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레진 인레이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9초

임시 가봉재가 상아질과 레진 인레이의 미세인장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resin inlay bonded to dentin treated with various temporary filling materials)

  • 김태우;이빈나;최영중;양소영;장훈상;황윤찬;황인남;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5호
    • /
    • pp.419-424
    • /
    • 2011
  • 연구목적: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가봉재가 레진 코팅된 상아질과 레진 인레이간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지연 상아질 봉쇄법과 즉시 상아질 봉쇄법의 접착에 대한 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ZOE로 임시 가봉한 후 상아질 접착제로 지연 상아질 봉쇄법을 이용한 군을 1군, 즉시 상아질 봉쇄법을 이용하고 ZOE로 가봉한 군을 2군, 즉시 상아질 봉쇄법을 이용하고 Dycal로 가봉한 군을 3군, 즉시 상아질 봉쇄법을 이용하고 레진계열의 임시 가봉재로 가봉한 군을 4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그룹에서 가봉재를 제거하고 미리 제작한 레진 인레이를 와동에 합착한 후 근원심으로 절단하여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1군에서 가장 낮은 결합력, 4군에서 가장 큰 결합력 나타내었다(p < 0.01). ZOE로 임시 가봉을 한 경우 즉시 상아질 봉쇄법이 지연 상아질 봉쇄법에 비해 결합력이 컸다(p < 0.01). 결론: 레진 인레이의 상아질 접착시 지연 상아질 봉쇄법보다 즉시 상아질 봉쇄법이 권고되며, 레진 계열의 임시 가봉재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강화재의 사용 방법이 복합 레진 인레이 브릿지의 파괴 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inforcing methods on fracture strength of composite inlay bridge)

  • 변창원;박상혁;박상진;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2호
    • /
    • pp.111-120
    • /
    • 2007
  • 본 연구는 복합레진 인레이 브릿지에서 강화재의 표면 처리와 사용 방법이 파괴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강화재료는 I Beam, U Beam, 1 + U Beam이었으며, 표면처리 방법은 Silane, Sandblast, Hole형성 (U beam)이었다. 강화 재료의 구성과 표면 처리 방법에 따라 총 11개의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상악 인공치 모형에서 제2소구치의 발거 상태를 가정하고 복합레진 인레이 브릿지 제작을 위하여 인접한 제1소구치에 DO, 제1대구치에 MO 와동을 형성하였다. 와동이 형성된 인공치 모형을 고무 인상체를 이용하여 석고로 제작하고, 각 실험군 별로 강화재료와 강화 재료의 표면 처리 방법에 따라 Tescera ATL (BISCO Inc. IL, USA) 복합레진을 사용하여 복합레진 인레이 브릿지를 제작하였다 그 후 시편을 복제모형에 인산아연시멘트로 합착하고 Universal testing machine (EZ Test, Shimadzu, Japan)을 이용하여 flexural stress를 가하여 파괴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95% 유의 수준에서 one-way ANOVA/ Scheffes post-hoc test를 시행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내부 강화재 I beam을 사용한 실험군이 유의성 있게 높은 파괴 강도 값을 보였다 (P<0.05). 2. 표면 처리 방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3. 복합레진 인레이 브릿지의 파괴는 강화 재료를 사용 시에는 복합레진과 강화 재료간에 분리 파괴가 나타났으며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직파괴 경향이 나타났다. 4. U beam에 유지 hole을 형성한 경우 파괴 강도 증가를 시키지 않았다.

복합레진 인레이의 표면처리방법에 따른 표면특성 비교 (Comparison of surface characterization according to surface treatment of composite resin inlay)

  • 이명진;최유리;강민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07-315
    • /
    • 2019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zation of composite resin inlay surface with silane and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treatment. Methods: Composite resin inlay was used as a specimen, which was treated by sandblasting + silane and sandblasting + plasma. The untreated specimen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Specimens were analyzed for surface roughness, color change, and chemical composi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one-way ANOVA test (p<0.05). Results: The present findings showed that the roughness and color changes of the plasma-treated surfac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silane-treated surface. In addition, a chang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was observed on the plasma-treated surfac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could be a potential tool for the cementation of composite resin inlay.

CAD/CAM 세라믹 인레이에 대한 3종의 레진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the three different kinds of resin cement on CAD/CAM ceramic inlay)

  • 백철우;박철우;박준섭;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0-26
    • /
    • 2013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최근 심미수복에 주로 사용되는 CAD/CAM 세라믹 인레이와 각종 레진 시멘트간의 결합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기둥 모양의 세라믹 블록(높이: 5 mm, 직경: 3 mm)을 Cerec3로 제작하고, 총 90개의 우식이 없는 대구치의 상아질 표면에 세 종류의 레진 시멘트(Unicem$^{(R)}$, Biscem$^{(R)}$, Variolink II$^{(R)}$)를 사용하여 각각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 접착했다. 90개의 시편을 레진 시멘트의 종류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나누고, 각 군의 절반은 $5-55^{\circ}C$, 5,000 cycle 조건 하에서 thermocycling을 시행하였고, 다른 절반은 시행하지 않았다. 모든 시편은 결합강도를 측정하기 전에 $37^{\circ}C$ 생리 식염수에 24시간 동안 보관되었다. 전단결합강도는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0.5 mm/min의 cross head speed로 측정하였다. 결과 값은 t-test 및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Unicem$^{(R)}$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thermocycling 후에 약간 감소했으나 3 개의 군 중 가장 높은 결합 강도를 보였다. Unicem$^{(R)}$ 및 Valiolink II$^{(R)}$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thermocycling에 영향을 받았지만 Biscem$^{(R)}$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P<.05). Thermocyling 전에는 3개의 군 간의 결합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thermocyling 후에는 Unicem$^{(R)}$과 Valiolink II$^{(R)}$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CAD/CAM 세라믹 인레이 수복물을 치아에 접착할 때, etch-and-rinse 레진 시멘트인 Valiolink II$^{(R)}$ 대신self-adhesive 레진 시멘트인 Unicem$^{(R)}$과 Biscem$^{(R)}$을 사용해도 임상적으로 유용하다.

간접 레진수복시 상아질 접착제의 중합 여부에 따른 결합 효능 (Bonding efficacy of cured or uncured dentin adhesives in indirect resin)

  • 장지현;이빈나;장훈상;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6호
    • /
    • pp.490-497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접 레진수복시 상아질 접착제의 중합 여부가 레진인레이와 상아질간의 미세인장결합강도와 결합계면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공초점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4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절단하여 교합면 상아질을 노출시켰다. 수복 방법에 따라 크게 간접 레진수복과 직접 레진수복의 두 군으로 나누었다. 간접 레진수복군은 임시 수복하여 1주일 후, 상아질 접착 과정에 따라 4군(OB-C와 OB-NC군, OS-C와 OS-NC군)으로 나누었다. 간접 레진수복군은 산부식 처리된 상아질면에 OptiBond FL (Kerr) 또는 One-Step (Bisco) 상아질 접착제를 중합 여부에 따라 나누어 적용하였다. 처리된 상아질면에 제작된 3 mm 높이의 레진 인레이(Tescera, Bisco)를 Variolink II (Ivoclar Vivaden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합착하였다. 직접 레진수복군은 산부식 처리된 상아질면에 상아질 접착 후, 복합레진 (Estelite${\Sigma}$, Tokuyama)으로 즉시 수복하였다(OB-D군, OS-D군). 수복을 마친 모든 치아는 24시간 후, 미세인장 결합 강도 평가와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관찰(CLSM)을 시행하였다. 결과: 간접 레진수복군은 직접 레진수복군에 비하여 낮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한 군(OB-C군, OS-C군)이 광중합을 시행하지 않은 군(OB-NC군, OS-NC군)에 비하여 높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접착 계면에 대한 CLSM 관찰에서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한 군에서 더 분명하고 균일한 혼성층이 관찰되었다.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하지 않은 군에서는 혼성층이 불분명하거나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간접 레진수복물의 합착시 레진시멘트의 적용 전에 상아질 접착제의 광중합은 분명하고 균일한 혼성층의 형성하며, 이는 결합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레진코팅된 상아질 표면과 레진인레이간 결합에 임시가봉재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ORARY FILLING MATERIALS ON THE ADHESION BETWEEN DENTIN ADHESIVE-COATED SURFACE AND RESIN INLAY)

  • 김태균;이광원;유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53-559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레진 코팅된 표면과 레진인레이 사이의 자가-접착 레진시멘트를 이용한 결합 시 임시가봉제에 따른 미세인장결합강도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Caviton(GC, Tokyo, Japan), Provifil(Promedica, Neumunster, Germany), Provifil(Promedica, Neumunster Germany) & petrolatum, and Eugenol-based cement, Tembond(Kerr, Orange. CA, USA) 이 임시가봉재로 사용되었다. Tescera(Bisco, Schamburg IL, USA) 로 제작하였고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인 Rely X unicem (3M, St. Paul. Minn, USA) 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이후 미세인 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one-way anova 와 Duncan test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05) Caviton 군이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Provifil, Provifil & petrolatum, Tembond 군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간접수복용 복합레진과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 레진코팅법이 미치는 영향 (Shear bond strength of a self-adhesive resin cement to resin-coated dentin)

  • 홍지연;박철우;허정욱;방민기;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7-32
    • /
    • 2013
  •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간접 레진 수복시에 상아질 접착제와 저점도 레진을 이용한 상아질 레진코팅법을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에 적용해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는지 비교하고 기존의 레진 시멘트와의 전단결합강도 차이가 어떠한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사람의 발거된 건전한 구치 36개의 치관부를 삭제하고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과 3군은 상아질에 아무런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2군만 Clearfil SE bond와 Metafil Flo를 사용해 상아질 레진코팅법을 시행하였다. 24시간의 임시수복 기간을 둔 후 Tescera를 이용하여 제작한 레진 인레이 블록을 1군과 2군에는 Unicem, 3군에는 Panavia F를 사용해 접착하였다. 그 후 증류수에 48시간 동안 보관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전단결합강도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Tukey method를 이용하여 multiple comparison를 시행하였다. 결과:상아질에 레진코팅법을 시행한 경우의 Unicem의 결합강도가 상아질에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의 결합강도보다 높게 나타났고(P<.0001), 레진코팅을 하지 않고 Panavia F로 접착한 실험군의 결합강도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결론: 상아질 레진코팅법은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접착 강도를 증가시켰다.

도재인레이 및 온레이에 대한 삼차원유한요소법적 응력분석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OF PORCELAIN INLAY AND ONLAY)

  • 권혁춘;엄정문;손호현;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2호
    • /
    • pp.647-655
    • /
    • 1998
  • 심미도재수복시의 와동의 폭과 교두의 capping이 응력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연속사진 촬영술을 이용하여 상악제1소구치의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법랑질, 상아질, 도재 및 복합레진시멘트의 각각의 재질에 대한 물성치를 부여하고, 140N의 하중을 가하여 Super SAP 프로그램으로 해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응력은 탄성계수값이 큰 법랑질과 도재를 따라 분포되고, 연질의 상아질에는 적게 발생된다. 2. 와동의 협측치수선각부위에서는 인레이모델의 경우에는 와동폭의 증가에 따른 응력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으나, 온레이모델에서는 응력의 증가가 관찰된다. 3. 온레이모델의 경우에는 근심협측교두를 피개하고 있는 도재부위에 최대주응력이 크게 나타나고, 치은변연부의 도재에서는 교두를 피개하지 않은 인레이모델의 해당되는 법랑질에 비해 응력이 1/2정도로 감소된다. 4. 하중이 증가되면 잔존치질의 파절은 근심와동의 협측치은선각부위에서 협측보다는 치은을 향해 경사지게 일어날 것이다. 5. 교두를 피개하면 교두피개부위에서의 도재의 파절가능성은 증가되고, 치은변연에서는 도재와 하부의 치질의 파절가능성은 감소된다. 6. 도재를 이용하여 교두를 피개할 경우에는 응력을 견딜 수 있는 도재의 두께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교두를 충분히 삭제하여야 하고, 충분한 강도를 갖는 도재를 선택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