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로버트 어윈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빛과 공간 환경을 다룬 로버트 어윈의 초기 작업에 관한 연구 (The Early Light and Space Environments of Robert Irwin)

  • 크레이그 애드칵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9호
    • /
    • pp.123-150
    • /
    • 2010
  • In his non-hierarchical approach to art making, Robert Irwin questions how art is made. In the process, he seems to come down on both sides of the Modernism versus Postmodernism debate. Insofar as he wants to advance the avant garde tenets of modern art, he can be thought of as a modernist. But insofar as he denies Modernism's claims for transcendental status, he can be thought of as a postmodernist. Irwin's light and space environments, in particular, are conditioned by their basic attachments to their surroundings. They reveal the commonplace, but largely overlooked, richness of visual perception. By encouraging his viewers to open their eyes, Irwin wants them to engage in an act of looking, one that manipulates the basic syntax of seeing. This paper discusses Irwin's contributions to the art of his time (basically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Abstract Expressionism and Minimalism) using as an example a light and space environment he created as the backdrop for the "First National Symposium on Habitability." This work was later reprised in 1980 as an independent installation. These works are examined to show how Irwin's art displaces modernist notions of authoritative (and authoritarian) quality with postmodernist ideas of direct (and demotic) value.

  • PDF

올라퍼 엘리아슨과 중세미학의 귀환 (Olafur Eliasson and the Reuturn of Medieval Aesthetics)

  • 진중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20-233
    • /
    • 2019
  • 올라퍼 엘리아슨은 <날씨 프로젝트>(2003)을 통해 설치라는 낯선 장르를 대중의 의식에 깊이 각인시켰다. 그 동안 엘리아슨의 작업에 대해서는 그 동안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이 이루어져왔다. 여기서는 그 다양한 해석의 시도들을 크게 신체미학 정치미학 기술미학적 접근의 세 유형으로 분류한 후, 비판적 검토를 통해 그 각각에 담긴 합리적 핵심들을 하나로 종합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기존의 해석들에는 엘리아슨을 비롯해 최근 설치예술가들이 빈번히 사용하는 '빛'의 효과에 대한 언급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그것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미학에 빛의 분위기 효과를 기술하는 데에 적합한 개념도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엘리아슨의 작업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에는 이 빛의 효과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며, 그 분석에 필요한 이론의 결핍을 보충하기 위해 중세의 신학적 광학이 다시 참조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게 될 것이다. 중세의 '빛의 미학'은 설치미술을 넘어 디지털시대의 시각성 일반의 특징을 규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