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만경강

Search Result 23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n Tributaries of Mankyeong River Watershed (만경강 유역내 하천의 특성별 영향 평가)

  • Yun, Sun-Gang;Lee, Jong-Sik;Jung, Goo-Bok;Kim, Min-Kyeong;Kim, Seon-Jong;Koh, Mun-Hwan;Eom, Ki-Cheo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1 no.4
    • /
    • pp.237-242
    • /
    • 2002
  • A survey on four tributaries along with Mankyeong River was carried out to get the information fa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control. Typical paddy farming were major agricultural practices in Kosancheon and Soyangcheon. Iksancheon was livestock raising watershed. Chucheon was urban watershed. Water quality in six sites of main stream and four sites of tributaries in Mankyeong River were investigated from May to August in 2001.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in main stream of Mankyeong River were in the range of 3.78$\sim$12.68 mg/L for total nitrogen, 0.043$\sim$0.864 mg/L for total phosphorus, 2.59$\sim$13.29 mg/L for BOD and 12.9$\sim$119.5 mg/L for COD, respectively. Water quality of Mankyeong River mostly exceeded the standard water quality criteria of Korea. Major causes of water pollution were evaluated as sewage of swine and urban area. Among the four tributaries, water quality in agricultural practices, Kosancheon and Soyangcheon was relatively less polluted. While, the highest level of water pollution measured in Iksancheon was due to livestock. The water quality of Iksancheon and Chucheon was generally more polluted in the dry period than in rainy period.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Endangered Fish Pseudopungtungia nigra (Cyprinidae) from the Geum and Mankyung Rivers Assessed by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금강과 만경강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어류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의 AFLP에 의한 유전 다양성 및 집단구조)

  • Kim, Keun-Sik;Yun, Young-Eun;Kang, Eon-Jong;Yang, Sang-Geun;Bang, In-Chul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1 no.2
    • /
    • pp.76-80
    • /
    • 2009
  •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structure within the Geum River and Mankyung River populations of the Korean endangered Black shinner (Pseudopungtungia nigra) were assessed by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AFLP analysis using five primer combinations generated 447 AFLP bands with 64.1% polymorphism (Geum River 74.6% and Mankyung River 53.6%). The heterozygosities within the two populations were calculated to be 0.170 and 0.104, respectively. Their average genetic diversities are 0.240 and 0.147, respectively. The pairwise Fst value (0.150) indicated distinct genetic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wo populations. A UPGMA dendrogram based on genetic distance among the individuals revealed a division corresponding to geographical regions, with low genetic variation within the Mankyung River population, and low genetic distance (0.026) between the two populations. Consequently, the two populations may have the same genetic origin The Geum River population will be more suitable than the Mankyung River population for conservation plans to increase the population sizes. Genetic and habitat management will be necessary for the Mankyung River population.

Applicability of WRF-HYDRO model for real flood event of Mangyeong-river watershed (만경강 유역의 실제 홍수 사상을 이용한 WRF-HYDRO 모형의 적용성 검토)

  • So, Byung-Jin;Ryou, Min-Suk;Ban, Woo-Sik;Lee, Joo Heo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04-204
    • /
    • 2017
  • WRF 모형은 실제 자연에서 나타나는 대기 현상의 원인을 물리적 동적 방정식들의 항으로 표현한 수치예보모형으로 전세계의 상업적 비상업적인 수치예보모형 안에서 성능이 뛰어나다고 평가되어지고 있다. WRF 모형은 오픈소스 기반의 비상업적 모형으로 사용 및 수정이 자유로운 특징이 있으며, 위성 및 레이더와 같은 고도화된 다양한 기상관측자료를 입력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RF-HYDRO 모형은 WRF 모형이 갖는 공간적인 저해상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격자를 구축할 수 있으며 유출량과 수문 변량을 추정할 수 있는 추적 모형을 추가하여 수문학적 예측 능력을 향상하고자 개발되었다. 기존 모형과의 차별성으로는 기상인자로 인하여 도출된 지표면의 수문인자들이 시간의 변동에 따라서 다음 시간의 기상인자에 영향을 미치는 피드백 구조로 구성되어 기상과 지표면이 양방향으로 연결되는 특징이 있다. 기존 모형에 비하여 향상된 구조적인 특징은 수문학적 순환과정을 자연스럽게 재현함으로서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유역의 실제 유출 사상에 대하여 WRF-HYDRO 모형을 적용하고, 홍수통제소 관할 만경강 유역내 수문 관측소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WRF-HYDRO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수문 관측소를 통한 검토 결과를 기반으로 WRF-HYDRO 모형에서 제시된 수문-기상 정보를 통하여 만경강 유역의 홍수 사상의 발생 과정에 대한 추적 및 미계측 변량의 추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Ecotope Diversity Transition Analysis in the Middle of Mankyung River (만경강 중류 에코톱다양성 추이분석 연구)

  • Kim, Woo Ram;Kim, Ji Sung;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80-480
    • /
    • 2016
  • 에코톱은 생태학적 지휘체계(Niche)와 서식처(Habitat)가 결합된 환경을 의미하며 도면에서 최소한의 단위로 일반적인 구성요소의 상태, 잠재자연식생, 잠재생태계 기능으로 균일하게 분류가 가능한 요소로서 천이단계 또는 토지이용이 서로 다른 패치들로 이루진 생태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코톱과 비오톱은 식물과 동물의 특정 군집에 요구되는 서식공간의 개념에서는 의미가 같지만 비오톱은 서식공간의 일부분 또는 한 개 이상의 생물이 서식가능한 공간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현재 네덜란드, 스페인을 포함한 유럽국가에서는 에코톱분류를 통한 하천을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중류 소양천 합류점에서 전주천 합류점까지 약 3.5km 구간의 제외지포함 제내지 1km 폭을 대상으로 1918년 고지도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1948년 해방이전 항공사진, 2003년 2014년 항공사진을 활용한 에코톱을 분류하여 이에 대한 에코톱 다양성지수를 추이분석하여 하천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별 에코톱다양성지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제방축조 이전인 1918년 에코톱 다양성 지수는 하천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안정적으로 감소하였으나 1948년 이후의 하천은 제내지에서부터 지수값이 급격히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948년 이후의 만경강은 과거 1918년 하천에 비해 구하도 공간이 농경지 증가, 보설치 등으로 인한 인위적 교란에 의한 감소로 분석되어지며 에코톱다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생물종다양성 역시 감소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 PDF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만경강 지역 조류군집의 특성과 관리 방안)

  • Lee, Woo-Shin;Park, Chan-Ryul;Rhim, Shin-Jae;Hur, Wee-Hae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5 no.3 s.107
    • /
    • pp.131-13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t types in Mangyeong River area from Aug. 1999 to Jun. 2000. Paddy field was the most dominant land use type. Water area, mudflat, shrub field, urban area and green house were also dominant land use types in study area. Eighty-eight bird species were recorded during study period. Maximum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shown as 58 species and 7,084 individuals in Oct. and Jan., respectively. There were low number of diving ducks and clumped pattern of waterfowl distribution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Dabbling ducks distributed at upper reaches near Samrye Bridge, and plovers and sandpipers at lower reaches near estuary. Those results suggest that creation of pools over one meter water-depth and restoration of paddy field into riparian zone with diverse shrub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bird diversity in the Mangyeong rived.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만경강 지역 조류군집의 특성과 관리 방안)

  • 이우신;박찬열;임신재;허위행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5 no.2
    • /
    • pp.61-6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 types in Mangyeong River area from Aug. 1999 to Jun. 2000. Paddy field was the most dominant land use type. Water area, mudiflat. shrub field, urban area and green house wee also dominant land use types in study area Eighty-eight bird species were recorded during study period. Maxiamum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shown as 58 species and 7,084 individuals in Oct. and Jan. respecitvely. There were low number of diving ducks and clumped pattem of waterfowl distribution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Dabbing ducks distributed at upper reaches near Samrye Bridge, and plovers and sandpipers at lower reaches near estuary. Those results suggest that creation of pools over one meter water-depth and restoration of paddy field freld into riparian zone with diverse shrubs are required to imcrease th bird diversity in the Mangyeong rived.

Seasonal Variation in Water Quality of Mankyeong River and Groundwater at Controlled Horticulture Region (만경강과 그 인근 시설재배지 지하수의 시기별 수질변화)

  • Lee, Kyeong-Bo;Lee, Deog-Bae;Kang, Jong-Gook;Kim, Jae-Du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2 no.3
    • /
    • pp.223-231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water quality of the river (Mankyeong River) and groundwater in controlled horticulture region from 1994 to 1998. Water quality of Mankyeong River was monitored at 13 sites along main stream for 6 months from April to September from 1994 to 1997. Monthly average concentrations of $NH_4-N$, $SO{_4}^{2-}$ and $Cl^-$ were highest in April, while that of $NO_3-N$ was highest in August. Monthly average concentrations of COD was highest in September Concentrations of $NH_4-N$ and $SO{_4}^{2-}$ in many sites of Mankyeong River exceeded the water quality criteria of agricultural water for irrigation. Water quality of Mankyeong River was not suitable for the irrigation source excepted the sites such as Hari, Gosan and Soyang stream. The floodgates of Mokcheon, Yocheon, Jeonju and Samcheon streams were rapidly polluted by the municipal sewage, otherwise the Iksan stream was rapidly polluted by the sewage of swine. The sum of inorganic ion concentrations in Mankyeong River was highest at floodgate of Yocheon due to the sewages municipal and industrial. The order of the major anions and canons concentration in Mankyeong River- stream were $SO{_4}^{2-}$ > $Cl^-$ > $NO{_3}^-$ > $PO{_4}^{3-}$ and $Na^+$ > $Ca^{2+}$ > $NH{_4}^+$ > $Mg^{2+}$ > $K^+$, respectively. The geoundwater quality at controlled horticulture region was surveyed 4 sites from 1994 to 1998. Concentrations of $NH_4-N$ and $NO_3-N$ were lower at the deeper groundwate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SO{_4}^{2-}$ and $Na^+$, and the groundwater depth below 15m. Contents of $NH_4-N$, $NO_3-N$, $PO{_4}^{3-}$, $SO{_4}^{2-}$, $Na^+$ and $Cl^-$ in groundwater were the highest at dry season. Nitrate-N level, exceeded $20mg\;l^{-1}$, the critical level for agricultural usage, at Yongjinmyeon Wanju and $PO{_4}^{3-}$ concentration were higher at Seogtandong Iksan than the other places.

  • PDF

Depositional processes of Tidal Flat Deposits off Mankyung-Dongjin Rivers West Sea Korea.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과정)

  • 최진용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9 no.1
    • /
    • pp.19-32
    • /
    • 1995
  • 한반도 서해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수직층서 퇴적상 변화를 분석 하여 퇴적과정을 기초해양환경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본 연구해역 저 조선의 퇴적층은 사 질함량이 우세한 반면 방조제와 인접한 만조선의 퇴적층은 실트질이 우세하였고 상층과 하 층의 퇴적물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사질퇴적층의 내부퇴적구조는 괴상구조, 평행층리 및 사층리 구조등이 우세하며 니질퇴적층에서는 모래/니질 교호엽리구조가 우세하다. 본 연구 의 결과 만경강-동진강 조간대 퇴적층서는 인근의 방조제 축조에 다른 퇴적환경 변화에 크 게 영향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즉 방조제축소 이전 고에너지의 퇴적환경에서 집적되었던 사 질퇴적층이 방조제축조 이후에는 저에너지 환경조건에서 집적된 니질퇴적물로 피복된 것으 로 해석된다.

Analysis of Climate Change Impact on Flow Regime Using the 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IHA) in the Mangyoung River Basin (수문변화지표법을 이용한 기후변화가 만경강 유역의 유황에 미치는 영향분석)

  • Hong, IL;Jeung, Se Jin;Kim, Byung Sik;Kim, Ji sung;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62-562
    • /
    • 2015
  • 하천의 유황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하천생태계의 변화를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수문학적인 변화과정을 통계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정량적인 지표로 산정하고 분석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미국 Nature Conservancy에서 개발한 수문변화지표법(IHA)은 일(daily)유출량 자료로부터 수문학적 관점에서의 특성지표와 환경유량 관점에의 변화지표를 분석함으로써 하천 유황변동을 정량화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향후 하천유황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규모 하천유역인 만경강을 대상으로 하고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준분포형 모형인 SLURP 모형으로부터 일(daily)단위의 유출모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수문변화지표법(IHA)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 유황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였다.

  • PDF

Prediction of Influence Range in Saemangeum Reservoir by Floodgate Operation at Upstream (상류제수문 방류조건에 따른 새만금호의 영향범위 예측)

  • Kim, Se Min;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97-30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유역과 호 내의 복잡한 수체 형상, 유입 및 유출 구조를 반영하는데 적합한 모델을 적용하고 재현성이 검토된 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호 내 수질을 모의하였다. 또한 구성한 모형의 결과를 바탕으로 만경강, 동진강의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제수문에서의 방류조건을 가정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방류조건별 모의 결과, M3, D5지점에서 목표수질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만금호 상류부인 M3, D3지점은 방류조건에 따른 수질개선효과가 큰 것으로 예측되어 만경강과 동진강의 유입수의 영향이 지배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량방류시 영향범위를 거리로 살펴보면 만경강대교에서 새만금호 하류방향으로 약 22 km지점, 동진강대교에서 새만금호 하류방향으로 약 15 km지점까지로 나타났다. 농도변화와 방류조건별 영향범위를 살펴보면, 하류측으로 갈수록 수질개선에 영향을 적게 미치지만, 증가된 방류량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어 제수문에서의 방류량 증가는 호 내 수질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