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름

Search Result 82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국내 골프코스의 켄터키블루그래스에 Laetisaria fuciformis에 의한 붉은뿔마름병(Red Thread) 발생보고 (First Report of Red Thread of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Caused by Laetisaria fuciformis on Golf Course in Korea)

  • 이정한;김정호;심규열;곽연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69-274
    • /
    • 2018
  • 2017년 4월 중순 경남 양산에 소재한 골프장에서 Laetisariafuciformis에 의한 redthread 병징이 켄터키블루그래스에 발생하였다. 골프코스의 페어웨이에 불규칙한 모양의 병반 형태로 발생하였다. 감염된 잎은 마름증상을 보이면서 점차 볏짚색으로 변했으며, 잎의 끝부분은 실모양으로 헝클어져있었다. 이른 아침에는 분홍빛을 띤 젤라틴 형태로된 사슴뿔 모양의 균핵을 형성하였다. 배양적 특징으로 균총은 옅은 분홍색이었으며 균사다발이 형성되었고 3-5mm 크기의 연한 분홍색 균핵을 형성하였다. 병원균은 형태, 배양적특징 및 분자생물학적 특징을 토대로 L. fuciformis로 동정되었다. 코흐의 원칙에 따라 병원성 검정을 실시하여 켄터키블루그래스에 병원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에서 L. fuciformis에 의해 켄터키블루그래스에 발생하는 redthread에 대한 최초의 보고이다.

벼잎집무늬마름병(病)의 생태학적연구(生態學的硏究) III. 경종적방법(耕種的方法)과 발병(發病) (Ecological Studies on Rice Sheath Bligh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III. Cultural Method and Disease Development)

  • 김장규;나동수;민홍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10
    • /
    • 1985
  • 진흥(振興)과 유신(維新)을 공시(供試)하여 이앙시기(移秧時期), 재식밀도(栽植密度), 질소시비(窒素施肥) 수준(水準)과 벼잎집무늬마름병(病) 발생(發生)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 하였다. 잎집무늬마름병(病) 발생(發生)은 5월(月) 26일(日) 이앙구(移秧區)보다 5월(月) 16일(日) 이앙구(移秧區)에서, $3.3m^2$ 당 100주(株) 재식구(栽植區)가 80주(株) 재식구(栽植區)보다 , 질소질배비구(室素質倍肥區)(진흥(振興) 220kg/ha, 유신(維新) 300kg/ha) 가 보비구(普肥區)에서보다 발병(發病)이 심(甚)하였다. 또한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발병(發病)이 심(甚)했던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성숙기(成熟期)의 피해도(被害度)가 높았다.

  • PDF

한국에 있어서의 'Kresek'에 관한 연구 III. 품종저항성 및 균주에 따른 도체내에서의 균증식과 발병과의 관계 ('Kresek' Disease in Korea III. Varietal Resistance, and Relationship among Pathotype, Multiplication in the Tissue and Disease Development)

  • 최용철;조용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1-55
    • /
    • 1980
  • 수도 흰빛마름병 이병엽과 Kresek 발병주로부터 분리한 I균군(각5균주), II균군(각4균주)의 18균주를 "밀양23호"및 "유신" 품종 5엽기의 전개엽에 침접종한후 수도체내에서의 균증식과 병반장율 및 Kresek 발병율을 비교조사하여 균주간차이를 비교하였고, 밀양23호외28품종에 대해 II, IV균군을 사용하여 침접종및 근단접종법으로 품종간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1. 각균주간 수도체내에서의 증식은 큰 차이를 볼수 없었으나 "Kresek"발병주로부터 분리된 균주가 병반장률이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Kresek 발병은 흰빛잎마름병 이병주에서 분리한 균주와 "Kresek"발병주로부터 분리한 균주간에는 아무런차이를 인정할수 없었고, 모두 발병을 볼수있었다. 3. Kresek에 대한 품종저항성에서는 흰빛잎마름병의 저항성반응과 비슷한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Wase Aikoku 품종군에서도 발병을 볼수있었다. 4. 황옥품종군인 "IR20"은 Kresek에라해 고도의 저항성반응을 나타내었다. 5. 접종반응으로는 근단접종법에서 침접종법에 비해 더욱 많은 발병율을 볼수있었다.

  • PDF

수도 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I. 흰잎마름병균의 증식 및 이동과 저항성과의 관계 (Studies on Manifestation of Bacterial Leaf Blight Resistant Gene I.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stance of Rice to Bacterial Leaf Blight and the Multiplication and Spread of the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 김한용;최재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2-136
    • /
    • 1990
  • 수도 흰잎마름병(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병원세균(K1)의 조직내에서의 증식과 이동 그리고 수공을 통해 추출되는 병원세균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항성 품종에서는 접종 3일후에 약 $10^3$cfu/$\textrm{cm}^2$로 12일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나 리병성 품종에서는 접종 6일에 약 $10^4$cfu/$\textrm{cm}^2$에서 접종 12일에는 약 $10^{8}$-$10^{9}$cfu/$\textrm{cm}^2$로 계속 증식하였다. 2. 병원세균의 접종부위로부터 상, 하향 이동속도 및 증식속도는 상향이동이 약간 빠른 경향이었으며 리병성 품종에서 빠른 증식과 이동속도를 보여 저항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3. 병원세균의 증식 및 이동은 생육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감염된 잎의 수공을 통해 나오는 병원세균의 농도는 조직내에서 병원세균의 증식 및 이동과 일치하였으며 저항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 PDF

식물공장에서 인공광원이 결구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the Growth of Crisphead Lettuce in Plant Factory)

  • 조영렬;한동욱;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5-41
    • /
    • 1998
  • 완전제어형 식물공장하에서 인공광원에 따른 결구상추의 생육, 잎끝마름증과 배양액속의 무기이온 변화를 검토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공광원에 따른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반적인 생육은 형광등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인공광원중 생육과 램프의 경제성을 고려해 볼때, 고압나트륨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인공광원에 따른 잎끝마름증 발생시기는 정식 후 14일에 처음 발생하였으며, 발생부위는 자엽으로 부터 9∼10번째 잎이었다. 발생원인으로는 빠른 생장율과 상추의 칼륨흡수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인공광원에 따라 배양액속의 무기 성분 변화를 보면, 세처리구 모두 칼슘. 마그네슘, 구리와 아연 함량 등은 축적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질소, 인, 철과 망간 함량등은 안정적이었다.

  • PDF

식물오일과 그 성분들의 살균활성 (Phytopathogenic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and Their Main Compounds)

  • 최원식;김관영;장도연;엄대용;김태준;정봉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01-209
    • /
    • 2006
  • 43종의 식물오일들을 대상으로 잿빛곰팡이병균 (Botrytis cinerea) 외 9종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살균 효과로 이들의 생리활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중 thyme 오일이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잎집무늬 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고추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고추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e), 사과점무늬 낙엽병균(Alternaria mali)과 벼도열병균(Magnaporthe grisea)에서 광범위하게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Thyme 오일의 주성분을 GC/MS로 분석한 결과 thymol, carvacrol, borneol, linalool과 p-cymene임을 확인하였다. 이 중 thymol과 carvacrol이 높은 살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식물병원균에 대한 살균활성관련 작용기작을 실험한 결과,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과 사과점무늬낙엽병균(Alternaria mali)의 포자발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ymol과 carvacrol은 in vivo에서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에 대하여 높은 예방효과를 나타내었으며, thymol, carvacrol의 유사구조를 갖는 alkylphenol계 화합물들도 살균활성이 있음을 검정하였다.

벼 유기재배와 관행재배의 수량과 품질 비교 (Comparison of Yield and Quality between Organic Cultivation and Conventional Cultivation in Rice (Oryza sativa L.) Field)

  • 차광홍;오환중;박흥규;안규남;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283-28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지역과 노안지역 두 곳의 벼 농가포장에서 유기재배 및 관행(일반)재배 시험을 수행하고 벼 병충해발생, 생육 및 수량, 그리고 쌀의 품위 및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험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병충해 방제는 노안지역 관행재배는 2회, 반남지역 관행재배는 4회 실시하였으며 유기재배는 노안, 반남지역 모두 2회 실시하였다. 포장에서 벼 병해충은 줄무늬잎마름병,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혹명나방, 멸구류가 주로 발생하였다. 벼 병해충 중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혹명나방은 관행재배보다 유기재배에서 발생이 많았다. 2) 벼생육상황은 간장이나 수장은 관행재배에 비해 유기재배에서 약간 짧은 경향이었다. 노안지역은 유기재배의 경우 관행재배에 비해 주당수수는 0.6개 정도 많았으나 수당입수, 등숙비율, 정현비율, 현미 천립중이 낮았다. 반면 반남지역은 유기재배의 경우 관행재배에 비해 주당수수는 0.8개 정도 적었으나 수당입수와 등숙비율은 높았고 정현비율은 낮았다. 전체 수량은 유기재배가 관행재배에 비해 노안지역은 84% 수준이고, 반남지역은 94% 수준이었다. 3) 쌀의 품위는 노안지역과 반남지역 두 지역 모두 완전립율이 관행 재배보다 유기재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쌀의 품질은 반남지역의 경우 유기재배시 기비로 사용한 질소가 관행재배에 비해 많아서 늦게 비효가 발현되어 이삭도열병, 혹명나방 피해가 발생하여 관행재배에 비해 단백질, 취반미 윤기치값이 낮았다. 반면 노안지역의 경우 유기재배시 기비로 사용한 질소가 관행재배에 비해 적어서 관행재배보다 단백질, 백도, 취반미 윤기치 값 등에서 양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소비자들에게 홍보하여 이들로부터 소비를 촉진케 함으로써 벼 유기재배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어코자 한다.

  • PDF

벼 생육시기별 흰잎마름병 발병이 쌀 수량감소 및 미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cterial Leaf Blight Occurrence on Rice Yield and Grain Quality in Different Rice Growth Stage)

  • 노태환;이두구;박종철;심형권;최만영;강미형;김재덕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20-23
    • /
    • 2007
  • 2002년부터 2005년까지 4년간 벼 흰잎마름병 초발병 조사결과 2002년보다 초발병일이 20$\sim$30일 이상 빨라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벼 흰잎마름병 발병시기 및 병반면적율에 따라 수량이 감소하였는데 병반면적률이 10% 이하에서는 피해가 적었으나, 병반적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수량감소가 점점 많아졌고, 25% 이상일 때부터 수량감소 및 현미천립중 등에서 현저히 낮아지고 병반면적율이 50% 이상이고 유수형성기 발병시 수량 29%, 현미천립중 2.3g, 현미완전립률 18%까지 감소되었다. 밥맛의 기준이 되는 식미치인 점도에서도 병반면적율이 증가함에 따라 낮은 식미치를 보였다.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에 의한 심비디움 검은잎마름병 (Sooty Leaf Blight of Cymbidium spp. Caused by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

  • 한경숙;박종한;이중섭;정승룡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26-129
    • /
    • 2007
  • [ $2005{\sim}2006$ ]년 경기도 안성시와 화성시의 심비디움 재배 농가로부터 잎 뒷면에 검은색 구름덩이 모양의 병반을 형성하고, 잎의 앞면에는 원형 내지 타원형의 황색병반을 나타내는 병징이 관찰되었다. 병징이 진전되어 병반이 합쳐지면서 잎 전체가 황색의 원형 병반을 이루고, 잎 뒷면에서도 검은색 구름덩이가 합쳐져 그을음모양(sooty spot)을 나타낸다. 병징이 오래되면 잎 조직은 기능이 저하되어 결국은 암갈색 내지 검은색으로 변하며 잎이 마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비디움에 발생한 검은잎마름병의 병징을 관찰하고,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로 동정되었으며 병원성 검정 결과 자연상태와 동일한 병징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이 병을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에 의한 심비디움검은잎마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노루궁뎅이 수확 후 배지 추출한 시제품의 토마토 풋마름병 방제 효과 (Control of Tomato Bacterial Wilt by the Prototypes Extracted from Spent Media Substrate of Hericium erinaceus)

  • 이상엽;곽한솔;강희완;강대선;김정준;한지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18-322
    • /
    • 2016
  • 노루궁뎅이(Hericium erinaceus) 수확 후 배지를 추출한 시제품 알토엑스 + 질산칼슘, 케이칼슘과 알토엑스베타는 토마토 풋마름병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하여 알토엑스 + 질산칼슘, 케이칼슘과 알토엑스베타가 87.4~100%, 46.0~100%, 65.0~91.6%의 방제효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들은 알토엑스 + 질산칼슘, 케이칼슘과 알토엑스베타가 토마토 풋마름병 방제를 위한 유망한 친환경 세균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