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로버스트 의사결정기법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stuary reservoir water-level management using robust decision making (로버스트 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한 담수호 관리수위 산정)

  • Seokhyeon Kim;Sinae Kim;Hyunji Lee;Jihye Kwak;Jihye Kim;Moon Seong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21-421
    • /
    • 2023
  • 하구담수호는 하천의 출구점이 해양과 만나는 곳에 방조제를 건설하고 이를 통해 형성되는 인공호수이다. 출구점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은 많은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지만 유역에서 발생하는 모든 유입량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홍수위험 및 수질악화가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담수호의 관리수위는 배수갑문 운영에 기초가 되는 수위로 용수공급, 홍수위험도를 고려하여 산정한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 홍수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관리수위의 산정이 필요하다. 로버스트 의사결정 기법은 기후변화의 불확실성 하에서의 정책 결정을 위해 제시된 개념으로 불확실한 미래상황에 대하여 최적이 아닌 여러상황의 준수한 결과를 보이는 방법을 선정해 예상치 못한 상황에도 대비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담수호의 관리수위 산정을 위해 로버스트 의사결정 기법을 적용하였다. 관리수위 산정을 위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CanESM5 GCM의 SSP1, 2, 3, 5 시나리오를 이용하였으며 담수호 관리수위는 기존 관리수위를 포함한 5개의 관리수위를 모의하였다. 각 시나리오에 따른 유입량, 호소수위 및 호소수질 변화를 모의하기위해 유역모형 HSPF와 호소모형인 EFDC-WASP 모형을 연계하여 활용하였다. 로버스트 의사결정 기법에 성능인자로는 신뢰도기반 이수, 치수, 수질지표를 활용하였으며, 결정인자으로 후회도를 활용하였다. 후회도는 로버스트의사 결정에서 널리 쓰이는 결정인자로 가장 좋은 성능인자와 그 대안의 성능인자의 차이를 의미한다. 최종적으로 최소의 최대 후회도를 갖는 시나리오를 1순위로 선정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Fuzz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s for Robust Prioritization (로버스트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Fuzzy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의 적용)

  • Han, Bong Gu;Chung, Eun S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917-926
    • /
    • 2013
  • This study presents the feasibility of fuzz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techniques for the robust prioritization of projects. It is applied to water resources planning problem. Results from weighted sum method (WSM),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revised analytic hierarchy process (R-AHP), and TOPSIS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Fuzzy WSM, Fuzzy, AHP, Fuzzy R-AHP, and Fuzzy TOPSIS. For the calculation, all weights on criteria and the normalized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ame investigation. As a result, the rankings from four MCDM techniques are slightly different while those from fuzzy MCDM show the comparatively consistent ranking.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se fuzzy MCDM technique when MCDM is used for the prioritization problem, since fuzzy MCDM can include the uncertain variability of input data and weighting values on criteria.

Decision making for coping with climate change uncertainty in water resources planning: Robust Decision Making (기후변화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수자원계획 의사결정: Robust Decision Making)

  • Kang, No-El;Jung, Eun-Sung;Kim, Young-Oh;Park, Jun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4-94
    • /
    • 2012
  • 기후변화 대응은 온실가스 배출의 감축 및 흡수원을 확대하는 완화(mitigation)와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과 취약성을 평가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적응(adaptation)이 상호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를 포함한 국제사회는 대부분 완화를 위해 노력해 왔지만 최근에 들어 완화만으로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회피하기 어렵다는 사실이 인식되면서 적응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적응 계획의 실현화를 위해서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뒷받침 되어야 한다. 기존의 일반적인 의사결정은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들 하에 가장 높은 효용을 가져오는 최적(Optimal)의 대안을 채택하는 고전적 결정분석(Classical Decision Analysis)의 프레임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해 미래 기후 예측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최근에는 최적의 대안을 선정하는 것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며 새로운 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한 새로운 의사결정 기법인 로버스트 의사결정(Robust Decision Making, RDM)을 실제유역의 적용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로버스트 의사결정은 RAND에서 개발한 것으로 최적의 대안을 채택하는 것 대신 모든 가능한 시나리오 가운데 가장 안정적인 전략을 채택한다는 것에서 기존의 의사결정 체계와 차이가 있다. 연구의 적용은 안동-임하댐 유역을 대상으로 온실 가스 배출 시나리오 A1B, A2, B1시나리오에 대해 15개의 GCMs에서 산출된 기후자료를 기반으로 기후변화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다양한 측면의 대안을 설정하여 용수공급량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산정될 각 대안 별 안정적인 정도와 취약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는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전제한 의사결정을 할 때 로버스트 의사결정이 갖는 장점이 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obust Decision Making Technique Considering Uncertainty of Climatic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위한 로버스트 의사결정 기법의 개발 및 적용)

  • Jun, Sang-Mook;Chung, Eun-Sung;Lee, Sang-Ho;Kim, Yeonj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9
    • /
    • pp.897-907
    • /
    • 2013
  •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worsen the depletion of streamflow in urban watershed. In this study, we therefore considered the treated wastewater (TWW) use as an adaptation strategy and devised a framework to identify prioritized areas for TWW use. An integrated framework that includes hydrological factors as well as social and environmental components were employed to determine the criteria for decision making. Fuzzy theory was employed to consider the uncertainties in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weights of the performance value. All alternatives were evaluated using the fuzzy TOPSIS method. In addition, statistical method and decision making methods under complete uncertainty were used for robust decision making. As a result, ranking the alternatives using the fuzzy TOPSIS method and robust approach such as maximin, maximax, Hurwicz and equal likelihood criterion mitigated the level of uncertainty and ambiguity in each alternative.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prioritizing water resource management projects considering various climate change scenarios.

Applicability of Robust Decision Making for a Water Supply Planning under Climate Change Uncertainty (기후변화 불확실성하의 용수공급계획을 위한 로버스트 의사결정의 적용)

  • Kang, Noel;Kim, Young-Oh;Jung, Eun-Sung;Park, Junehyeong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4 no.1
    • /
    • pp.11-26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robust decision making (RDM) over standard decision making (SDM) by comparing each result of water supply planning under climate change uncertainties for a Korean dam case. RDM determines the rank of alternatives using the regret criterion which derives less fluctuating alternatives under the risk level regardless of scenarios. RDM and SDM methods were applied to assess hypothetic scenarios of water supply planning for the Andong dam and Imha dam basins. After generating various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six assumed alternatives, the rank of alternatives was estimated by RDM and SDM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rank of alternatives between RDM and SDM methods is 0.33~1.33 even though the same scenarios and alternatives were used to be ranked by both of RDM and SD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an attempt to assess a new approach to decision making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uncertainties in Korea. The effectiveness of RDM under more various conditions should be verified in the future.

Evaluation of estuary reservoir management based on robust decision making considering water use-flood control-water quality under Climate Change (이수-치수-수질을 고려한 기후변화 대응 로버스트 기반 담수호 관리 평가)

  • Kim, Seokhyeon;Hwang, Soonho;Kim, Sinae;Lee, Hyunji;Kwak, Jihye;Kim, Jihye;Kang, Moons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6
    • /
    • pp.419-429
    • /
    • 202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anagement water level of an estuary reservoir considering three aspects: the water use, flood control and water quality, and to use a robust decision-making to consider uncertainty due to climate change. The watershed-reservoir linkage model was used to simulate changes in inflow due to climate change, and changes in reservoir water level and water quality. Five management level alternatives ranging from -1.7 El.m to 0.2 El.m were evaluated under the SSP1, 2, 3, and 5 scenariosof the ACCESS-CM2 Global Climate Model.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period-reliability were calculated for robust decision-making considering the three aspects, and regret was used as a decision indicator to identify the alternatives with the minimum maximum regret. Flood control failure increased as the management level increased, while the probability of water use failure increased as the management level decreased. The highest number of failures occurred under the SSP5 scenario. In the water quality sector, the change in water quality was relatively small with an increase in the management level due to the increase in reservoir volume. Conversely, a decrease in the management level resulted in a more significant change in water quality. In the study area, the estuary reservoir was found to be problematic when the change in water quality was small, resulting in more fail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