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이크로폰

Search Result 38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Microphone Array Processing in the Wavelet Domain for Speech Enhancement (마이크로폰 배열을 이용한 웨이브렛 도메인에서의 음성신호 개선)

  • 장병욱;권홍석;김시호;배건성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513-516
    • /
    • 2001
  • 마이크로폰을 배열을 이용한 음성개선 기법 중에서 저주파 영역에서의 높은 상관성과 고주파 영역에서의 spatial aliasing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대수적인 선형 마이크로폰 배열을 사용하고 웨이브렛 도메인에서의 Wiener 필터에 기반한 postfiltering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는데[l],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SNR이 0dB일 때와 l0dB일 때,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약 1.7dB와 2.5dB의 성능개선이 있었으며, 청취실험을 통해서도 음질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for Estimation of Sound Source location using 256 Channel Microphone (256채널 마이크로폰을 사용한 음원 위치 추정에 관한 연구)

  • 송성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185-18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256(16$\times$16)개의 마이크로폰 정방형 배열에 의한 음향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제작하고, FFT에 의한 음향 홀로그래피법 알고리즘을 이용한 음원 위치 추정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측정 시스템은 방사된 음들을 동시 수음함으로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환경 잡음이 존재하는 실음장에서도 계측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고분해능으로 안정하게 음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SYSNOISE에 의한 음장해석과 음향 홀로그래피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폰 간격 및 측정면 크기, 측정거리의 최적 조건을 구한 후 실음장 측정 실험에 적용하였다. 수치 시뮬레이션과 무향실에서 실험 데이터에 의해 음원 위치를 추정한 결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 PDF

Speech source estimation using AMDF (AMDF를 이용한 화자위치 추정)

  • 송도훈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193-19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원격 화상회의 시스템 등에서 Camera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화자의 음성신호를 4개의 마이크로폰 배열(Microphone Array)로 수음하여 그 신호에 의해 화자의 위치를 추정한다. 마이크로폰으로 수음한 음성신호의 TDE(Time Delay Estimation)를 계산할 때 그 연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AMDF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각 마이크로폰 출력신호에 대해 AMDF 알고리즘으로 시간지연을 구하고 DOA(Direction of Arrival)를 계산한다. 그리고 다시 공간 기하계산을 통해 공간내 화자의 위치를 추정한다. 시험 신호로써 음성신호 '아'음을 사용한 수치 시뮬레이션과 반사음이 존재하는 일반 강의실에서 아나운서가 발성하는 음을 사용하여 AMDF 알고리즘을 이용한 화자위치 추정의 정확도를 조사하였다.

  • PDF

A Study for Estimation of Sound Source Location using $8{\times}8$ Microphone Array ($8{\times}8$ 마이크로폰 정방 배열을 이용한 음원 위치 추정에 관한 연구)

  • 송성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d
    • /
    • pp.68-7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64(8$\times$8) 개의 마이크로폰 정방 배열에 의한 음장 가시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 FFT 알고리즘과 원거리 음향 홀로그래피법 알고리즘을 이용한 음원 위치 추정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측정 시스템은 방사된 음들을 동시에 수음할수 있으며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짧은 계측시간과 고분해능으로 실음장에서 안정하게 음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잉하여 마이크로폰 간격 및 측정면의 최적 조건을 구한 후 실음장 측정 실험에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실험 데이터를 비교.분석한 결과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 PDF

Use of a reflective body for the reduction of the microphone movement in the near-field acoustical holography based on the inverse boundary element method (역경계요소소법에 기초한 근접음장 음향홀로그래피에서 마이크로폰 이동 저감을 위한 반사체 이용)

  • Kim, Sung-Il;Jeong, Ji-Hoon;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6.11a
    • /
    • pp.510-514
    • /
    • 2006
  • 역경계요소법에 기초한 근접음장 음향홀로그래피는 근접 음장에서의 음압 측정과 음향경계요소법을 이용한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소음원의 특성을 재구성하고, 임의 형상의을 갖는 소음원을 재구성 할 수 있는 강점이 있지만, 음압 측정에 많은 마이크로폰이 필요로 한다. 많은 실험 비용을 줄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폰이 고정된 상태에서 반사체를 추가하여 음장을 변화시키고, 이 상태에서 측정된 음압을 음원 재구성의 추가 정보로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적용예제로서 모터의 표면 속도를 재구성 하였다. 직육면체 강체 반사체를 이용하여, 각 마이크로폰 위치에서 2 배수의 음압을 얻어, 이를 재구성에 이용하였다. 또한 수치유효랭크를 이용하여 재구성에 사용된 모우드의 개수를 계산하였다.

  • PDF

Performance Comparison of Speech Recognition Using Body-conducted Signals in Noisy Environment (소음 환경에서 body-conducted 신호를 이용한 음성인식 성능 비교)

  • Choi Dae-Lim;Lee Kwang-Hyun;Lee Yong-Ju;Kim Chong-Ky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57-6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음성정보기술산업지원센터(SiTEC)에서 현재 배포중인 고소음 환경 음성 DB를 이용하여 air-conducted 음성과 body-conducted 음성의 인식 성능을 비교 실험하였다. 소음 환경에서 일반적인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집된 air-conducted 음성은 잡음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이는 인식률을 저하시킨다. 반면에 진동 픽업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body-conducted 음성은 소음에 보다 강인한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에 근거하여 소음 환경에서 일반 다이나믹 마이크로폰 음성에 음질 개선 방법과 채널 보상 방법을 적용한 인식 결과와 3종류의 진동 픽업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음성과의 인식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body-conducted 음성 인식 시스템의 환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PDF

Sound visualization and source identification by using planar acoustic holography. (평면 음향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음장의 가시화 및 음원탐지)

  • Kwon Hyu-Sang;Suh Jae-Gap;Chung Wan-Sup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89-292
    • /
    • 1999
  • 다수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사용하여 소음원에서 방사하는 음장을 예측, 가시화하고 소음원의 시,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음향 홀로그래피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음향 홀로그래피 방법은 실험적으로 소음원의 특성을 규명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많은 개수의 마이크로폰과 신호수집장치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어 왔다. 음향 홀로그래피 방법중에서 대표적인 평면 음향 홀로그래피 방법을 중심으로 마이크로폰의 개수, 간격등과 같은 측정조건과 함께 마이크로폰을 스캐닝하는 방법둥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장, 단점 및 제한성을 논하였다. 또한 이러한 측정방법에서 나타나는 오차요인을 해석하고 이를 보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과 함께 실험을 통하여 이를 확인해 보았다.

  • PDF

Speech Enhancement using Adaptive Matched Filter Microphone Array (적응 정합 필터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음질 향상)

  • Lee Oe-Hyung;Choi Young-Keun;Kim Ki-Man;Park Kyu-Sik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05-208
    • /
    • 2002
  • 최근 영상 회의 시스템에서 화자 위치 추정 및 음질 향상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하여, 화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화자의 방향으로 카메라를 자동으로 조정해 주고 그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연구되어져 왔다. 덜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음향 환경에 적응하는 적응 정합 필터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고찰하였다.

  • PDF

A measurement of the pressure fluctuation by using the condenser microphone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압력변동성분의 측정)

  • 윤재건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1 no.2
    • /
    • pp.18-23
    • /
    • 1989
  • 본 기고에서는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콘덴서 마이크로폰(condenser microphone)을 압력측정 프로우브에 직접 연결하여 압력변동성분을 측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이 방법의 적용예와 문제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