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막오염 제어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embrane fouling control using the high voltage impulse system (고전압 임펄스 장치를 이용한 막오염 제어 연구)

  • Park Su-Ji;Lee Ju-Hun;Chang In-Soung;Kang Sung-Mi;Lee June-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5.05a
    • /
    • pp.272-273
    • /
    • 2005
  • 분리막 기술은 탁월한 처리효율뿐 아니라 안정적으로 용수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용수의 생산을 전통적인 수처리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공정에서 역삼투 공정(Reverse Osmosis) 및 나노여과 (Nanofiltration)와 같은 분리막 기술을 활용하는 공정으로 변환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분리막 공정은 항상 막오염 현상이 문제점으로 지목되고 있기 때문에 막오염 제어 기술의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의 사용에 따른 2차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는 화학약품이나 물리적인 세정이 아닌 고전압 임펄스 (HVI, High Voltage Impulse) 장치를 이용하여 막오염의 근본적인 문제를 제어하려 한다.

  • PDF

하수 처리를 위한 침지형 MBR (Membrane Bio-Reactor)공정에서 공기를 이용한 최적 막 오염 제어

  • Baek, Byeong-Do;Sin, Dong-Hwan;Jang, I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515-516
    • /
    • 2008
  • MBR공정에서 막 오염을 제어하기 위하여 분리막 모듈에 원통형 관을 도입하여 각각 공기공급량과 MLSS농도, 분리막 면적에 따른 막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TMP를 분석하였다. 원통형 관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원통형 관을 사용한 M$_1$과 M$_2$ 경우에 운전 종료 시점이 연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공기공급량과 MLSS농도, 분리막 면적의 변화에 따른 TMP의 변화가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스퍼터링 공정 중 알루미늄 타겟 오염이 알루미늄 산화막 증착에 미치는 영향

  • Lee, Jin-Yeong;Gang, U-Seok;Heo, Min;Lee, Jae-Ok;Song, 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02.2-302.2
    • /
    • 2016
  • 알루미늄 산화막 스퍼터링 공정 중 타겟이 반응성이 있는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되는 타겟 오염은 증착 효율의 감소[1]와 방전기 내 아크 발생을 촉진[2]하여 이를 억제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산화막 증착 공정 중 타겟 오염 현상이 기판에 증착된 알루미늄 산화막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에는 알루미늄 타겟이 설치된 6 인치 웨이퍼용 직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를 활용하였다. 위 장치에서 공정 변수 제어를 통해 타겟 오염 현상의 진행 속도를 제어하였다. 공정 중 타겟 오염 현상을 타겟 표면 알루미나 형성에 따른 전압 강하로 관찰하였고 타겟 오염에 의한 플라즈마 변화를 원자방출분광법을 통해 관찰하였다. 이 때 기판에 증착 된 알루미나 박막의 화학적 결합 특성을 XPS depth로 측정하였으며, 알루미나 박막의 두께를 TEM을 통해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타겟 오염 발생에 의해 공정 중 인가 전압 감소와 타겟 오염에 소모된 산소 신호의 감소가 타겟 오염 정도에 따라 변동되었다. 또한 공정 중 타겟 오염 정도가 클수록 기판에 증착한 막과 실리콘 웨이퍼 사이에 산소와 실로콘 웨이퍼의 화합물인 산화규소 계면의 형성 증가됨을 확인했다. 위 현상은 타겟 오염 과정 중 발생하는 방전기 내 산소 분압 변화와 막 증착 속도 변화가 산소의 실리콘 웨이퍼로의 확산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되었다. 위 결과를 통해 스퍼터링 공정 중 타겟 오염 현상이 기판에 증착 된 알루미나 막 및 계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PDF

상수처리에서 유기,무기물이 한외 여과막 오염에 미치는 영향

  • 오중교;이태진;이용택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62-63
    • /
    • 1996
  • 상수처리 시스템엣의 분리막의 적용시 효과적인 공정운영을 위해 여러가지 운전조건이 있으나 막내에 축적되는 막오염이 주요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막오염은 막 표면이나 세공에서 물질의 흡착, 부착 및 축적등과 같은 일련의 메카니즘에 의해 물의 유속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며 분리막 공정에서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줄 수 있으므로 막오염을 조절할수 있는 인자들의 제어는 실플랜트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분리막을 이용한 상수처리 시스템에서의 운전 조건들은 온도, 압력, 선속도, pH등이 있으며 안정적이며 경제적인 투과 flux를 위해서는 실험실적 규모를 통해 최적 조건을 선정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막오염을 제어하고 최적 운전조건을 선정하기 위해 상수원수로 호소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리라 생각되는 humic acid와 무리물질인 kaolin을 모사용액으로 제조하여 막오염과 운전조건과의 상호작용을 cake 저항, 비저항 값으로 측정하여 장기간의 field test에 필요한 최적 운전조건을 선정해 주었다.

  • PDF

Effects of Protein Denaturation on Permeate Flux Decline in Microfiltration (정밀여과에서 단백질 변성이 막투과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염경호;김민정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4b
    • /
    • pp.45-47
    • /
    • 1997
  • 정밀여과 및 한외여과에 의해 단백질 등과 같은 거대분자 물질을 분리정제할 경우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은 막에 의해 분리된 거대부자들이 막표면에 쌓이는 농도분극(concentration polarization)현상과 이 누적된 거대분자가 막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막표면 또는 막세공 내에 비가역적으로 침적되는 막오염(membrane fouling)현상이 일어난다는 점이다. 특히 막표면 또는 막세공 내에 분리대상 물질이 비가역적으로 침적되어 발생되는 막오염은 상대적으로 가역적 침적 과정인 농도분극보다 제어 또는 억제가 어려워 최근의 막분리 분야 연구의 상당 부분이 막오염 유발요인의 해석, 막오염을 효율적으로 제어 또는 억제하기 위한 방법의 연구에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 용액의 정밀여과시 단백질 변성이 막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BSA를 분리대상 물질로하여, BSA용액을 미리 기계적 Shear(펌프 및 sonification), 열, 화학적 방법(pH 및 변성제)으로 변성시킨 후, 이 용액을 대상으로 회분식 정밀여과 실험을 수행하여 단백질 응집체 형성이 막투과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으며, 각각의 막투과량 감소 특성을 아래의 4가지 blocking filtration law로서 해석하였다: complete blocking law, intermediate blocking law, standard blocking law, cake filtration law.

  • PDF

Analysis of Membrane Fouling Reduction by 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Flow in Membrane Filtration of Protein Solution Using Blocking Filtration Model (막힘여과 모델에 의한 단백질 용액의 막여과에서 자연대류 불안정 흐름의 막오염 제어 효과 해석)

  • Kim, Ye-Ji;Youm, Kyung-Ho
    • Membrane Journal
    • /
    • v.29 no.1
    • /
    • pp.18-29
    • /
    • 2019
  • The dead-end ultrafiltration (UF) of BSA protein solut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efouling effects of 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flow (NCIF) induced in membrane module. The permeate flux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inclined angles ($0{\sim}180^{\circ}$) of membrane module with respect to gravity, and analyzed using the blocking filtration model. NCIF are more induced as the inclined angles increased from $0^{\circ}$ to $180^{\circ}$, and the induced NCIF enhances flux. Comparing the fluxes at $0^{\circ}$ inclined angle (no NCIF induction) and $180^{\circ}$ (maximum NCIF induction), the flux enhancements by NCIF induction are increased about 5 times in the short-term UF operation (2 hours) and about 17 times in the long-term operation (20 hours). As applying the blocking filtration model, it is more suitable to analyze the flux results by using the intermediate blocking model in the early times of UF operation within 15 minutes and then thereafter times by using the cake filtration model. NCIF induced at $180^{\circ}$ inclined angle reduces the intermediate blocking fouling at about 67% in the early times operation and thereafter the cake layer fouling at about 99.9%. The main defouling mechanism of NCIF induced in the membrane module is suppress the formation of protein cake layer.

Analysis of Membrane Fouling Reduction by 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Flow in Membrane Filtration of Colloidal Solution: Application of Blocking Filtration Model (콜로이드 용액의 막여과에서 자연대류 불안정 흐름의 막오염 저감 효과 해석: 막힘여과 모델의 적용)

  • Kim, Ye-Ji;Youm, Kyung-Ho
    • Membrane Journal
    • /
    • v.29 no.6
    • /
    • pp.329-338
    • /
    • 2019
  • The constant-pressure and constant-flux membrane filtration experiments of alumina colloidal solution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defouling effect of the 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flow (NCIF) induced in membrane module. The permeate flux at constant-pressure and the transmembrane pressure (TMP) at constant-flux experiments are measured by changes the inclined angle (0, 90 and 180°) of membrane module to the gravity, and flux results are analyzed by using the blocking filtration model. NCIF are more induced as the inclined angles increased from 0° to 180°, and the maximum induced NCIF at 180° angle enhances flux to 2.8 times and reduces TMP to 85% after two-hour oper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flux data by applying the blocking filtration model, it is more reasonable to analyze them by using the intermediate blocking model within 15-minute operation time and then thereafter times by using the cake filtration model. The induced NCIF at 180° angle reduces the intermediate blocking fouling at 52% in the early operation time of 15-minute and thereafter the cake layer fouling at 93%. The main membrane fouling control mechanism of NCIF induced in membrane module is evaluated as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the cake layer of particulate colloidal materials on membrane surface.

Effects of 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on Membrane Fouling Control in Ultrafiltration (한외여과에서 자연대류 불안정성의 막오염 제어 효과)

  • 김태곤;염경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10a
    • /
    • pp.101-104
    • /
    • 1997
  • 1. 서론 : 한외여과(ultrafiltration; UF)는 장치 및 조작이 간단하고, 열의 사용없이 물질을 분리 정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생물제품 등을 비롯한 거대분자들의 분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외여과 공정의 운전시 가장 큰 문제점은 막에 의해 분리된 물질들이 필연적으로 막표면에 가역적으로 누적되는 농도분극(concentration polarization)과 이 누적된 물질이 막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막표면에 비가역적으로 침적되는 막오염(membrane fouling)현상을 유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외여과는 막세공과 분리 대상물의 크기차에 의한 sieve effect에 의해 분리가 이루어지는데 막오염이 발생되면 세공의 일부 또는 전체가 막히게 되어 결국에는 투과선속(permeate flux)이 감소하고, 막의 세공분포가 달라져 막 본래의 분리성능에 변화가 초래된다.(생략)

  • PDF

Studies on Membrane Fouling Monitoring by Fluorescence Nano Particle and Fluorescent Spectrometry (형광 나노 입자 및 형광 분광 분석을 이용한 막오염 측정법 연구)

  • Seo, Mi-Rae;Nam, Mi-Yeon;Kim, Beom-Sik;Nam, Seung-Eun;Kim, In-Chul;Park, You-In
    • Membrane Journal
    • /
    • v.21 no.2
    • /
    • pp.163-170
    • /
    • 2011
  • Membrane fouling control in water treatment may be the main obstacle for wider implementation and lower cost. A novel fluorescent spectroscope sensor device for membrane fouling integrity monitoring has been developed and evaluated in this study. PSf membranes for water treatment has been fabricated with three types of organic fluorescent materials, OB, FP, KCB. The fluorescent signal from membrane surface was analyzed throughout the filtration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fluorescent signal due to the membrane fouling decreased and the developed device is reliable for membrane fouling monito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