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리튬이온이차전지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32초

Chemical Stability of Lithium Lanthanum Titanate (Li0.5La0.5TiO3) as a Solid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 은영진;임완규;이원준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2.1-202.1
    • /
    • 2014
  • 최근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하고자 하는 리튬-공기전지는 리튬 음극과 액체 전해질 사이의 화학적 불안정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리튬이온전지는 액체전해질의 사용으로 인해 폭발 등의 안정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리튬-공기전지에서 리튬 음극을 액체 전해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리튬이온전지의 액체전해질과 대체하였을 때 전극과도 안정한 고체전해질의 연구가 필요하다. 고체전해질은 구조적으로 crystalline, glassy, 폴리머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crystalline 구조의 고체전해질은 glassy 및 폴리머 고체전해질에 비해 상온에서 비교적 이온전도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1]. 그러나 이온전도도가 높은 황화물 및 질화물 고체전해질은 수분에 민감한 반면 [2,3], 산화물 계열의 물질은 안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온전도도가 높은 산화물인 lithium lanthanum titanate ($Li_{0.5}La_{0.5}TiO_3$, LLTO)를 고체전해질로 선정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화학적 안정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LLTO와 각종 용액과의 화학적 안정성을 살펴보기 위해 고체전해질을 DI water, 1 M $LiPF_6$ Ethylene Carbonate (EC)-Dimethyl Carbonate (DMC) (50:50 vol.%), 0.57 M LiOH (pH=13), 0.1 M HCl (pH=1)에 immersion하고 무게, 표면형상, 상(phase), 이온전도도 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LLTO와 전극간의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LLTO 분말과 음극물질인 $Li_4Ti_5O_{12}$ 및 양극물질인 $LiCoO_2$ 분말을 혼합한 후 $300^{\circ}C{\sim}70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열처리하여 반응을 가속화 한 후 상변화 현상을 살펴보았다.

  • PDF

리튬이차전지용 난영연성 전해질인 Phosphazene의 유도체들의 열적 안정성 (Studies of Flame Retardant Phospbazene Derivatives for Li- ion Batteries)

  • 김기택;안세영;김현수;김영규;김병화;남상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8
    • /
    • pp.308-308
    • /
    • 2007
  • 리륨이차전지의 용량의 증가를 위한 연구에 많은 노력과 재원이 투자되고 잇는 반면에, 용량과 성능증가 추세가 주춤한 최근에는 전지의 안전성에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 이유는 전지의 성능 못지않게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고, 대용량 고출력전지의 대표적인 예이 자동차용 전지에는 안전성에 대한 보장이 선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 전해액의 발화 및 폭발을 방지할수 있는 방법 중에서 첨가제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여 그 첨가제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열적 안정성을 살펴보고 리튬이온전지에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특히 포스파젠 화합물들을 소량(1~5wt.%)첨가하여, 양극소재의 발열온도를 $60^{\circ}C$ 이상 지연시키고, 사이클 특성의 향상 및 용량의 증가도 실현함으로서 포스파젠 화합물의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아래의 Fig1은 Hexamethoxy cyclo tri-phosphazene(HMTP) 이라는 화합물의 난연성을 표기한 것인데, $270^{\circ}C$ 부근의 background peak가 $340^{\circ}C$까지 지연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EV/PHEV용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펄스 충전 알고리즘의 정성적 해석 (The Qualitative Analysis of Lithium-Ion Battery Pulse Charging Algorithms for EV/PHEV)

  • 이은주;정다연;전준영;신승민;이병국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7-34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현재 EV/PHEV(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용으로 주목 받고 있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충전 알고리즘들 중에서 펄스(Pulse) 충전 알고리즘과 가변 주파수 펄스 충전 알고리즘을 CC/CV(정전류/정전압) 충전 알고리즘과 충전시간과 안정도, 전지 수명 부분에서 비교 및 분석한다. 그 결과 제시되는 펄스 충전 알고리즘의 장점을 기존의 결과론적인 분석에서 나아가 전기적, 화학적 근거를 통해 정성적으로 분석한다.

  • PDF

K-GIC의 합성 및 리튬이온이차전지에서의 부극특성 (The Preparation of K-GIC and its Anodic Characteristics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김현중;이철태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786-790
    • /
    • 1998
  • 리튬이온이차전지에 사용되는 탄소부극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탄소부극으로서 K-GIC를 합성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K의 삽입량은 KCl 수용액의 농도가 $2>3>1mole/{\ell}$의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1mole/{\ell}$의 KCl 수용액으로 처리하였을 때 K와 C의 mole 비는 156~388 carbon/potassium이었다. K-GIC의 합성조건을 $1mole/{\ell}$ KCl 수용액으로 $700^{\circ}C$에서 1시간으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리튬의 삽입과 탈삽입 거동을 나타냈으며 가역성 또한 우수하였다.

  • PDF

가공 천연흑연의 Li 이온 이차전지 부극재료의 특성

  • 김용중;양갑승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505-507
    • /
    • 1998
  • Li이온 전지는 높은 작동전압(3.03V), 높은 에너지밀도 등의 특성 때문에 최근 급격히 발달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크게 이용되고 있다 흑연은 리튬이온(직경 0.61$\AA$)의 삽입에 따라 층간거리(이론값 3.354$\AA$)가 3.7$\AA$까지 증가하기 때문에 반복되는 충방전에 따라 전지의 형태안정성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게된다. 한편 흑연의 선단면에서 전해액과 반응하여 충방전 효율이 감소되는 원인이 된다. (중략)

  • PDF

리튬전지용 Ni0.2V2O5 Aerogel 전극의 특성 (Electrochemical Studies of Li Intercalation in Ni0.2V2O5 Aerogel)

  • 박희구;김광현
    • 공업화학
    • /
    • 제10권3호
    • /
    • pp.491-495
    • /
    • 1999
  • 졸겔법에 의하여 리튬전지용 $Ni_{0.2}V_2O_5$ aerogel (ARG) 양극 소재를 개발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ARG는 무정형의 층상화합물로 $400^{\circ}C$ 이상에서 열처리할 경우 orthorhombic 구조로 전환되었으며, 표면구조는 섬유 모양의 단위체가 서로 얽혀 일정한 방향으로 성장하여 비등방성 sheet를 형성하고 있다. 리튬 이온이 층간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특정한 에너지 준위의 자리가 ARG내에 존재하며, 전지의 평균전위는 3.1 V (vs. $Li/Li^+$) 이었다. ARG 리튬이차전지의 계면저항은 ARG층 내 리튬 몰분율에 상관없이 일정한 반면, 전하이동저항은 개로전압에서 최대이며 ARG내 리튬 이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