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모율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37초

디젤엔진용 실린더 라이너 소재의 고온 마모특성 (Wear Characteristics of Cylinder-Liner Materials for Diesel Engine at Elevated Temperature)

  • 김진열;김재훈;오광근;이승학;장준용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11호
    • /
    • pp.1131-1136
    • /
    • 2015
  • 선박 디젤엔진용 실린더 라이너는 피스톤 링과 지속적인 왕복운동을 통해 마모가 발생한다. 마모는 디젤엔진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사용 수명을 단축시킨다. 본 논문은 선박 디젤엔진용 실린더 라이너의 GT 금속 및 기존 금속에 대하여 마모특성을 평가하였다. 마모시험은 상온, $175^{\circ}C$, $325^{\circ}C$의 온도조건과 10 N, 30 N, 50 N 의 하중조건에서 수행되었으며, 마모량, 비마마율 및 마찰계수를 평가하였다. 또한 각 조건에 대한 마모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해서 SEM 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금속 공히, 상온에서 연삭 및 응착마모가 진행되었고, 고온에서 부식마모가 발견되었다. GT 금속은 기존 금속 대비 모든 온도 범위에서 마모량 및 비마모율이 작고 마모특성이 더 우수하다.

지반 조건과 TBM 운영 파라미터를 고려한 디스크 커터 마모 예측 (Prediction of Disk Cutter Wear Considering Ground Conditions and TBM Operation Parameters)

  • 강윤성;고태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4권2호
    • /
    • pp.143-153
    • /
    • 2024
  • TBM 공법은 발파 공법에 비해 굴착 중 소음과 진동 수준이 낮고, 안정성이 높은 터널 굴착 공법이며, 전세계적으로 터널 프로젝트에 TBM 공법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디스크 커터는 TBM의 커터헤드에 장착되는 굴착 도구로 지속적으로 막장면 지반과 상호작용하며, 이때 필연적으로 마모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질 조건과 TBM 운영파라미터, 머신러닝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디스크 커터 마모를 정량적으로 예측하였다. 디스크커터 마모 예측의 입력변수 중 UCS 데이터의 수가 다른 기계 데이터 및 마모 데이터에 비해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먼저 TBM 기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체 구간에 대한 UCS 추정을 진행하고, 완성된 전체 데이터로 마모율 계수 예측을 수행하였다. 마모율 계수 예측 모델의 성능을 비교해 본 결과 XGBoost 모델의 성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잡한 예측 모델의 해석을 위해 SHapley Additive exPlanation (SHAP) 분석을 진행하였다.

일방향섬유 복합재료의 마찰 및 마모 특성에 관한 연구

  • 정형범;윤재륜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8년도 제27회 춘계학술대회
    • /
    • pp.64-6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섬유를 일방향으로 배향시켜 제작한 복합재료의 트라이볼로지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특히 섬유의 배향과 활주속도가 트라이볼로지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험에 쓰인 시편은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그리고 고탄성 탄소 섬유를 보강재료로 에폭시 수지를 모재로 사용한 일방향섬유 복합재료이며 각각의 시편을 스테인레스 강 상대 마찰면에 마찰시켜 마모량과 마찰 계수를 구하였다. 실험조건으로 사용한 여러 활주속도에서 탄소섬유복합재료가 모든 섬유배열방향에서 아라미드섬유복합재료와 유리섬유 복합재료보다 마모율과 마찰계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높은 속도에서는 탄소섬유복합재료의 특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원자력용 흑연 IG-110 에 대한 고온 마모 특성 평가 (Wear Properties of Nuclear Graphite IG-110 at Elevated Temperature)

  • 위돈곤;김재훈;김연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5호
    • /
    • pp.469-474
    • /
    • 2014
  • 고온가스로(HTR-10)는 전기 생산 및 수소 생산에 이용할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고온가스로의 노심에 반사체, 지지체, 감속재로 사용된 흑연은 중성자에 견디는 능력이 탁월하고, 고온 강도 및 열적특성이 우수하다. 구조물들은 연료 순환 유동 등으로 야기되는 진동 등에 의해 마찰이 발생하며 이는 구조물의 파괴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온가스로에 사용되고 있는 등방성 흑연 IG-110에 대한 고온 마모 특성을 연구하였다. 왕복동 마모 시험을 수행하고 마모 특성의 결과로써 마찰계수와 비마모율을 도출하고 비교하였다. 시험 변수로써 실제 작동환경을 고려하여 상온과 고온 $400^{\circ}C$에서 미끄럼 속도와 접촉하중의 변화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흑연 IG-110의 마모 기구에 대해 토의하였다.

마찰 에너지 해석을 통한 러버 트랙(Rubber Track)의 마모율 예측 (Prediction of Wear Rate for Rubber Track by Using Frictional Energy Analysis)

  • 강종진;조진래;정의봉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25-133
    • /
    • 2011
  • The wear of rubber track being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is an important subject because it decreases the traction performance and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racked vehicle. For the above reasons,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quantitatively calculate the rubber track. However, it depends on the experimental methods which are highly time- and cost-consuming. Therefore, the numerical simulation approach is highly desirable, but it needs to model the complex geometry and the material behavior in details as well as the interaction with the road surface. In this study, the rubber track and its material behavior are elaborately modeled since these factors are very important in the prediction of the wear rate of the rubber track. Accordingly to the studies on the rubber wear by previous investigations, it has been found that the wear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frictional energy. The frictional energy of rubber track is computed by utilizing the 3D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rubber track, and the wear rate is evaluated making use of the frictional energy and a wear model.

고성능 디젤 엔진 밸브 개발을 위한 마모 시험 (Wear Testing for Diesel Engine Valve of High Ability)

  • 홍재수;전경진;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0-183
    • /
    • 2006
  • 엔진 밸브와 밸브시트의 마모는 엔진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엔진 밸브와 밸브시트는 엔진 구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배기가스, 밸브 스프링의 빠른 움직임, 엔진 폭발 과정의 고압, 균일하지 못한 냉각시스템으로 발생하는 실린더 헤드의 뒤틀림이 만들어 내는 극한 환경을 이겨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밸브 및 밸브시트의 마모율과 마모 메카니즘을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 실제 자동차 엔진 내부의 조건인 온도, 밸브와 밸브시트간의 충돌, 스라이딩 등에 관한 것들을 고려하여 밸브 및 밸브시트가 충돌 시험할 수 있는 전용마모 시험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시편은 현재 실차에 사용되고 있는 밸브와 밸브시트를 사용하였다. 그 종류는 STR35 밸브, STL #6 및 STL #32이다. 밸브시트는 HVS1-2 재질을 사용하였다.

  • PDF

가속도/감속도 변화율에 따른 레일마모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ail Wear by Change of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 하관용;김희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607-61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도시철도 차량의 운전모드에 의한 레일마모 현상을 역행, 타행, 제동 세구간 별로 나누어 레일 마모 현상을 비교 분석하였고, 또한 ATO 로깅데이터에서 실제 운행한 속도데이터를 가속도와 감속도 데이터로 변환하여 열차의 가속도의 견인력과 감속도의 제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레일마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로 통해 궤도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섬유보강 복합재의 마찰 및 마모특성 (Friction and Wear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

  • 주혁종;최돈묵;오인석;홍명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7호
    • /
    • pp.733-740
    • /
    • 1994
  • 페놀수지 결합재에 보강섬유의 종류에 따라서 내염섬유 보강 복합재(OFRP), 탄소섬유 보강 복합재(CFRP), 유리섬유 보강 복합재(GFRP), 아라미드 섬유 보강 복합재(AFRP)를 제조하였다. 각 보강섬유의 분율을 달리함에 따라 마찰계수 및 마모율을 측정하여 각 보강섬유의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아라미드의 섬유량이 45tw%일 때 평균 마찰계수가 0.353-0.3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에 핏치계 탄소섬유를 45wt% 보강한 경우 0.164-0.19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AFRP와 CFRP의 마모율은 낮게 나타내었으며, GFRP와 OFRP는 섬유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OFRP는 마모 diagram이 불안정하였으며 CFRP와 AFRP는 대체적으로 안정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GFRp는 상당히 불안정한 마모diagram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마찰 안정성이 가장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타이어의 마모한계

  • 송영기
    • 타이어
    • /
    • 통권144호
    • /
    • pp.6-7
    • /
    • 1989
  • 과마모 타이어의 사용으로 인한 사고발생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미국, 일본 등에서는 오래 전부터 타이어의 마모한계를 법제화하여 이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자동차보유대수의 급증에 따라 타이어의 결함으로 인한 사고발생율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 교통부에서는 지난 4월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개정시 이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타이어 관계조항(규칙 제12조2항)을 개정, 타이어 트레드 홈깊이를 1.6mm 이상 유지하도록 규정하였으며, 이 개정된「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의 시행을 눈앞에 두고 있다.<필자주>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