를 이용한 하상변동 모의 방법

  • 우효섭;유권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02b
    • /
    • pp.95-133
    • /
    • 1995
  • 1) 하천 종횡단 자료, 유사량 자료, 수문 자료 등을 입력하여 하상변동을 모의하는 소하천은 지류(tributary)라 하고, 단순히 유량의 유입 또는 자료만을 입력하는 소하천, 첩수로, 배수로, 취수구 등은 국소 유입점이라 하여 구분함. 2) 각 행이 필수적(required)으로 필요한가 선택적(optional)으로 필요한가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1필수 : 반드시 필요하며 빠질 경우 실행되지 않음, 2선택 : 필요할 때만 입력하면 되며 없어도 무방, 3한번필수 : 반복적으로 수행 또는 입력하는 경우, 처음 수행시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다음부터는 입력값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만 입력하는 경우, 4특수선택 : 특별한 경우를 모의하고자 할 경우만 선택. 3) HEC-6는 조도계수를 지정된 단면의 상류에 적용하나 HEC-2는 그 단면의 상하류에 적용한다. 그러나 그 결과는 어느 방법이나 거의 일치한다. 4) 우리나라의 하천과 HEC-6모형이 개발된 미국의 하천이 다름을 유의 하여야 한다. 여기서 제방이라함은 우리나라와 같이 인공제방이 축조된 곳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미국의 서부 건조지역을 흐르는 하천과 같이 유량 변화가 거의 없는 하천에 하도의 양쪽에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연제방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만제 유량의 개념도 원래 모형에서 제시된 의미와는 달리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89)의 연구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유사량 공식에 따라 계산된 유사량이 큰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유사량 공식을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대상하천의 상황에 적합한 공식을 선정하는데 상당히 신중을 기해야 한다.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한 교육을 위한 교재, 교구의 개

  • PDF

A Study on Carrying Capacity for Floodplain (홍수(洪水)터의 통수능(通水能)에 관한 연구(研究))

  • Ahn, Sang Jin;Lee, Jai Ky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7 no.1
    • /
    • pp.121-129
    • /
    • 1987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s in the floodplai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carrying capacity in stream cross-section,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the floodplain management. The conclusion are as follows, It has been found that the return period of bankfull discharge is about 1 to 2.5 years in Geum river system and the factors which have most important effects in the floodplain are the $Q_{100}$, the drainage area and the stream length. In Gong ju gauging station which has a recreation area, the carrying capacity is smaller than those of the other self-recording gauging station in Geum river basin. This shows that the complex cross-section of strea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arrying capacity in floodpl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