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레이더 단면적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Mid- to Late Holocene Progradational Pattern of Shinduri Dunefield: Implications for Sea Level and Climatic Changes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홀로세 중기 이후 신두리 해안사구의 성장 : 기후변화 및 해수면 변동과의 관련 가능성)

  • HONG, Seongchan;CHOI, Jeong Heon;KIM, Jong Wook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2
    • /
    • pp.87-98
    • /
    • 2010
  • There have been growing concerns for the sea level rise due to global warming in recent years. Sea level rise is a serious problem to densely populated coastal areas, because it may affect the coastal landforms to be damaged. Especially coastal sand deposits like coastal dunes are more sensitive than the other coastal landforms. In this paper,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and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dating method were used to identify the Holocene geomorphic changes of coastal dune field in Shinduri located at the western coast. The main results in this study that are the dunefield in the study area may have begun to form at around 6.8 ka and it has grown seaward thereafter. Then, dunefield appears to have extensively developed since 3.7 ka. This result, together with previous works on the sea level and climatic changes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suggest that the dunefield has been affected by the sea level regression since the Holocene high stand in the Holocene at around 6 ka and climatic change from warm and humid to cold and dry conditions occurred at 4.5 ka.

Improve of Reservoir Dredging Ability Using GPS/GPR (GPS/GPR을 이용한 저수지 준설능력 향상)

  • Lee Dong-Rak;Hong Jung-Soo;Back Ki-Suk;Bae Kyoung-H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4 no.1 s.36
    • /
    • pp.57-65
    • /
    • 2006
  • In general, the investigation for reservoir dredging are conducting a observation on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depth of water by assembling GPS/Echo Sounder and Total Station/Echo Sounder, and it is computed at a section computation of riverbed, reservoir volume and dredging plan etc. at that times, the detail plane is determinated about soil volume, height for dredging. Planning has a fault that the method of sound detection using the Echo Sounder doesn't check up distribution of reservoir deposit. In this study, the author emphasizes that implementation of dredging with combined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and Ground Penetration Radar(GPR) is well-done more than existed GPS/Echo Sounder. the combined equipment can be adapted to computation and dredging reffering to distribution of deposition. First of all, it is executed water tank modelling test through sampling for apply to test area and is estimated the possibility after passed far accuracy verification of equipment.

  • PDF

Development of a Computational Electromagnetics Code for Radar Cross Section Calculations of Flying Vehicles (비행체 RCS 예측을 위한 CEM 기법 연구)

  • Myong, Rho-Shin;Cho, Tae-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4
    • /
    • pp.1-6
    • /
    • 2005
  • The ability to predict radar return from flying vehicles becomes a critical technology issue in the development of stealth configurations. Toward developing a CEM code based on Maxwell's equations for analysis of RCS reduction schemes, an explicit upwind scheme suitable for multidisciplinary design is presented. The DFFT algorithm is utilized to convert the time-domain field values to the frequency-domain. A Green's function based on near field-to-far field transformation is also employed to calculate the bistatic RCS. To verify the numerical calculation the two-dimensional field around a perfectly conducting cylinder is considered. Finally results are obtained for the scattering electromagnetic field around an airfoil in order to illustrat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CFD based methods to CEM.

Accuracy Examination in the RCS Computation of a Leaf Using the Resistive Sheet Technique with Various Thicknesses and Moisture Contents (잎 두께와 수분함유량에 따른 손실판 방식 RCS 계산의 정확성 검증)

  • Park, Minseo;Kim, Han-Joong;Um, Kwiseob;Park, Sin-Myong;Kweon, Soon-Koo;Oh, Yiso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5 no.11
    • /
    • pp.1183-1189
    • /
    • 2014
  • The accuracy of the resistive-sheet technique in calculating the RCS(Radar Cross Section) of a deciduous leaf is examined in this paper for various thicknesses and dielectric constants, and a range of thicknesses for the resistive sheet technique is proposed. At first, a leaf was assumed to be a lossy dielectric disk, and the dielectric disk was again assumed to be a resistive sheet with an appropriate resistivity for a given thickness, a dielectric constant, and a frequency. Then, the RCS of the leaf was computed using the physical optics(PO) method, and was compared with the calculation results of a numerical analysis: i.e., a commercial tool based on the FEM (Finite Element Method) technique. It was shown that the error increases as the thickness increases. The error was 0.1 dB,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is 1.2 mm and 3.7 dB when the thickness is 3 mm with a dielectric constant of(21.4, 9.7) at 9.6 GHz. It was also found that the error decreases as the dielectric constant increases. This study will be very useful for calculating the 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numerous leaves in a vegetation canopy for estimating its radar backscatter using scattering model.

Analysis of the Radiation Patterns of Satellite SAR System with Active-Transponder (능동전파반사기를 이용한 위성 SAR 시스템 방사 패턴 분석)

  • Hwang, Ji-Hwan;Kweon, Soon-Koo;Oh, Yiso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3 no.10
    • /
    • pp.1204-1211
    • /
    • 2012
  • Measurement and analysis results of the extracted radiation-patterns from the field-experiments which were conducted to acquire the generic technology for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the satellite SAR system(Synthetic Aperture Radar) are presented in this study. Prototype of active transponder is adjustable within maximum 63.1 dBsm of RCS (Radar Cross Section) and includes the receiving-function with external receiver. To increase an accuracy of these field experiments, we repetitively measured satellite SAR systems of the same operating mode(i.e., COSMO-SkyMed No. 2 & 3, hh-pol., strip-map himage mode, 3 m resolution). Then, the reliability of experimental results was cross-checked through analysis of the RCS of active transponder on SAR image. The property of azimuth radiation patterns of satellite SAR system extracted from them has $0.352^{\circ}$ of HPBW(half-power beamwidth), $0.691^{\circ}$ of FNBW(first-null beamwidth), and 11.17 dB of PSLR(peak to side lobe ratio), respectively.

Case Studies of Geophysical Mapping of Hazard and Contaminated Zones in Abandoned Mine Lands (폐광 부지의 재해 및 오염대 조사관련 물리탐사자료의 고찰)

  • Sim, Min-Sub;Ju, Hyeon-Tae;Kim, Kwan-Soo;Kim, Ji-So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4 no.4
    • /
    • pp.525-534
    • /
    • 2014
  • Environmental problems typically occurring in abandoned mine lands (AML) include: contaminated and acidic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stockpiled waste rock and mill tailings; and ground subsidences due to mining oper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geophysical techniques for mapping potential hazard and contaminated zones. Four AML sites with sedimentation contamination problems, acid mine drainage (AMD) channels, ground subsidence, manmade liner leakage, and buried mine tailings,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various geophysical methods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different types of mine hazards. Geophysical results were correlated to borehole data (core samples, well logs, tomographic profiles, etc.) and water sample data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heavy metal contents). Zones of low electrical resistivity (ER) corresponded to areas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especially contamination by Cu, Pb, and Zn. The main pathways of AMD leachate were successfully mapped using ER methods (low anomaly peaks), self-potential (SP) curves (negative peaks), and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at shallow penetration depths. Mine cavities were well located based on composite interpretations of ER, seismic tomography, and well-log records; mine cavity locations were also observed in drill core data and using borehole image processing systems (BIPS). Damaged zones in buried manmade liners (used to block descending leachate) were precisely detected by ER mapping, and buried rock waste and tailings piles were characterized by low-velocity zones in seismic refraction data and high-resistivity zones in the ER data.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Chatancheon Catchment for the Year 2021 (2021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 Kim, Dong Phil;Chung, Il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08-408
    • /
    • 2022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보막교 수위관측소 기준, 유역면적 88.17km2, 유로연장 18.69km, 유로경사 1.62%,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2021년 수문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지표수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의 자료를 산정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기존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와 유역인근 3개 관측소(동두천, 파주, 철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추정한 값이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21년의 차탄천 유역(보막교 수위관측소 기준)의 총강우량은 1,149.8mm이며, 하천유출량은 701.2mm(총강우량 대비 61.0%), 실제증발산량(잠재증발산량 추정값)은 381.3mm(33.2%)이며, 그 외는 유역 손실량이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Seolmacheon Catchment 2019 Year (2019년 설마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4-274
    • /
    • 2020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설마천 유역(유역면적 8.48㎢, 유로경사 2.15%,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9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과 지하수 함양량의 자료를 산정하였으며, 물순환 성분별 균형을 이루는 자료를 생성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지하수함양량은 유역내에 관측된 지하수위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산정된 자료는 과거년 자료와 비교·평가를 통해 균형성을 판단하였다. 각 성분별 최대치와 최소범위, 평균값을 고려하고, 강우일수, 강우의 강우강도와 지속기간, 기상자료(기온, 일조시간, 습도, 풍속 등)를 충분히 고려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19년의 설마천 유역의 총강우량은 1,024.1mm이며, 하천유출량은 608.6mm(총강우량 대비 59.4%), 실제증발산량은 385.1mm(37.6%), 지하수함양량은 30.4mm(3.0%)이다. 여기서, 실제증발산량과 지하수 함양량은 1개 지점에서 산정값이나, 물순환의 폐합 조건을 고려하여 산정된 결과이다. 향후 유역 전체를 대표하는 기법의 개발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Chatancheon Catchment 2019 Year (2019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3-273
    • /
    • 2020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유역면적 190.64㎢, 유로경사 0.96%,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9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의 자료를 산정하였으며, 물순환 성분별 균형을 이루는 자료를 생성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 상·하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산정된 자료는 과거년 자료와 비교·평가를 통해 균형성을 판단하였다. 각 성분별 최대치와 최소범위, 평균값을 고려하고, 강우일수, 강우의 강우강도와 지속기간, 기상자료(기온, 일조시간, 습도, 풍속 등)를 충분히 고려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19년의 차탄천 유역의 총강우량은 975.9mm이며, 하천유출량은 507.9mm(총강우량 대비 52.0%), 실제증발산량은 366.4mm(37.5%), 지하수함양량은 101.6mm(10.4%)이다. 여기서, 실제증발산량은 유역내 1개 지점의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추정한 값이며,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을 위한 지하수위 관측정이 부재한 상황이나 물순환의 폐합 조건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ADARSAT SAR Investigations of Lineament and Spring Water in Cheju Island (RADARSAT SAR 자료를 이용한 제주도 선구조 연구 및 용천 특성 연구)

  • 원중선;류주형;지광훈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4 no.4
    • /
    • pp.325-342
    • /
    • 1998
  • Two RADARSAT SAR images with different modes acquired by Canadian Space Agency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geological lineament extraction and spring water detection over the Cheju Island. Geological lineaments are poorly developed this basalt dominant volcanic island, but more linear features can be extracted when SAR and TM images are simultaneously analyzed than when TM image alone is used. This results mainly owe to the facts that RADARSAT SAR systems are able to provide data with different frequencies, azimuth, and incidence angles. Distribution of spring water along coast is poorly correlated with geological lineaments or drainage pattern, but those in middle range of mountain region are developed along geological lineaments. Detection of spring water using remotely sensed images are turned out to be very difficult to achieve. Radial shaped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y derived from TM thermal band should be the best candidate for spring water, but the resolution is not high enough. We also investigate the normalized radar cross section (or sigma naught) converted from RADARSAT and ERS-1 SAR data but to discriminate the spring water effectively except where relatively large water mass is observed on land side. Speckle noise and irregularity in physical sea surface condition are the serious obstacles for this application. ERS-1 SAR image acquired in low incidence angle was more useful for geological lineament estimation and water body study than RADARSAT SAR images with high incidence angles. Therefore the selection of incidence angle is critical in geological and spring water applications of SAR images, and low incidence angles less than about 30$^{\circ}$ are recommended to monitor the Cheju volcanic is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