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만성관절염 환자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6초

미국 노인층 관절염 환자들의 성생활: 면담을 위한 질문서 개발 (Sexuality of Older Adults With Arthritis : The Development of an Interview Schedule)

  • 강대혁;로우랜드 오로라;밀러 패트리시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6-38
    • /
    • 2000
  •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을 주요 목적이자 치료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이 그 활동 중의 하나인 성적 욕구의 표현(sexual expression)에 대해 체계적인 접근이 미진하다는 지적을 극복 하고자 본 연구가 계획되었다. 특히 만성 장애가 있는 65세 이상 연령층의 성생활에 대해 기술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고안하는 것은 상당한 임상적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관절염이 65세 이상의 미국인의 성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에 대한 논의를 작업치료사의 입장에서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한 질문내용을 고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자들은 광범위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7개항의 질문을 작성하여 10명의 노인학 전공 작업치료사들에게 비평을 의뢰하였다. 7명의 작업치료사들이 전문가로서의 세밀한 답변을 해주었고 그들은 공통적으로 일상생활 중의 하나인 성생활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강조하였다. 이들 전문가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새로운 질문서가 완성되었다.

  • PDF

대흉근판 전이술을 이용한 흉쇄골 관절염의 치료 (Pectoral Advancement Flap for the Treatment of Sternoclavicular Joint Infection)

  • 배지훈;박기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799-802
    • /
    • 2008
  • 흉쇄골관절은 전신의 골관절염 중 매우 드물게 이환되는 부위로 주로 마약 중독자, 당뇨병, 만성 신부전, 폐혈증 환자, 및 중심 정맥 혈관 삽입 후에 주로 나타난다. 초기에는 항생제 치료, 단순 절제 및 배농술 등의 방법으로 치유될 수 있으나, 치료 시기를 놓치면 골수염으로 진행되어 광범위 절제가 필요하다. 그러나 재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원 흉부외과에서는 혈류를 유지한 대흉근판을 빈공간에 메워 넣어 재발 가능성을 줄여보고자 하였다. 골수염을 동반한 흉쇄골 관절염 환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만성관절염 환자의 주관적 피로와 영향 요인 (Subjective Fatigu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Patients having Chronic Arthritis)

  • 임난영;이은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3-84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atigu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patients having chronic arthrit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patients who visited a Rheumatis Center of H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Aug. 9, 1997 to Feb. 5, 1998. For analysing data, SPSS/Win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Lisrel 8.0 was for path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1. Mean score of subjective fatigue was 5.36 and it means moderate degree of fatigue. 2. Fatigu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in & depression, and it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ADL & self efficacy. 3. Fatigue was influenced by pain and depression. and was not influenced by ADL and self efficacy directly. But ADL and self efficacy influenced on fatigue through pain and depression indirectly. According to this findings.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f fatigue were pain and depress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for relieving pain and depression would be needed.

  • PDF

단기 자조관리교육이 만성관절염 환자의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rt Term Selp-help Education on Pain, Depress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Chronic Arthritis)

  • 임난영;이은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49-26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short term selp-help education on pain, depress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chronic arthritis.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3 hrs per week for 4 weeks by 3 small groups among 10 patients. Research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0 of experimental group and 10 of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4 weeks program,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depression, pain, ADL were measur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e self-help education was effective to increase quality of life, but self-efficacy, depression, pain, ADL were not improved. This suggests the replicate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help education with the large samples of subjects having chronic arthritis.

  • PDF

만성 관절염 환자의 대응양상에 따른 통증, 우울 및 삶의 질 (The Study of Pa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oping Strategy in Chronic Arthritis Patients)

  • 양혜주;박정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3-221
    • /
    • 200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in the level of pa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by coping strategy in the chronic arthritis patients. Method: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90 chronic arthritis patients undergoing treatment at a university hospital in Daegu city from June 10, 2000 to July 15, 2000. The instruments of study were coping strategy scale by Jeon(1985), pain scale by Lee and Song(1987), depression scale by Radloff(1977) and quality of life scale by Cho(1987). Data analysis was done by SPSS Win 10.0 program and Pearson correlation, t-test, Cronbach's-${\alpha}$ were used.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tem mean score of pain for chronic arthritis patient was 6.54. The item mean score of depression for chronic arthritis patient was 2.18. The item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for chronic arthritis patient was 5.69. 2. The chronic arthritis patients with problem-focused coping experienced pain higher than those with emotion-focused coping(t=o.400, p=o.o45). The chronic arthritis patients with emotion-focused coping experienced depression higher than those with problem-focused coping(t=-2.564, p=0.012). The chronic arthritis patients with problem-focused coping experienced quality of life higher than emotion-focused coping(t=-1.682, p=0.046).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ny coping strategy can control the arthritis patient's problem. Therfore, The development of a coping strategy to reduce pain and depress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chronic arthritis patient will be needed.

  • PDF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에서 관절경적 치료 후 결과 (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in Acute Pyogenic Arthritis of the Knee)

  • 이정환;윤경호;배대경;김정원;박수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3-57
    • /
    • 2008
  • 목적: 슬관절에 발생한 급성 화농성 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후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7월에서 2005년 1월까지 16예(15명)의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한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61.9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0.5개월이었다. 당뇨병이나 퇴행성 관절염 등의 기존 질환이 있었던 경우가 8예 였으며 과거력상 슬관절에 침을 맞거나 관절내 주사를 시행 받은 경우가 14예였다. 결과: 원인균의 동정이 가능했던 예는 7예(43.8%)였다. 술 후 정맥 내 항생제를 평균 25.5일 사용하였으며 경구 항생제를 평균 22.5일 사용하였다. 슬관절 강직 5예, 이차성 관절염 2예, 슬관절 주위 만성 골수염 1예, 사망 3예 등 총 11예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수술 후 3주 이상 부목 고정을 시행한 경우 슬관절 강직이 유의하게 많았으나(p=0.032) 증상 발현 후 1 주일을 기준으로 치료까지의 기간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93). 배양 검사 상 원인균이 동정된 경우 더 많은 합병증이 발생하였다(p=0.034). 결론: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후 관절 강직의 발생 빈도와 고정 기간과 상관 관계가 있었다. 합병증 발생 빈도는 증상 후 치료까지의 기간과는 연관이 없었으나 원인균의 동정된 여부와는 연관이 있었다.

  • PDF

농촌지역(農村地域) 주민(住民)의 만성퇴행성질환(慢性退行性疾患) 유병률(有病率) 및 이용의료기관(利用醫療機關) (The Prevalence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and Utilization of Medical Facility in Rural Population)

  • 안길수;천병렬;예민해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1권2호
    • /
    • pp.209-220
    • /
    • 1996
  • 경상북도 문경시지역 중 9개 읍면에 거주하는 30세이상 주민 28.883명을 대상으로 1993년 10월 1일부터 1994년 2월 28일까지 건강면접조사한 자료중 5,797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만성퇴행성질환 유병률과 이용의료기관실태를 분석하였다. 인당유병률은 1,000명 당 336이었고 남녀별로는 남자는 278, 여자는 388이었다. 건당유병률은 367이었으며 남자 300, 여자 425였다. 건당유병률은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연령별 인당 유병률은 30대는 106, 40대 223, 50대 366, 60대 407, 70세 이상 457로서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유병률도 증가하였다. 만성퇴행성질환 건당유병률 1위는 신경통(128), 2위 만성위염(64), 3위 관절염(54), 4위 고혈압(44), 5위 당뇨(14) 순이었다. 남자는 1위가 신경통, 2위 위염, 3위 관절염, 4위 고혈압, 5이 천식이었고, 여자는 1위 신경통, 2위 관절염, 3위 위염, 4위 고혈압, 5위 당뇨였다. 신경통, 관절염, 고혈압 등의 질환은 남자보다 여자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주풍(뇌졸증), 결핵, 간경화증 등의 유병률은 여자보다 남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만성퇴행성질환자의 이용의료기관은 최초에는 병 의원 이용율이 높았고, 최종 또는 현재는 보건(지)소, 의원 및 보건진료소를 많이 이용하였다. 질병별로는 신경통, 관절염 천식은 최초에는 의원을, 최종 또는 현재는 보건(지)소, 조건진료소를 많이 이용하였다. 고혈압과 결핵은 최초, 최종 모두 보건(지)소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당뇨, 중풍, 암, 심부전증, 간 경화증, 신부전증은 병원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 PDF

관절경적 전방 견봉 성형술을 이용한 만성 견관절 충돌 증후군의 치료 (Arthroscopic Anterior Acromioplasty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Impingement Syndrome of the Shoulder)

  • 박태수;김재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3
    • /
    • 2000
  • 목적 :. 만성 견관절 충돌증후군에 대한 수술적 치료로서 사용한 관절경적 전방 견봉 성형술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7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만성 견관절 충돌증후군 환자 중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관절경을 이용하여 전방 견봉 성형술을 시행한 26명의 환자, 27례의 견관절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한 퇴행성 관절염 회전근 개 전층 파열 및 견관절 비출구 충돌증후군 (nonoutlet impingement) 등은 모두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년 3개월(범위, 1년 7개월-3년 11개월)이었다. 임상적인 결과 판정은 UCLA 견관절 평가지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 27례 중 23례$(85.2\%)$에서 매우 우수 또는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4례$(14.8\%)$에서 양호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27례 중 26례$(96.3\%)$에서 주관적인 만족을 나타내었고, 1례 $(3.7\%)$에서 불만족을 나타내었으며 이 경우 Parkinson 증후군과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및 제 5-6번 경추의 척추 협착증이 동반된 환자였다. 결론 : 관절경적 전방 견봉 성형술은 특히 술전 동통의 정도가 술후 현저히 개선되는 등 증상 완화에 우수한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 만성 견관절 충돌증후군의 효율적 치료법이지만, 견관절 및 그 주위의 병변이나 전신 질환 등이 동반될 경우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PDF

관절강내 Steroid injection에 호전되지 않은 DM을 가진 OA환자에 대한 봉독요법 치험1례 (A Case Report on Bee Venom Acupuncture for Patient with Osteo-Arthritis of Knee Joint, Diabetic Mellitus, and No Response for Steroid Injection)

  • 한순현;윤유석;김성수;정원석
    • 대한추나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28
    • /
    • 2003
  • 관절염에 대한 스테로이드의 관절강내 주사는 전신적인 부작용 등의 위험성이 적으면서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비교적 양호한 항염효과를 얻을 수 있어 단일관절의 RA 또는 퇴행성 관절염에서 활액막의 염증증상이 있을 때 또는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비교적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스테로이드요법은 여러가지 만성 질환에서 과도한 염증이나 면역반응 자체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부수되는 이차적 증상만을 완화시켜 주기 때문에 장기간의 스테로이드제 투여는 절병의 경과를 교정 하거나 변화시키지 못하고 예후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또한 심각한 여러 부작용들을 야기할 수도 있다. 저자는 스테로이드 관절강내 주사에 호전되지 않은 부종과 통증을 주소로 하는 슬관절염 환자에 대해, 피하 봉독요법으로 양호한 효과를 얻었으며, 또한 기존에 알려져 있는 것처럼 당뇨병환자에게서 봉독요법이 혈당치를 지속적으로 높인다는 주장에 대해 다른 결과를 경험하였으므로 문헌조사와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만성 관절염 환자의 통증과 자기간호행위 관련요인 (A Survey on Pain and Self-Care Behavior of Patients with Chronic Arthritis)

  • 송경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6-213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pain and self-care behaviors and identify related variables in patients with chronic arthritis. Method: One hundred fifty patients with arthritis were recruited from two university based arthritis centers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to analyze the responses to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of the study. Result: Most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pain and the intensity of the pain was moder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diagnosis, duration of illness, number of affected joint, and use of complementary therapy. Self-care behavior scores were moderately high. The highest practice was for 'regular visits to the hospital', and the lowest for 'applying physical therapy at home'. The mean self-care behavior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and educational level. Pain scores showed no correlation with self-care behavior. Conclusion: Developing self-management programs for patients with chronic arthritis should focus on self-care skills which are applicable in the relief of pain and enhancement of knowledge. The skills are recommended not only for better health practices but also for enhancing the level of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