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만성 담마진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심인성 소양증환자와 만성 담마진환자의 스트레스지각과 통제소재 및 우울증상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Stress Perception, Locus of Control and Depressive Symptom of The Patients with Psychological Pruritis and Chronic Urticaria)

  • 이영호;고대관;한기석;정영조;김용상;임성춘;남기흠;김중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3권2호
    • /
    • pp.126-138
    • /
    • 1995
  • For investigating a disease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 in various dermatological disorders, we tried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correlation among stress perception, locus of control as a coping strategy, depressive symptoms and pruritic symptoms in the patients with psychological pruritis and chronic urticaria.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32 patients with psychol-ogical pruritis and 67 patients with chronic urticaria(subject group), and 25 patients with organic pruritis and 59 patient with major depression(control group). Global assesment of recent stress scale(GARS), I-E locus of control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medical college of wisconsin center pain follow up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sses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depressive symptom in patients with psychological pruritis, chronic urticaria, and major depression but not hi organic pruritis. 2) In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depressive symptom, patients with psychological pruritis, organic pruritis, and major depression except chronic ruticaria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3) For intensity and pattern of pruritis,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 with depressive symptom and stress perception only in patients with chronic urticaria. Above results indicate that stress perception and locus of contorl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and dermatological symptoms in psychological pruitis and chronic urticaria. But the mechanisms of these processes are different in either disorder.

  • PDF

청소년 정신과 입원 환자들의 피부과 자문 의뢰에 관한 행태 분석 및 고찰 (Review of Psychiatric Adolescent Inpatient with Dermatologic Consultations)

  • 권현정;조현영;김영일;박경덕;정현;박준수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1호
    • /
    • pp.20-25
    • /
    • 2015
  • 연구목적 정신신체의학의 발전으로 최근에는 모든 신체적 질환에 대해 생물정신사회적 접근을 추구하고 있다. 그 중 피부과 영역에서는 원형탈모증, 아토피 피부염, 발모벽, 인공 피부염, 다한증, 만성 담마진, 건선, 심상성 좌창 등의 질환과 정신과적 질환과의 연관성이 특히 강조되며, 정신 피부질환(Psychocutaneous disease)이라는 명칭이 사용되나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하다. 청소년기는 2차 성징으로 인해 많은 피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자아상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청소년의 피부질환에 대한 적절한 중재 및 치료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이에 저자들은 정신과 청소년 환자들의 피부과적 질환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정신과에서 피부과로 자문 의뢰되는 청소년 환자들의 자문의뢰의 행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대학병원에서 정신과에 입원중인 청소년 환자 중 피부과에 의뢰된 22명의 환자와 타과에서 의뢰된 10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령별 및 성별 분포, 자문율, 이환된 피부질환, 자문이유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정신과 입원 환자 중 피부과로 자문 의뢰된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15.9세로 관찰되었으며,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1:1.44로 관찰되었다. 정신과에서 의뢰된 청소년 환자들의 진단의 경우 정신과적으로는 기분장애(59.1%), 피부과적으로는 여드름(40.9%)이 가장 많았다. 타과 청소년에 비해 정신과 청소년 환자의 피부과로의 자문율이 유의하게 높았고(11.8% vs. 1.5%), 환자의 요청에 의해 자문이 의뢰되는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9.9% vs. 16.7%). 결 론 다양한 정신병리적인 문제와 피부과적 질환이 연관되어 환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피부과에서는 환자의 거부나 의사의 항정신약물 사용 시작에 불편감을 이유로 질환 치료가 지연될 수 있고, 정신과에서는 피부 문제를 경미한 증상으로 생각하여 간과할 수 있으므로, 두 과 간의 적절한 정보 교환 및 협진 체계를 마련하여 생물정신사회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