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이크로 이동성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초

무선 인터넷 망에서 링크 계층 정보를 이용한 마이크로 이동성 관리 기법 (Micro-mobility Management Scheme Using Link-layer Information in the Wireless Internet)

  • 정상환;김도현;조유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6B호
    • /
    • pp.563-572
    • /
    • 2003
  • 차세대 이동 통신망 환경에 Mobile IP 방식을 적용하였을 경우 빈번히 발생하는 핸드오프로 인한 재등록 과정의 오버헤드 증가와 등록 시의 지연으로 인한 패킷 손실 증가 등의 마이크로 이동성(micro-mobility)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IP 기반 무선 액세스 망에서 마이크로 이동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ANMM(Access Network Mobility Management) 방식을 제안한다. ANMM 방식은 액세스 망 내에서 노드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핸드오프 등록 과정을 액세스 망 자체적으로 처리하여 등록 지연과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또한 핸드오프 시의 무선 구간에서의 시그널링을 최소화하여 무선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IP 망에서의 마이크로 이동성 관리 기술 연구 동향 (Study Trends of Micromobility Management in IP Network)

  • 정희영;최성곤;김용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5권6호통권66호
    • /
    • pp.26-34
    • /
    • 2000
  •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화를 주도하는 ITU 및 3GPPs에서는 모든 데이터 트래픽과 시그널링의 전송에 IP를 이용하는 All-IP 네트워크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All-IP 네트워크에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그 중 효율적인 이동성 관리 문제는 All-IP 네트워크의 실현을 위하여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 중의 하나이다. 본 고에서는 IP 망에서의 효율적인 이동성 관리를 위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마이크로 이동성 관리 기술의 연구 동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분산형 지역 기반 이동성 IP (DRMIP: Decentralization Region based Mobile-IP)

  • 김기일;이준화;김상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A)
    • /
    • pp.280-282
    • /
    • 2000
  • 지금까지 인터넷에서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연구 방향은 계층적 망 구조에 따라 메크로 이동성과 마이크로 이동성을 분리하는 것이다. 핸드오프가 적은 매크로 이동성의 경우 Mobile IP 로 수렴되는 반면 이동성이 잦은 마이크로 이동성의 경우 HA 로 보내지는 제어 메시지를 어떻게 줄일 것인가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까지 제시된 연구의 공통적인 문제는 게이트웨이 라우터의 집중화로 발생할 수 있는 부하이다. 본 논문에서는 단말기의 이동의 지역성 및 분산된 지역 에이전트 개념을 도입하여 이러한 문제를 개선한 분산 지역 기반 이동프로토콜인 DRMIP를 제안한다. 또 DRMIP 의 특성 및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인터넷 프로토콜과의 호환성, QoS 지원성, 시스템 안정성, 광역단위로의 확장성 등의 측면에서 타 프로토콜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마이크로 도메인에서의 효율적인 핸드오프 방안 (An Efficient Hand-off Mechanism in Micro-Domain)

  • 김응도;김화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3A호
    • /
    • pp.195-202
    • /
    • 2005
  • 3세대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매크로/마이크로 간에 끊김 없는 핸드오프를 요구한다. 그러나 Mobile IP는 간단하면서 확장 가능한 매크로 이동 기술이지만, 마이크로 도메인에서의 패스트 핸드오프를 지원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많은 마이크로 이동성 프로토콜들이 빠르면서 끊김 없는 이동성을 지원함으로 Mobile IP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있으며, Cellular IP 또한 마이크로 도메인에서 끊김 없는 이동성을 지원한다. 그러나 Cellular IP의 세미 소프트 핸드오프 방안은 새로운 경로와 이전 경로사이의 도달 시간의 차이로 인하여 패킷이 유실되거나 중복되는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핸드오프 방안은 핸드오프 동안의 패킷의 유실과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SCD (Suitable Cross Delay)메커니즘을 이용하였으며 마이크로 도메인에서 끊김 없는 이동성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또한,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핸드오프 방안의 성능향상을 증명하였다.

All-IP 무선망을 위한 에이전트 기반의 멀티캐스트 랜드오프 메커니즘 (Agent based Multicast Handoff Mechanism for All-IP Wireless Network)

  • 김병순;한기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2호
    • /
    • pp.197-203
    • /
    • 2002
  • 이 논문은 IP 멀티캐스트 상에서 핸드오프 지연을 줄이기 위해 Multicast Handoff Agent(MHA)라는 에이전트에 기반을 둔 새로운 멀티캐스트 랜드오프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MHA는 기지국에서 이동 호스트의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GMP)에 대한 프록시로서 동작되고 셀 내의 멀티캐스트 그룹의 구성원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 호스트가 다른 셀로 이동할 때, MHA는 IGMP query 메시지를 기다리지 않고 즉시 리포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안하는 메커니즘은 시뮬레이션과 분석을 통해 성능평가 되고 마이크로 이동성과 IGMP 트래픽에 대하여 IGMPv2와 비교분석 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마이크로 이동성에 대한 랜드오프 지연이 크게 줄일 수 있고 또한 그룹의 구성원으로 있는 동안 무선 링크상의 IGMP 제어 트래픽을 제거될 수 있음을 보인다. 따라서 제안하는 메커니즘은 마이크로 이동성에 대해 기존의 메커니즘보다 뛰어나고, IGMP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필요하여 배터리 지속시간이 오래갈 수 있다.

동적 지역 등록 기법을 이용한 Mobile IP의 성능 향상 (Performance Enhancement of Mobile IP Using Dynamic Local Registration Scheme)

  • 황인용;박홍식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1S호
    • /
    • pp.3714-3722
    • /
    • 2000
  • 인터넷에서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연구는 크게 매크로 이동성과 마이크로 이동성의 두 가지로 분류 가능하다. 매크로 이동성의 경우 IETF의 RFC 2002로 수렴되는 추세이나 마이크로 이동성의 경우 다양한 방안들의 논의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Mobile IP에 LA(Local Agent) 개념을 도입하여 이동 노드의 빈번한 지역 핸드오프를 LA에 전담시켜 HA가 관여하지 않도록 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최대 핸드오프 지연을 MN과 MN의 HA간 거리의 영향을 받지않고 일전 수준으로 제한할 수 있다. 등록비용과 핸드오프 지연으로 인한 패킷 손실 확률 측면에서 기존 Mobile IP와 LA 개념을 적용했을 경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제안된 모델이 Mobile IP의 성능향상을 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 PDF

무선 LAN환경에서 마이크로 이동성 지원 방안 (A Micro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Wireless LAN Environments)

  • 고광신;차우석;김형준;조기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2호
    • /
    • pp.158-170
    • /
    • 2004
  • Mobile IP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IP 기반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단말의 이동 사실을 탐지하는데 소요되는 지연과 자신의 새로운 이동 위치를 홈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지연 등 핸드오프 과정에서 두 가지 주요 지연요소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IEEE 802.11 무선 LAN 표준에 따른 2 계층 핸드오프 처리과정을 분석하여 3 계층 핸드오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L2 트리거를 정의한다. 또한 L2 트리거와 네트워크 위상 정보를 이용하여 앵커 에이전트를 동적으로 구성하고, 다중 전송(Multiple-Casting)을 이용하여 패킷 분실을 방지하는 MCAA(Multiple-Casting using Anchor Agent)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마이크로 이동성 지원 기법인 Regional Registration 기법을 비교대상으로 핸드오프 지연과 패킷 분실 관점에서 분석 평가하였다.

다층 셀 구조를 갖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layer Cell Structure)

  • 김기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8년도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98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20
    • /
    • 1998
  • 현재 늘어나는 개인 이동 통신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시스템의 용량 증가가 필요하다. 서로 다른 이동성을 갖는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위해 매크로 셀 내에 마이크로 셀들로 이루어진 다층 셀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급증하는 이동 통신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다층 셀 구조를 갖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위해 큐잉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한 해석적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제안된 해석적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제안된 해석적 방법은 수학적 분석 결과를 얻는데 상당한 용이성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다층 셀 구조의 채널 할당 방식에 대한 시스템의 성능분석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IPv6에서의 지역적 이동성 지원 방안 (A New Localized Mobility Support Scheme in IPv6)

  • 우미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463-146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IPv6 네트워크에서 이동성을 지원할 때, 광역 이동 시에는 Mobile IPv6 를 사용하고 지역 이동 시에는 바인딩 갱신 정보를 해당 지역으로 국한시키는 지역적 이동성 지원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안의 장점은 이동 노드의 기능만을 향상시키면 어떤 외부 도메인으로 이동 노드가 로밍하더라도 지역적 이동성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상호 운용의 문제가 없다는 것으로써, 다른 어떠한 지역적, 혹은 마이크로 이동성 지원 방안과도 차별화 된다. 제안된 이동성 제공 방안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네트워크 안의 에이전트들에게 전달되는 바인딩 갱신율을 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안은 홈 에이전트로의 바인딩 갱신 횟수를 줄임으로써 홈 에이전트의 처리 부하와 인터넷 백본으로의 트래픽 양을 감소시킴을 보였다. 또한 Mobile IPv6보다 핸드오프 시 바인딩 갱신 지연과 패킷 손실율이 적음을 입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