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런검정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매일의 불편감 증상점수의 분석: 불편감 증후군의 탐색과 증상 변화추세의 검정 (Analysis of Daily Distress Symptoms: Threshold Estimation after Isolating the Distress Group)

  • 이원녕;송혜향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1호
    • /
    • pp.123-138
    • /
    • 2010
  • 총 28일에 걸친 매일의 불편감 증상점수에 근거하여 월경 전 증후군을 가린 후, 임상에서 의료인의 진단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월경 전 증후패턴의 시작점을 추정한다. 이러한 추정에 앞서 불편감 증상점수가 과연 변화 추세를 보이는가의 검정이 우선되어야 하며, 모수적 단순회귀식에 의한 검정법과 비모수적 검정법을 적용한다. 실제 여성에게서 수집된 자료에 적용하여 분석한다. 증상점수의 직선적인 변화시점을 알아내는 단순회귀 방법과 직선 형태를 가정하지 않는 비모수적 검정법은 최적이 되는 상황이 서로 다를 것이며, 이를 모의실험으로 알아본다.

금융시장 전염 동적 검정 (Dynamic analysis of financial market contagion)

  • 이희수;김태윤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1호
    • /
    • pp.75-8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금융시장 통합화에 따른 금융 시장 전염을 생물학적 전염개념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검정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금융 시장 통합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U-통계량을 사용하였고, 금융 시장 전염 검정을 위하여 단일방정식 오차수정 모형을 중심으로 잠재 요인모형, 분위수 회귀모형과 런검정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결과 단일방정식 오차수정 모형이 자기상관을 갖는 오차항을 포함한 선형 회귀모형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적합도를 일관성 있게 보여 주고 있다.

런 검정을 사용한 근전도 신호의 안정성 평가 시 분할 크기가 신호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gmentation Size on the Stationarity of Electromyographic Signal in Runs Test)

  • 조영진;김정룡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67-671
    • /
    • 2010
  • Runs test is a mathematical tool to test the stationarity of electromyographic (EMG) sign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gmentation size on the stationarity of EMG signals in runs test. Six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nd performed isometric trunk exertions for twenty seconds at the load level of 25% and 50% MVC. The signals extracted from the erector spinae muscles were divided into the intervals of 1000ms and the stationarity of the signal in each interval was tested by the runs test. In this test, seven segmentation sizes such as 1.0, 2.0, 3.9, 7.8, 15.6, 31.3 and 62.5ms were applied. Additionally, two stationarity tests of reverse arrangements test and modified reverse arrangements test were used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runs test. In results, the segmentation size of 62.5ms showed the similar results with the other stationarity tests. However, the stationarity values among there tests were different each other when segmentation sizes other than 62.5ms were used. These results indicated the effect of segmentation size in runs test that needs to be considered to have consistent and sensitive result in stationarity test.

PNF 통합패턴 트레이닝이 하키선수들의 균형능력과 기능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NF combined patterns training on balance ability and functional ability of hockey players)

  • 안용덕;박종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521-528
    • /
    • 2013
  • 이 연구는 PNF 통합패턴 트레이닝이 하키선수들의 균형능력 및 기능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대상자를 28명(대조군 14명과 실험군 14명)을 무선 배정하였으며, 실험군에서 총 12주간 주 3회, 하루 60분 동안 PNF 통합패턴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각 군은 사전, 6주 후, 12주 후에 전산화밸런스시스템을 이용하여 균형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기능적 능력은 카리오카, 셔틀런 능력을 측정하였다. 이상의 측정값을 통계학적 검정을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균형능력을 비교한 결과, 눈감고 양발로 지지하면서 선 자세에서 실험군의 전-후, 움직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눈감고 오른발로 지지하면서 선 자세에서 실험군의 전-후, 내-외 및 움직인 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동적 균형능력에서 실험군의 전-후, 움직인 거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운동수행관련 기능적 능력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셔틀런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론을 통해 하키선수들에게 적용한 PNF 통합패턴의 대칭적인 트레이닝을 통해 하키선수들의 균형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운동학적 기능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되어 하키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으로 적극 권장되어져야 된다고 사료된다.

유소년의 골연령에 따른 체력 표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Physical Fitness Standard Indicators According to the Bone Age in Youth)

  • 김대훈;윤형기;오세이;이영준;조석연;송대식;서동녘;김주원;나규민;김민준;오경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627-1642
    • /
    • 2021
  • 본 연구는 유소년의 골연령에 따른 체력을 평가하는 데 있으며, 골연령에 따른 체력 표준지표를 통해 유소년들의 균형적인 발달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골연령 11세~13세 및 역연령 11세~13세에 해당하는 7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연령 산출을 위해 X-ray 필름을 촬영한 후 TW3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체격은 신장, 체중을 신장계(Hanebio, Korea, 2021), Inbody 270(Biospace, Korea, 2019)를 사용하여 총 2개의 체격 요소를 측정하였으며, 체력은 근력(악력), 평형성(외발서기), 민첩성(플랫테핑), 순발력(제자리멀리뛰기), 유연성(좌전굴),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 심폐지구력(셔틀런)으로 총 7개 체력 요소의 종목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PC/Program(Version 2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p< .0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1세~13세 골연령과 역연령을 비교한 결과, 체력에서 남자는 근력, 순발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자는 근력, 평형성, 민첩성, 순발력, 유연성,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골연령에 따른 유소년의 성별과 연령(11~13세)별로 체력평가의 기초 자료인 골연령 체력 표준지표를 개발하였다.