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르텐사이트

Search Result 221,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어류 전처리 가공기계용 칼날소재의 부식성 평가

  • 안석환;김선진;정현철;최대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75-76
    • /
    • 2001
  • 18-8계 스테인레스강은 오오스테나이트계로서 부식에는 상당히 강한 면을 보이나, 강도면에 있어서는 비교적 약하므로, 고강도를 요구하는 어류전처리 가공기계용으로는 13Cr계를 사용한다. 그러나, 13Cr계는 마르텐사이트계로서 고강도를 가지지만, 반대로 부식에는 비교적 약한 면을 보인다. 13Cr계 마르텐사이트강을 식칼 등의 재료로서 사용하여 왔지만, C가 적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해서 만족스러운 절단면을 얻기 어려웠다. 역으로, C를 많이 함유시킨 경우 정도 높은 절단면을 얻을 수 있지만, 녹슬기 쉬운 경향이 있다. (중략)

  • PDF

Ti-50.4 at% Ni 합금의 형상기억특성에 미치는 냉간가공률의 영향

  • Go, Won-Gi;Kim, Jae-Il;Park, Su-Ho;Kim, So-Jin;Kim, Hyeon;Lee, Gi-Yeong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6.2-106.2
    • /
    • 2012
  • Ti-Ni합금은 CsCl구조의 B2상, monoclinic 구조의 B19'(M)상과 rhombohedral 구조의 R상(R)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고, 이들 상의 변태에 의해 열탄성 마르텐사이트와 응력유기 마르텐사이트에 의한 형상기억효과와 초탄성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Ti-Ni 합금은 우수한 형상기억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생체적합성, 가공성 및 내식성 등이 뛰어나 공업분야 및 생체분야에서 폭 넓게 활용되고 있다. Ti-Ni합금의 형상기억특성은 냉간가공 후 어닐링 처리의 온도와 시간에 따른 matrix 내 Ni의 농도, 석출물의 밀도와 크기, 전위밀도와 전위주위의 응력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Ti-Ni합금의 형상기억 특성 및 변태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냉간가공률의 시료를 제작하여 다양한 온도에서 Annealing 처리를 하여 냉간가공률 및 Annealing 온도가 형상기억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i-50.4 at.% Ni 합금은 진공 아크 용해로에서 용해 하였으며, 용해된 Ingot는 열간단조 및 열간 압출한 후 냉간 인발과 중간온도에서 어닐링을 반복하면서 직경 0.5mm의 선재로 만들었다. 최종적으로 제작한 선재의 냉간가공률은 9.5%, 18.2%, 34.5%, 45% 이었다. 각 시편은 5X10-5torr의 진공으로 석영관에 진공 봉입하여 각각 673K, 723K, 783K에서 1hr 열처리 하였다. 합금의 형상기억특성과 변태온도는 DSC에 의해 조사되었다. DSC 측정 결과, 냉간가공률이 증가함에 따라 마르텐사이트 변태 온도는 감소하였고, 어닐링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마르텐사이트 변태 온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가공률이 증가하여도 R상 변태온도는 큰 변화가 없었고, Annealing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R상 변태온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형상기억특성은 인장시험기를 이용한 정하중 열싸이클 테스트를 이용하여 평가 하였다. 냉간 가공률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한 형상기억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Three-Point Bending Fatigue Properties of Austenitic 304 Stainless Steel Sheets for Membrane (Membrane용 오스테나이트계 304 스테인리스강 판재의 3점 굽힘피로 특성)

  • Lee Tae-Ho;Kim Sung-Joon;Kim Hyoung-Sik;Kim Cheol-Man;Hong Seong-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3 no.3 s.8
    • /
    • pp.1-8
    • /
    • 1999
  • Three-point bending fatigue properties of austenitic 304 stainless steel sheets were investigated at room temperature and LNG temperature($-162^{\circ}C$) in the strain range from 0.43 to $1.7\%$. The fatigue properties at $-162^{\circ}C$ were superior to those at room temperature due to the higher volume fractions of deformation-induced martensite. The cyclic hardening behavior owing to the deformation- induced martensite transformation was detected in both specimens. In room temperature testing, the mean load amplitude increased steadily with cycles, meaning that cumulative plastic incubation strain was required for martensite transformation. On the contrary, in $-162^{\circ}C$ tested specimen, the mean load amplitude increased rapidly within a few cycles due to the rapid transformation of martensite, and slightly decreased after the maximum is reached probably due to dynamic recovery.

  • PDF

Effect of Deformation Induced Martensite Transforma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i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High Mn (고 Mn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기계적성질에 미치는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의 영향)

  • Hur, T.Y.;Han, H.S.;Lee, S.H.;Kang, C.Y.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6 no.3
    • /
    • pp.51-56
    • /
    • 2012
  • The effect of deformation induced martensite transforma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i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high Mn was studied. ${\alpha}$'-martensite was formed by deformation i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high Mn. Deformation induced ${\alpha}$'-martensite was formed with surface relief by cold rolling. With the increase of deformation degree, volume fraction of deformation induced martensite was increased rapidly in early stage of deformation and then, increased slowly. With the increase of deformation degree, hardness and tensile strength were rapidly increased with linear relations, while elongation was rapidly decreased and then slowly decreased. Hardness, tensile strengths and elongation were influenced strongly by deformation induced martensite.

The Properties of STS 630 Alloy by Plasma nitriding Treatment (플라즈마질화 처리에 따른 STS630합금의 특성)

  • Jeong, Yong-Ho;Song, Ho-Cheol;Jeong, Yeon-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38-138
    • /
    • 2016
  • 의료용 공구로 사용되는 합금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대표 강종인 420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며, 이 합금은 고온의 오스테나이트 상태에서 ?칭하면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변태하여 현저하게 경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오스테나이트화 후 템퍼링시 우수한 기계적 성질이 얻어진다. 그러나 템퍼링 온도의 영향으로 석출탄화물이 형성되어 기계적 성질이나 내식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STS 420스테인리스강의 템퍼링 온도에 의한 내식성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STS630 합금을 사용하여 다양한 석출 열처리 조건 및 플라즈마 질화공정을 연구하였다. 구입한 소재의 균일한 성분 조정을 통한 미세 편석 및 물성부여를 위한 균질화 조건 도출 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STS630의 고용화열처리는 오스테나이트 균일조직이 되는 온도영역으로 가열하여 급냉하는 것으로 마르텐사이트 변태시키는 열처리를 진행하였으며, 열처리온도는 $1020{\sim}1060^{\circ}C$로 설정하였다. 석출경화 열처리는 $460{\sim}480^{\circ}C$$500{\sim}520^{\circ}C$의 온도에서 실시, 제품에 따른 인성을 부여하였으며, 질화공정은 플라즈마 장비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가열 ${\rightarrow}$플라즈마 이온질화를 통하여 가장 최적의 공정을 도출하였다.- 질화가 마무리 된 시료는 내식성 및 물성 평가를 통해 제품으로서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석출경화 열처리에 의해 STS420합금에 버금가는 인장강도 및 경도값이 나타났으며, 플라즈마 질화에 따라 물성 값의 향상이 나타났다. 용출실험결과 STS420합금의 경우 Fe, Cr원소의 용출이 나타나며 변색이 형성되었으나 STS630합금의 경우 그 현상이 미미하였다.

  • PDF

Effects of the Type of Martensite on Fatigue Limit of Ferrite-Martensitic Steel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복합 조직강의 피로한도에 미치는 마르텐사이트 조직형태의 영향)

  • Kim, Min-Gun;Ji, Jueng-Keun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20 no.B
    • /
    • pp.87-94
    • /
    • 2000
  • A study has been made on the behavior of microscopic fatigue crack growth at the stress level of the fatigue limit with ferrite-martensitic structures. For the above purpose, two types of the microstructures were prepared ; one is the microstructure having the ferrite encapsulating the islands of second phase martensite(FEM), the other is the microstructure with the martensite encapsulating the islands of ferrite(MEF).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fatigue limits of these microstructures are related to the critical stress at which the microcrack in the ferrite proceeds to the martensite. The high fatigue limit might be excepted for the MEF microstructure in which the critical crack length would be restricted within the second phase spacing in contrast with the FEM microstruture. However, the fatigue tests shows that no appreciable difference of the fatigue limits among them were recognized. Also, it turned out from the metallographic observations that the micro crack path is very much affected by the microstructures, so that the microcracks grow according to the 3-dimentional situation of its microstruct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